회주사 7현조 제례 봉행 순서
- 서점 제관 분정
- 헌관이하 제집사와 후손들은 서쪽을 상위로 하여 문밖에 도열
- 집례와 전사 및 찬인 계간배위에 올라와 재배하고 손을 씻은 다음 각 위치로 감
● 준비례(準備禮)
① 초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진설을 점검하고 계간배위(階間拜位) 북향입(北向立)
② 아헌관이하 제집사와 후손들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계간배위 북향입
③ 축과 제집사는 찬인의 인도를 받아 관세위에서 손을 씻은 후 자기자리로 감
④ 축과 제집사는 올라가 촛불을 켜고, 독을 열고, 보궤의 뚜껑을 열고 자리에 돌아옴
⑤ 찬인은 초헌관의 왼쪽으로 나아가 근구청 행사를 아룀
⑥ 헌관이하 모든 제관과 후손들은 집례의 창홀에 따라 재배함
● 전폐례(奠幣禮)
① 초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관세위에서 관수세수(盥手帨手) 하고, 시조공 신위전에 꿇어앉음
② 봉향과 봉로는 올라와 봉향은 초헌관의 오른쪽에, 봉로는 왼쪽에 꿇어앉음
③ 헌관은 향을 세 번 사름(三上香)
④ 봉향과 봉로는 향합과 향로를 제 자리에 두고 조금 물러나 앉음
⑤ 축은 폐비를 받들고 헌관의 오른쪽에 꿇어 앉아 폐비를 초헌관에게 드림
⑥ 헌관은 폐비를 받아 헌폐하고 이 폐비를 왼쪽의 축에게 줌
⑦ 축은 초헌관의 왼쪽에서 폐비를 받아 신위전에 받들어 올림
⑧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동위 신위전에 꿇어앉고 축과 봉향 봉로는 따라 감
⑨ 시조공의 전폐 방법으로 중시조공 - 충렬공 - 정승공의 순으로 헌폐함
⑩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서위 신위전에 꿇어앉고 축과 봉향 봉로는 따라 감
⑪ 동위의 전폐 방법으로 정랑공 - 판사공 - 통선랑공의 순으로 헌폐함
⑫ 헌관과 축과 봉향, 봉로는 찬인의 인도를 받아 자리로 돌아옴
● 초헌례(初獻禮)
① 사준과 봉작, 전작은 올라와 자기의 위치에 섬
② 초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시조공 준소에 서쪽을 향하여 섬
③ 사준은 멱을 걷고 봉작에게 술을 따라 주고, 봉작은 술을 받음
④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시조공 신위전에 꿇어 앉음
⑤ 봉작은 초헌관의 오른쪽, 전작은 왼쪽에 꿇어앉아 봉작은 작을 헌관에게 드림
⑥ 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이 작을 전작에게 주고, 전작은 작을 받아 신위전 제1점에 올림
⑧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동위 신위전에 꿇어앉고, 봉작과 전작은 따라가 꿇어앉음
⑨ 시조공의 헌작 방법으로 중시조공 - 충렬공 - 정승공의 순으로 헌작함
⑩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서위 신위전에 꿇어앉고, 봉작과 전작은 따라가 꿇어앉음
⑪ 동위의 헌작 방법으로 정랑공 - 판사공 - 통선랑공의 순으로 헌작함
⑫ 헌작을 마치면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시조공 신위전에 꿇어앉음
⑬ 축은 올라와 축판을 들고 초헌관의 왼쪽에 동쪽을 향하여 꿇어 앉음
⑭ 모든 제위자와 후손들은 제 자리에 꿇어앉음
⑮ 축은 독축함
⑯ 독축을 마치면 헌관과 축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제 자리로 돌아 옴
● 아헌례(亞獻禮)
① 아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관세위에 나아가 손을 씻음
②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시조공 준소에 서쪽을 향하여 섬
③ 사준은 멱을 걷고 봉작에게 술을 따라 주고, 봉작은 술을 받음
④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시조공 신위전에 꿇어앉음
⑤ 봉작은 헌관의 오른쪽, 전작은 왼쪽에 꿇어앉아 봉작은 작을 헌관에게 드림
⑥ 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이 작을 전작에게 주고, 전작은 작을 받아 신위전 제2점에 올림
⑧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동위 신위전에 꿇어앉고, 봉작과 전작은 따라가 꿇어앉음
⑨ 시조공의 헌작 방법으로 중시조공 - 충렬공 - 정승공의 순으로 헌작함
⑩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서위 신위전에 꿇어앉고, 봉작과 전작은 따라가 꿇어앉음
⑪ 동위의 헌작 방법으로 정랑공 - 판사공 - 통선랑공의 순으로 헌작함
⑫ 헌작을 마치면 헌관과 축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제 자리로 돌아 옴
● 종헌례(終獻禮)
① 종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관세위에 나아가 손을 씻음
②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시조공 준소에 서쪽을 향하여 섬
③ 사준은 멱을 걷고 봉작에게 술을 따라 주고, 봉작은 술을 받음
④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시조공 신위전에 꿇어앉음
⑤ 봉작은 헌관의 오른쪽, 전작은 왼쪽에 꿇어앉아 봉작은 작을 헌관에게 드림
⑥ 헌관은 작을 받아 헌작하고 이 작을 전작에게 주고, 전작은 작을 받아 신위전 제3점에 올림
⑧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동위 신위전에 꿇어앉고, 봉작과 전작은 따라가 꿇어앉음
⑨ 시조공의 헌작 방법으로 중시조공 - 충렬공 - 정승공의 순으로 헌작함
⑩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서위 신위전에 꿇어앉고, 봉작과 전작은 따라가 꿇어앉음
⑪ 동위의 헌작 방법으로 정랑공 - 판사공 - 통선랑공의 순으로 헌작함
⑫ 헌작을 마치면 헌관과 축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제 자리로 돌아 옴
⑬ 삼헌관 재배(再拜)
● 음복례(飮福禮)
① 축은 올라 와서 신위전의 복작을 내려와 음복 상에 올려 놓음
② 축은 도마와 칼을 들고 신위전에 나아 가 고기를 조금 덜어 옴
③ 초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음복위로 올라와 서쪽을 향하여 꿇어앉음
④ 축은 헌관의 왼쪽에서 북쪽을 향하여 꿇어 앉음
⑤ 축은 작을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잔을 받아 졸작 함
⑥ 축은 빈작을 받아 상위에 올려 놓고 조육을 헌관에게 드림
⑦ 마쳤으면 헌관과 축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동계로 내려와 제 자리로 돌아 옴
⑧ 축은 신실에 들어가 변두를 조금씩 옳겨 전과 같이 놓고, 돌아 옴
⑨ 헌관 이하 모든 집사와 후손들은 재배함
⑩ 축과 제집사는 들어 가 독을 닫고, 보궤을 덮고, 촛불을 끄고 나옴
● 망예례(望瘞禮)
① 초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망예위로 나아가 북쪽을 향하여 섬
② 축은 올라와 축과 폐를 거두어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확인 후 축에게 줌
③ 축은 받아 반쯤 불사라 묻음
④ 헌관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제 자리로 돌아 옴
⑤ 찬인은 초헌관의 왼쪽에서 예필을 고함
⑥ 헌관과 후손들은 찬인의 인도를 받아 문외 위로 나감
⑦ 집례와 전사와 찬인은 재배 함
⑧ 전사는 제집사를 인솔하여 들어 가 철찬(撤饌)하고 문을 닫고 나옴(闔門而退)
(前도문회장 金峯 위인환)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성씨순위 및 장흥위씨 지역별 분포 내역 [1] | 1707 |
공지 | 회주사 사호 개칭 경위 [1] | 471 |
189 | 시조공 향사 100년만의 경사 | 174 |
188 | 論語를 읽은 네 부류의 반응 | 266 |
187 | 자녀가 상속포기하면 손자녀는 공동상속인이 아니다 | 471 |
186 | 인생 그리고 노래와 시 | 341 |
185 | 시조공 고향 ‘弘農’은 어딘가 | 502 |
184 | 위징과 위계정의 DNA | 318 |
183 | 魏字의 說文과 字典-위정철 | 377 |
182 | 소주황은 사이비 국화?-위정철 | 133 |
181 | 맏딸의 제사주재자 시대의 도래-위철환 | 113 |
» | 회주사 7현조 제례 봉행 순서-위인환 | 152 |
179 | 위씨와 관련된 고사성어(2)-위정철 | 155 |
178 | 위씨와 관련된 고사성어(1)-위정철 | 240 |
177 | 위자형 대종회장 12년 업적-위윤기 | 508 |
176 | 위두량 사무총장 7년일지-위윤기 | 461 |
175 | 그 시절에 ‘대흥시옹(大興詩翁)이 있었습니다. - 박형상(변호사, 서울) - | 513 |
174 | 제25차 장흥위씨 하계수련회 총정리 - 벽천 윤기 | 342 |
173 | 망국의 한을 바위에 새긴 우국지사 - 위인백 | 293 |
172 | 하계수련회 소감문- 최선우 | 229 |
171 | 하계수련회 소감문- 조민기 | 255 |
170 | 하계수련회 소감문- 임여은 | 2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