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장흥위문 내 선조에 대한 기록은 대표적인 기묘보초보를 포함한 7번에 걸쳐 편찬한 족보(族譜)의 면주(面註)와 지장록(誌狀錄)•충의록(忠義錄), 묘갈명(墓碣銘) 등이 있다. 또한 근래 원산(정철) 종원이 ⌜장흥위씨요람⌟⌜천년세고집⌟을 편찬하여 여러 선조에 대한 행장(行狀)을 접할 수 있다. 그런데 보성군수공(諱 赫萬)에 대한 족보 면주•지장록, 행원 파보(派譜) 내용이 매우 빈약하다. 장흥위씨요람 등에서 언급되지 않아 종원(宗員)들에게 잊혀 있던 선조 중에 한분이다. 특히 행원 괴봉공파종중에서 조명 부족과 직계 후손들이 300년 이상 제주도에서 거주해오면서 본향(本鄕)과 교류가 미미하여 제대로 관심을 갖지 못한 것이 중요 원인이라고 사료된다. 최근 公에 대한 교지 등 고증 자료가 확인되어 재조명을 통해 公의 업적을 종원들에게 알리고자 한다.

 

1.기묘대동보 면주, 지장록, 승정원일기 비교 고증

 1)기묘보 4p 18 면주 내용

 諱 赫萬 25세, ~ ? 자(字)는 화경(華卿) 생졸년(生卒年) 기록은 없다. 일찍이 등무과(登武科)하고 歷府院諸職하며 出守旌義하야 歲値歉荒에 읍민(邑民)을 구활(救活)하니 치적(治績)이 임금에게 알려져 친필로 백성들에게 널리 알려 상(賞)으로 말 한필을 하사(下賜)하셨으며, 낙안군수와 보성군수에 임명되었다고 수록 되어 있다. 배(配)는 숙부인 연안李氏이다. 묘소(墓所)는 장평 馬峙艮座로 합조(合兆)이다.

 

 2)기묘보 지장록 내용

 지장록 p 1024~ 1025⌜通訓大夫行寶城郡守公事實⌟에 의하면 公의 諱는 赫萬이요 字는 華卿 이니 魁峯先生 諱 大用의 玄孫이요 縣監 諱 天相의 막내 아들이다. 公이 나면서부터 체격이 壯大하였고 말수가 적으며 經書나 史記를 모두 통달하였고 筆法이 또한 정미로워 굳세며 算術이 귀신같았다. 팔도(八道) 감영(監營)의 水使·兵使을 수행하는 관원으로 있다가 武科에 급제하여 訓練院 主簿, 摠經都事, 司憲府監察을 지냈으며 外職으로 정의현감(旌義縣監)을 나갔는데 흉년을 만나 현민(縣民)을 구활(救活)하니 치적(治績)이 임금에게 알려져 親筆로 백성들에게 널리 알려 상(賞)으로 말 한필을 하사(下賜)하셨으며, 그 후 낙안과 보성군수로 임명되었고, 뒤에 해남·진도·대정·광양 등 현감을 역임하였는데 부임(赴任)한 곳마다 모두 비(碑)가 세워져 있다. 아들이 없어 伯氏(泰萬)의 둘째아들 원징(原徵)으로 후사(後嗣)를 삼아 가업을 이어받아 武科에 올라 가리포첨사를 지냈으며 一子인 原載를 두었으니 정의현감 때 소생하였으므로 자손들이 그대로 살고 있다고 수록되어 있다.

 

 3)승정원일기 내용

 ①1696년(숙종 22) 6월 22일 아산만호, ②1705년(숙종 31) 2월 28일 임치첨사, ③1707년(숙종 33) 5월 11일 부호군, ④1710년(숙종 36) 12월 3일 겸내승, ⑤1710년(숙종 36) 12월 21일 낙안군수, ⑥1716년(숙종 42) 1월 23일 정의현감, ⑦1721년(경종 1) 7월8일 진해현감, ⑧1722년(경종 2) 1월 22일 경복궁 가위장, ⑨1723년(경종 3) 3월 14일 군산첨사, ⑩1724년(경종 4) 1월 28일 잉임사승전, ⑪1725년(영조 1) 3월 21일 부호군, ⑫1725년(영조 1) 12월 4일 보성군수, ⑬1726년(영조 2) 6월 2일 단부부호군, ⑭1728년(영조 4) 1월 11일 법성첨사 등 1731년까지 35년간 관직에 재임하면서 관직제수(官職除授), 의금부나인(義禁府拿因)사실, 서용(敍用), 전교(轉交), 장계(狀啓) 등 30건의 기록이 확인된다.

 

 4)결론(비교 추정 등)

 장흥위문 내 관직을 역임한 선조의 행장을 확인할 수 있는 대동보 면주, 지장록, 충의록 등 각종 기록에서는 관직 제수, 재임지역, 내용 등 여러 기록에서 誤記가 확인된다. 조선시대에 왕명(王命)의 출납(出納)을 관장하던 승정원에서 매일매일 취급한 문서와 사건을 기록한 승정원일기(국보 제303호)에서 公의 대한 기록 중,

 

 ①정의현감 이전에 낙안군수를 제수(除授)함이 확인되며 지장록 내용의 훈련원주부·총경도사·사헌부감찰·해남현감·진도군수·대정현감·광양현감 제수 사실이 확인되지 않는다. 더군다나 조선시대에서는 외관직 제수 시 향피(鄕避)제를 원칙으로 하였고, 해남현감은 公의 선친(先親) 해남현감공(諱 天相 24세, 1635~1683)이 역임을 하여 당대 시대 상황에 의하면 부자(父子)를 동일 관직에 제수할 수 없었다고 사료되며, 진해현감 제수 사실을 해남현감으로 誤記하였다고 판단된다. 진도군수 재임 관련된 기록으로는 1711년(숙종 37) 2월 19일 진도군에서 군기(軍器)를 점열(點閱)할 때 화약이 터져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전라도순무사 권상유의 장계에 대한 전교 내용 중, “巡營軍官前郡守 魏赫萬”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진도군수 재임 사실이 아니고 1710년 12월 21일 제수한 사실에 의거 낙안군수 역임을 前郡守로 기록함이 확인된다.

 ☞ 巡營軍官 : 감사(監司)를 수행하는 무관을 칭함.

 

 ②선정비(善政碑)는 정의현감, 임치첨사 역임 지역에 세워져 있다.

정의현감 선정비.jpg

                                                     <정의현감 재임 선정비>

 ☞ 정의현(旌義縣)은 현재의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이다.

임치첨사 선정비.jpeg

                                                           <임치첨사 재임 선정비>

 -1685년 순찰사 이사명    -1707년 임치첨사 위혁만   -1807년 임치첨사 강필윤   -1863년 임치첨사 정신훈

 ☞ 임치진(臨淄鎭)은 현재의 전남 무안군 해제면 임수리 지역이다.

 

 ③公은 해남현감공(諱 天相)과 恭人 창령曺氏 사이에서 삼자(三子)로 태어났다. 생졸년은 기록 되지 않아 알 수 없으나, 백형(伯兄) 내경공(諱 泰萬)의 생년이 1662년이다. 중형(仲兄) 以萬公의 생졸년도 기록되지 않았다. 가정(假定)해서 公의 生年을 1667년으로 잡고, 25세 (1692년)에 武科 급제 후 보성군수 등 여러 관직 역임 등 35년간 봉직하고 70세 안팎 (1731년-1667년=64년)연령 때 타계 하였을 거라고 추정해본다.

 

 ④公과 配 숙부인 연안李氏 사이에서 1女를 생산하고 후사(後嗣)가 없어 伯兄 내경공(諱 泰萬)의 차자(次子) 원징(原徵, 1690~ ?)을 양자(養子)로 하고 가업을 잇게 하였다. 원징의 면주 (기묘대동보 4권 P 81~82)에는 克承先業 하고 登武科 하야 內歷主簿하고 外任僉使하다. 라고 수록되어 있으며, 지장록에서 가리포첨사를 지냈다고 하였다. 그러나 승정원일기에서는 1750년(영조 26)~1757년(영조 33)간 10회 기록 되어 있으며, 관직은 수문장과 적양첨사(赤梁僉使) 제수(除授)가 확인되어 지장록의 가리포첨사 역임은 오기(誤記)로 판단된다. 차후 존호(尊號)를 “적양첨사공”으로 칭함이 타당하다.

☞ 해남현감공(諱 天相, 24세), 보성군수공(諱 赫萬, 25세), 적양첨사공(諱 原徵, 26세) 3代가 무과에 급제하고 중요 관직을 역임함이 확인되었다.

☞ 적양진(赤梁鎭)은 현재의 경남 남해군 창선면 진동리 지역이다.

 

적양진성 설명 표지석.jpeg

                                                  <水軍 적양진성 설명 표지석>

 

 

 2.직계 후손들의 300년 제주도 거주 사실

 1)보성군수공(諱 赫萬 25세)의 子는 적양첨사공(諱 原徵 26세, 1690~ ?)으로 配는 淑夫人 연안李氏, 淑夫人 완산李氏이다. 公의 졸년(卒年)은 알 수 없다. 묘소(墓所)는 本鄕 장평 마치이며 연안이씨와 합조(合兆)이다. 완산이씨 묘소는 旌義松自只壬座다. 면주에는 公과 연안이씨 사이에 有一女 하고, 완산이씨 사이에서 有二男을 두었다고 수록 되어 있다.

그러나 公의 27세 長孫子 현보공(諱 致能), 次孫子 諱 載禹公, 三孫子 재정공(諱 載安)과 1녀(婿 尹 瑊)를 두었음이 확인된다. 長孫子 현보공의 묘소는 장평 馬峙이고, 완산이씨와 次孫子 재우공, 三孫子 재정공 묘소가 정의현(현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일대)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長孫子 현보공은 연안이씨 소생(所生), 次孫子 재우공과 三孫子 재정공은 완산이씨 소생(所生)으로 추정된다. (기묘보 4권 p 81~83)

지장록에서는 一子 原載를 두어 정의현감 때 소생하였으므로 자손들이 그대로 살고 있다고 수록되어 있다. 적양첨사공은 三子와 1女를 두었다. 一子와 原載 기록은 오기(誤記)로 확인 된다. (지장록 p 1024~1025) 보성군수공의 정의현감 재임이 1716년이며, 이때 적양첨사공의 연령이 26세로, 이 시기에 次子 재우공, 三子 재정공이 태어 낳을 거라고 추정된다.

 

 2)長孫子 27세 현보공(諱 致能) 계열은 28세 諱 榮虎公, 29세 諱 文錫公으로 이어져 오다가 無後되었다. 묘소는 모두 장평 馬峙이다. 이는 보성군수공의 정의현감 재임 후 보성군수공, 적양첨사공과 長孫子 현보공은 육지로 이거하여 本鄕 행원에 정착하였을 거라고 추정해본다. 특히 휘 문석공 29세 때 후사(後嗣)가 없어 보성군수공, 적양첨사공이 잊혀 있는 선조로 남아 현재 후손들로부터 제향(祭享)을 봉행(奉行) 받지 못한 중요한 요인이다. (기묘보 4권 p 81 기준)

 

 3)次孫子 27세 諱 載禹公의 묘소는 현 제주도 표선면 신풍리이다. 28세 諱 榮壽의 묘소는 현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동변 군지이다. 29세 諱 光魯의 묘소는 현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경자좌다. 30세 諱 瑞祖의 묘소는 현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대록봉으로 각각 수록되어 있다. (기묘보 4권 p 82 기준)

이후 31세 諱 啓完, 32세 諱 成良, 32세 諱 又良, 33세 諱 己煥, 33세 諱 德煥등 묘소가 현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등 일대에 소재한다. 현재 34세~35세 孫이 있으며, 이하 이름은 생략한다. 三孫子인 재정공(諱 載安)의 후손에 비해 번손 되지 못하였다. (기묘보 4권 p 455~ 457 기준)

 

 4)三孫子 27세 재정공(諱 載安)의 묘소는 현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평대수오다. 28세 諱 榮振의 묘소는 현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주망석해좌다. 29세 諱 漢祚의 묘소는 미상이다. 30세 諱 瑞權의 묘소는 현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평대수오다. 30세 諱 重權의 묘소는 현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통수오좌다. 30세 諱 濟權의 묘소는 현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오나고비설채오좌로 각각 수록되어 있다. (기묘보 4권 p 83~84 기준)

이후 31세는 諱 啓成, 諱 啓俊, 諱 啓卿, 諱 啓南 등이다. 32세는 諱 用周, 諱 基周, 諱 厦周, 諱 舜周, 諱 哲周, 諱 英周 등이다. 33세는 諱 炳淵, 諱 炳益, 諱 炳珪, 諱 炳和, 諱 炳允, 諱 炳植, 諱 炳錫, 諱 炳銀, 諱 炳鐵, 諱 炳鉉, 諱 炳守 등이다. 34세는 諱 聖址, 諱 聖化, 諱 聖公, 諱 聖鳳, 諱 聖七, 諱 聖國, 諱 聖壽, 諱 聖憲, 聖日, 諱 聖龍, 諱 聖吉, 諱 聖允, 諱 聖宗, 諱 聖植, 諱 聖三, 諱 聖順, 諱 聖應, 諱 聖旭, 諱 聖用 등이다. 대부분 현 제주도 서귀포 표선면, 제주시 한경면 한원리 일대에 묘소가 소재한다. (기묘보 4권 p 458~476 기준)

휘 재완 제단비.jpeg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祭壇, 2016년 謹豎> 

휘 재완 묘소.jpg

                                                     <27세 재정공 諱 載安 墓所>

2002년 27세 재정공(諱 載安), 28세 榮振, 29세 漢祖, 30세 瑞權의 묘소(墓所)를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로 이장(移葬)하여 매년 4월 첫째 일요일 묘전(墓前) 제단(祭壇)에서 배(配)를 포함한 9位를 제향(祭享)한다. 현재 35~36세 孫이 다수로 제주시 내, 한경면 한원리•고산리 일원 등에서 30여가구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일부 후손은 일본에서 거주한다. 35세 이하 후손은 기록을 생략한다.

☞ 보성군수공의 次孫, 三孫의 후손들은 지난 날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일대에서 생활 터전으로 거주해오다가 현재는 주로 제주시 일원에서 거주하고 있어 300여년을 제주도와 깊은 緣을 맺고 있다. 특히 1999년 편찬된 기묘대동보에 후손들이 빠짐없이 수록되었다. 이는 "本鄕에 대한 그리움을 표한 응집(凝集)의 산물(産物)" 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명하공(諱 聖憲 34세, 1929~2013, 前 제주시 행정사무관)과 금석공(諱 宋復 35세, 1931~ 1997)이 本鄕에 2~3회 내왕하면서 수단유사(收單有司) 참여 역할 또한 컸었다.

 

3.고증 과정 및 후손들의 과제

 1)보성군수공(諱 赫萬)이 근래 후손들에게 알려지게 된 계기는 원곡(상복) 종원의 증조부님 후릉참봉공(휘 세량 32세, 1859~ ?)이 본향에서 한의사업에 종사하면서 公의 교지 1매, 전령 1매, 유서 1매 등을 수집 소장하여 4매를 자손에게 물려주어 원곡(상복) 종원이 집에서 소장하고 있었다. 자연적인 훼손(毁損) 방지(防止)와 여러 사람들에게 알림의 목적으로 2006년 本鄕 방촌유물전시관에 기탁(寄託) 하여 소장되었다. 이후 2014년 원곡(상복) 종원이 필자에게 방촌유물관에 기탁한 물품에 대해 사진 촬영 협조를 요청해와 고향에 갔었을 때 유물관에 들러 기탁한 4매를 촬영하였다. 이중 유서 1매를 야운(이환) 종원이 판독한 사례가 있었다. 2016년 2월 제주도 서귀포 지역에서 국회의원 예비 후보로 성곤 종원이 활동하면서 청장년밴드에 글을 게재하자 원곡(상복) 종원이 혁字만 할아버님이 서귀포 정의현감(旌義縣監) 역임 사실 및 서귀포와 장흥위문과의 緣을 댓글로 언급하였다. 이에 재치(현동) 종원이 公의 정의현감 재임 선정비(善政碑) 사진을 인터넷 검색을 통해 발췌하였다. 이후 "씨족문화연구위원회"를 중심으로 재조명과 관심을 받게 되었다.

 

 2)최근 필자는 장흥위문 내 선조의 교지(敎旨)을 포함한 고문서에 대해 원소장자, 해당 종중 관계자의 자문과 협조를 통해 SNS(밴드)상에서 세수(世數)의 순서(順序)에 따라 현존(現存)한 교지를 게재해오면서 후손들에게 선조(先祖)의 업적(業績)을 알려드리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公에 대한 자료 게재를 앞두고 기묘보 면주 등 장흥위문 내 여러 기록물을 참조한 후 정확한 고증자료(考證資料)라 할 수 있는 조선시대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를 통해 公에 대한 관직명(官職名), 제수(除授) 년(年) 월(月) 일(日) 등 행장(行狀) 고증으로 선대(先代) 기록(記錄)과 비교를 통해 일부에서 오기(誤記)를 확인할 수 있었다.

 

 3)제주도에서 거주하고 있는 公의 직계 후손들을 찾기로 마음먹고 기묘대동보 면주 상에서 현재 생존 연령에 해당되는 1940년생부터 1970년까지 종원 17명을 이름을 발췌하여 제주도지역 전화국(제주시, 서귀포시) 114에 인명전화번호를 의뢰하였다. 이중에 2명이 등재되어 있음을 안내 받았다. 이후 여러 차례 전화 연락하여 ㅇㅇ종원의 부인과 전화가 연결되어 제주도 거주 후손을 찾는 연유를 설명하였다. 이에 대해 8촌뻘 되는 ㅇㅇ종원이 시내에서 주유소를 하고 있다고 하면서 더 이상 협조를 해주지 않고 귀찮다는 표현을 하면서 전화를 끊어 애석하였다. 계속해서 ㅇㅇ지역 일대의 주유소 9곳의 전화번호를 114에 의뢰한 후 9곳 주유소의 종사자와 모두 통화하여 ㅇㅇ종원을 찾는다면서 협조를 구하였다. 대부분 주유소 관계자들은 짜증을 내면서 "왜 여기로 전화하느냐"면서 협조에 응하지 않았다. 그런데 한참이 지나 ㅇㅇ주유소에서 찾고 있는 ㅇㅇ종원의 모친의 전화번호를 알려준다면서 직접 휴대폰에 연락이 왔었다. 어렵게 ㅇㅇ종원의 모친 휴대폰 번호를 알아내서 모친과 통화를 할 수 있었다. ㅇㅇ종원의 모친에게 아들이 경영하는 ㅇㅇ주유소 전화번호를 안내 받아 찾고 있는 광준(1960년생, 35세) 종원과 어렵게 전화 통화되었다. 광준 종원과 수회 전화 통화에서 보성군수공의 정의현감 재임과 선조의 제주도 정착과 이후 300년간 후손 거주 사실, 묘소 위치•제향, 현 종원들의 거주 사항 등 서로 안내와 설명하면서 차후 계속해서 협력하기로 공감하였다. 이후 광종 종원을 통해 상훈(36세) 종원 등 여타 종원들과 연결되었다.

 

 4)보성군수공(諱 赫萬)은 여러 관직을 역임한 훌륭한 선조 중에 한분이다. 그러나 직계 장손 계열 29세 때 후사(後嗣)가 없었다. 차손(次孫)과 삼손(三孫)의 계열 후손들은 300여년 제주도에서 거주와 本鄕과의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교류(交流)가 적어 관심(關心)을 갖지 못하였다. 또한 괴봉공파종중에서도 公에 대한 세밀한 조명을 하지 않아 현재까지 후손들로부터 제향(祭享) 봉행(奉行)을 받지 못하고 있다. 후손으로써 선조(先祖)에 대한 가장 기본적 예(禮)는 제향(祭享)이다. 제주도 거주 직계후손과 本鄕 괴봉공파종중 (21세 諱 大用→22세 諱 弘宙→23세 諱 國寶→24세 諱 天相→25세 諱 赫萬→26세 諱 原徵) 후손간 상호 방문 등 교류하면서 문중사(門中事)에 참여 및 公을 조속히 本鄕 행원 석천사(石川祠)에 추배(追配)함이 후손의 최우선 과제라고 사료된다. -끝-

 

글.사진 : 씨족문화연구위원 栢江 위성록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성씨순위 및 장흥위씨 지역별 분포 내역 [1] 1707
공지 회주사 사호 개칭 경위 [1] 471
69 8.웅천현감공(諱 廷烈)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265
68 9.병조참판공(諱 廷喆) 교첩 4매, 교지 24매, 유서 3매 / 栢江 위성록 file 1266
67 10.문화현령공(諱 山寶) 교첩 3매, 교지 5매 / 栢江 위성록 file 333
66 11.상원군수공(諱 東峑) 교지 8매 / 栢江 위성록 file 262
65 12.귤우헌공(諱 世璜)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198
64 13.송와공(諱 世琦)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207
63 14.삼수군수공(諱 天會) 교지 9매 / 栢江 위성록 file 306
62 15.보성군수공(諱 赫萬) 교지 2매, 전령 1매, 유서 1매 / 栢江 위성록 file 313
61 16.절충장군공(諱 壽徵) 교지 2매 / 栢江 위성록 file 461
60 17.존재공(諱 伯珪) 교첩 8매 / 栢江 위성록 file 239
59 18.서계공(諱 伯純)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123
58 19.운수공(諱 啓忠) 교지 3매,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1] file 309
57 20.기타 분재기(分財記)·준호구(準戶口) 등 9매 / 栢江 위성록 [1] file 433
» 보성군수공(諱 赫萬) 재고증과 직계 후손 300년 제주도 거주 사실 / 栢江 위성록 [1] file 419
55 이순신장군 수군 재건로에 관하여 - 위성 [1] 487
54 分派의 誤謬와 改善方案-원산 244
53 李縡(1678~1746), 尹鳳九(1681~1767), 洪直弼(1776~1852)의 제자 / 圓山 위정철 216
52 奇正鎭(1798~1879)의 제자 / 圓山 위정철 371
51 崔益鉉(1833~1906), 宋秉璿(1836~1905), 田愚(1841~1922)의 제자 /圓山 위정철 436
50 天冠山의 地震記錄 / 圓山 위정철 120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