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縡(1678~1746)의 제자
호는 화전(花田), 진사 이만창(李晩昌)의 아들로 서울태생. 1702년(숙종 28) 알성문과에 급제, 가주서․승문원 부정자․예문관 검열 때 단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1707년 문과에 합격, 문학․정언․병조정랑․홍문관 부교리, 1709년 헌납․이조정랑․북평사 1711년 홍문관 수찬․집의, 1712년 장락원정․수원부사, 1715년 병조․예조와 호조참의를 역임했다.
당시 가례원류(家禮源流)로 시비가 일자 노론(老論)의 입장에서 소론(少論)을 공박하는데 앞장섰다. 1719년 형조참판․승문원 제조․한성부우윤을 거쳐 영남균전사로 가서 토지정책을 다루다 파직 당했다. 1721년 예조참의로 복직한 뒤 도승지에 임명됐으나 소론이 집권하자 다시 삭직 됐다. 벼슬에 환멸을 느끼고 강원도 인제로 가서 학문에 전념했다.
도암의 문하생 가운데 전라도 출신이 있다. 능주(綾州) 출신 의재(義齋) 민정사(閔挺泗)․유암(柳庵) 민상언(閔相彦)․촌심당(村心堂) 민상천(閔相天), 장흥출신 위도원(魏道源)․옥암(玉庵) 위영찬(魏榮纘) 등이 그들이다. 이 중 2명의 위씨는 도암과 동문수학한 간암(艮庵) 위세옥(魏世鈺․1689~1766)의 주선으로 사제의 인연을 맺게 된 것으로 보인다.
尹鳳九(1681~1767)의 제자
병계는 한수재(寒水齋) 권상하(權尙夏)에게 배워 1714년(숙종 40) 진사시험에 급제한 이후 1725년(영조 1) 청도군수, 1738년 집의(執義)과 세자시강원 등을 역임했다. 1741년 우암(尤庵)의 영당에 주자(朱子)를 추봉해 삭직됐다. 얼마 후 자의(諮議)와 찬선 등을 거쳤다. 한원진(韓元震)과 이간(李柬)간의 호락논쟁(湖洛論爭)에 동물과 식물은 인물성(人物性)이 다르다는 이론(異論)을 주장하는 호서파(湖西派)에 섰다.
위백규(魏伯珪, 1727~1798)는 병계의 대표적인 호남출신 제자이다. 30세인 1734년부터 의시(疑試). 1737년 동당시 부(賦), 1744년 식년시 책(策), 1747년 논(論)을 합격했지만 본시에는 번번이 낙방했다. 이후 출사의 꿈을 접고 저술에 몰두했다. 1794년 해일피해를 시찰하러 온 위유사 서영보(徐榮輔)의 천거로 옥과(玉果)현감으로 임명돼 1년 정도 재직했다. 평생 저술활동에 전념해 여러 방면의 책 100여권을 저술했다.
洪直弼(1776~1852)의 제자
매산(梅山)은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홍이간(洪履簡)의 아들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1801년(순조 1) 사마시(司馬試)에 응시했으나 낙방하자 과거에 응시하는 것을 단념하고 학문에 더욱 열중했다. 38세 되던 1814년(순조 14) 학행으로 천거(薦擧)받아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에 발탁됐다. 이후 1838년(헌종 4)에 다시 천거돼 지평을 거쳐 1851년(철종 2) 대사헌․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역임했다. 이후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임명됐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그는 학문의 오도(吾道)로 성리학(性理學)에 천착하지 않았다. 대신 문승(文勝)을 보인 일반유학이 입장에서 거경(居敬)․궁리(窮理)․실천(實踐)에 두고 정자(程子)의 심본선설(心本善說)의 편에서 주리적(主理的) 입장을 취했다. 그의 스승 박윤원(朴胤源)은 그를 오도유탁(吾道有托)이라고 평했다. 그의 문하생으로는 능주출신 사애(沙厓) 민주현(閔冑顯․1808~1882), 장성출신 취정(醉亭) 봉채규(奉采圭․1810~1887), 고흥출신 병호(屛湖) 신제모(申濟模)가 있다.
그리고 화순군 능주(綾州)출신인 화암(華庵) 민성호(閔成鎬)․ 성재(省齋) 민치수(閔致洙), 장흥출신 연암(蓮庵) 위영경(魏榮璟)․ 우헌(愚軒) 위영구(魏榮龜)․ 호산(壺山) 위하조(魏河祚) 등이 있다. 위씨 성의 제자가 많은 편이다. 이들 문인들이 실제로 매산의 가르침을 받았는지 여부는 자세히 확인되지는 않고 있다. 또한 가르침 받은 장소가 서울인지 아니면 전라북도인지도 알 수 없다. 그러나 문인들도 모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그의 가르침을 받았다고 여겨진다.
20106.07 圓山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성씨순위 및 장흥위씨 지역별 분포 내역 [1] | 1707 |
공지 | 회주사 사호 개칭 경위 [1] | 471 |
69 | 8.웅천현감공(諱 廷烈)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 265 |
68 | 9.병조참판공(諱 廷喆) 교첩 4매, 교지 24매, 유서 3매 / 栢江 위성록 | 1266 |
67 | 10.문화현령공(諱 山寶) 교첩 3매, 교지 5매 / 栢江 위성록 | 333 |
66 | 11.상원군수공(諱 東峑) 교지 8매 / 栢江 위성록 | 262 |
65 | 12.귤우헌공(諱 世璜)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 198 |
64 | 13.송와공(諱 世琦)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 207 |
63 | 14.삼수군수공(諱 天會) 교지 9매 / 栢江 위성록 | 306 |
62 | 15.보성군수공(諱 赫萬) 교지 2매, 전령 1매, 유서 1매 / 栢江 위성록 | 313 |
61 | 16.절충장군공(諱 壽徵) 교지 2매 / 栢江 위성록 | 461 |
60 | 17.존재공(諱 伯珪) 교첩 8매 / 栢江 위성록 | 239 |
59 | 18.서계공(諱 伯純)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 123 |
58 | 19.운수공(諱 啓忠) 교지 3매,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1] | 309 |
57 | 20.기타 분재기(分財記)·준호구(準戶口) 등 9매 / 栢江 위성록 [1] | 433 |
56 | 보성군수공(諱 赫萬) 재고증과 직계 후손 300년 제주도 거주 사실 / 栢江 위성록 [1] | 419 |
55 | 이순신장군 수군 재건로에 관하여 - 위성 [1] | 487 |
54 | 分派의 誤謬와 改善方案-원산 | 244 |
» | 李縡(1678~1746), 尹鳳九(1681~1767), 洪直弼(1776~1852)의 제자 / 圓山 위정철 | 216 |
52 | 奇正鎭(1798~1879)의 제자 / 圓山 위정철 | 371 |
51 | 崔益鉉(1833~1906), 宋秉璿(1836~1905), 田愚(1841~1922)의 제자 /圓山 위정철 | 436 |
50 | 天冠山의 地震記錄 / 圓山 위정철 |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