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14.삼수군수공 교지 9매

-현소장처 : 위성찰

※ 삼수군수공(諱 天會 24세, 1629~ ?) : 자(字) 여우(汝遇) 호(號) 취수헌(醉睡軒)으로 통덕랑 諱 국보(國寶)와 恭人 광산金氏 사이에서 四子 중, 三子로 태어났다.

公은 호남어사의 신분으로 장흥을 들른 노봉(老峰) 민정중(閔鼎重)이 公을 보고 武科에 응시하도록 추천하여 출사하게 됐다. 젊은 시절 번쾌불사장비부생(樊噲不死 張飛復生 번쾌가 죽지 않았고 장비가 다시 살아났다.)라고 불리울 정도로 호방한 용력과 멋진 한시를 창작할 정도의 지식과 뛰어난 문학성을 겸비하여 어모장군오위도총부도사 등 여러 내직을 역임하다 1664년 함경도 변경 삼수군수(三水郡守)를 제수 받았다. 그런데 당시 삼수(三水)에는 해남출신 남인(南人)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1585~1671)가 71세의 늙은 나이에 조대비(趙大妃)의 상례문제로 서인들과 다투다 1660년부터 위리안치(圍離安置)되어 있었다. 고향의 어른이라 죄인임에도 불구하고 편의 제공 및 잘 보살펴 주어 이 때문에 조정의 미움을 사서 관직에서 물러나고 행원으로 귀향하여 지우들과 수창(酬唱)하며 보내다가 1669년 종(終)하였다고 수록하였다. (대동보 지장록 p.132) 또한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1666년 윤선도의 이배(移配) 시 편의제공으로 용천부에 정배(定配)되기도 하였으나 1671년에 경상우도병마우후를 제수받아 1672년에 연유를 알 수 없는 살인의 죄목으로 1683년까지 도형(徒刑), 정배(定配), 이배(移配) 등 형벌 집행과 귀양살이가 되풀이 되어 정확한 종년(終年)은 알 수 없다. 배(配)는 淑人 죽산安氏, 淑人 연안李氏이며, 묘소는 행원 江亭中麓乙座이고 1822년 석천사(石川祠)에 배향(配享)됐다.

 

                  ■삼수군수공 교지(敎旨)■ (1)

삼수군수공 선략장군행선전관.jpg

    <1657 효종 9년, 선략장군행선전관자 종4품 下>

敎旨

魏天會爲

宣略將軍

行宣傳官

ㅇ治十四年十月十三日[印]

●내용 및 특징

1657년(효종 9) 10월 13에 孝宗이 魏天會에게 宣略將軍行宣傳官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선략장군(宣略將軍)은 종4품 西班 무관에게 주던 下階 품계이다. 선전관(宣傳官)은 선전관청(宣傳官廳)에 속하여 왕의 시위(侍衛)·전령(傳令)·부신(符信)의 출납과 사졸(士卒)의 진퇴를 호령하는 형명(形名) 등을 맡아본 일종의 무직승지(武職承旨)의 구실을 한 무관(武官)이다. 9품부터 정3품 당상관(堂上官)까지 있었는데 초기에는 8명, 후에는 25명으로 증원하여 이를 수석(首席 : 정3품 당상관) 1명, 당하관 3명, 참상관(參上官) 7명, 참하관(參下官) 14명으로 구분하였다. 품계가 관직보다 높으므로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 앞에 '行'자를 붙였다.

☞ 公에 대한 행장과 관련 대동보 면주, 지장록, 충의록, 장흥위씨 요람 등 모든 선대 기록에서 "三水府使"라고 수록하였으나, 승정원일기(1664 현종 5년, 3월 12일)에 "三水郡守"로 관직을 제수함이 확인되고, 현존 교지에 의거 차후에는 "三水郡守"로 함이 타당하다.

 

                 ■삼수군수공 교지(敎旨)■ (2)

삼수군수공 진위장군행충무위부사정.jpg

<1659 현종 1년, 진위장군행충무위부사정자 정4품 上>

敎旨

魏天會爲

振威將軍

行忠武衛

副司正者

宣傳官加資

ㅇ治十六年七月[印]

●내용 및 특징

1659년(현종 1) 7월 顯宗이 魏天會에게 振威將軍行忠武衛副司正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진위장군(振威將軍)은 정4품 西班 무관에게 주던 上階 품계이다. 충무위(忠武衛)는 조선의 군사조직 중 오위(五衛)의 하나이며, 부사정(副司正)은 소속 종7품 서반 무관직(武官職)이다. 품계가 관직보다 높으므로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 앞에 '行'자를 붙였다.

 

                 ■삼수군수공 교지(敎旨)■ (3)

삼수군수공 어모장군행오위도총부도사자 (1).jpg 

<1659 현종 1년, 어모장군행오위도총부도사자 정3품 下>

敎旨

魏天會爲禦

侮將軍行五

衛都摠府都

事者

ㅇ治十六年十二月二十七日[印]

●내용 및 특징

1659년(현종 1) 12월 27일 顯宗이 魏天會에게 禦侮將軍行五衛都摠府都事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어모장군(禦侮將軍)은 정3품 西班 무관에게 주던 下階 품계이다.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는 조선시대의 중앙군인 오위(五衛)를 지휘 감독한 최고 군령기관이며, 도사(都事)는 소속 행정실무를 맡은 종5품 西班 무관직(武官職)이다. 품계가 관직보다 높으므로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 앞에 '行'자를 붙였다.

☞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 조선시대 정이품아문(正二品衙門)으로 중안군인 오위(五衛)의 군무(軍務)를 맡아서 다스렸다. 중앙군 통제기구는 국초의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1393년(태조 2)에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고쳐 10위(衛)를 3군(軍)으로 나누어 귀속시켰고, 그 뒤 중앙군은 10사(司)·12사·5사·5위(衛)로 개편됨에 따라 통제기구도 승추부(承樞府)·삼군도총제부·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오위진무소 등으로 개편되었다가 1466년(세조 12)에 오위도총부로 고쳤다.

오위도총부는 중위(中衛 : 義興衛), 좌위(左衛 : 龍驤衛), 우위(右衛 : 虎賁衛), 전위(前衛 : 忠佐衛), 후위(後衛 : 忠武衛)를 귀속시켜 이를 지휘·감독하였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는 병조(兵曹)의 속아문(屬衙門)으로 되어 있으나, 병조는 군정(軍政)을, 오위도총부는 군령(軍令)을 각각 관장함으로써 횡적(橫的) 협조체제를 이루었다.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관원으로 도총관(都摠管: 正二品) 5원, 부총관(副摠管: 從二品) 5원, 경력(經歷: 從四品) 6원, 도사(都事: 從五品) 6원으로 되어 있다. 이속(吏屬)으로는 서리(書吏) 13명, 사령(使令) 20명이 있었는데 도총관·부총관은 부마(駙馬)를 비롯한 종실(宗室)의 척신(戚臣)이 임명되는 것이 관례였다. 오위도총부나 오위는 임진왜란을 계기로 그 체질상의 무력함이 드러나 훈련도감(訓練都監)·어영청(御營廳) 등 오위에 대체되는 중앙 군영이 설치됨에 따라 유명무실화되어 궁성의 숙위(宿衛)를 맡는 기관으로 명목을 유지해 오다가 1882년(고종 19)에 폐지되었다.

 

               ■삼수군수공 교지(敎旨)■ (4)

삼수군수공 어모장군행전남우도수군우후.jpg

 <1660 현종 2년, 어모장군행전남우도수군우후자 정3품 下>

敎旨

魏天會爲

禦侮將軍

行全南右

道水軍虞

候者

ㅇ治十七年六月二十[印]

●내용 및 특징

1660년(현종 2) 6월 20일 顯宗이 魏天會에게 禦侮將軍行全南右道水軍虞候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수군우후(道水軍虞候)는 조선시대 충청도, 전라좌·우도, 경상좌·우도 5수영(水營)에만 있었던 정4품 외관직 무관으로, 각 도(道)의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정3품)를 보좌(補佐)하였다. 전남우도(全南右道) 수영(水營)은 현재의 해남군 문래면 우수영 지역이다. 1440년(세종 22) 전라도 수군의 본영(本營)인 전라수영(全羅水營)으로 출발, 대한제국이 신식군대로 재편(再編)한 1895년(고종 32)까지 전라우도(全羅右道) 수군(水軍)의 총지휘(總指揮部)로 연해지역(沿海地域) 14관의 해안방어(海岸防禦)를 전담했었다.

품계가 관직보다 높으므로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 앞에 '行'자를 붙였다.

 

                     ■삼수군수공 교지(敎旨)■ (5)

삼수군수공 어모장군행오위도총부도사 (2).jpg

<1663 현종 5년, 어모장군행오위도총부도사자 정3품 下>

敎旨

魏天會爲

禦侮將軍

行五衛都

摠府都事者

ㅇ熙二年七月二十六日[印]

●내용 및 특징

1663년(현종 5) 7월 26일 顯宗이 魏天會에게 禦侮將軍行五衛都摠府都事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어모장군(禦侮將軍)은 정3품 西班 무관에게 주던 下階 품계이다.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는 조선시대의 중앙군인 오위(五衛)를 지휘 감독한 최고의 군령기관이며, 도사(都事)는 소속 행정실무를 맡은 종5품 西班 무관직(武官職)이다. 품계가 관직보다 높으므로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 앞에 '行'자를 붙였다.

☞ 公은 조선시대 군(軍) 조직의 최고 군령기관인 오위도총부의 都事로 1659년(현종 1) 12월 27일 임명된 후 2번째 같은 직(職)에 임명됨을 본 교지를 통해 알 수 있다.

 

                 ■삼수군수공 교지(敎旨)■ (6)

삼수군수공 어모장군행오위도총부경력.jpg

            <어모장군행오위도총부경력자 정3품 下>

敎旨

魏天會爲禦

侮將軍行五

衛都摠府經

歷者

ㅇㅇㅇ十一月 日[印]

●내용 및 특징

오랜 세월로 인해 자연 훼손되어 연도를 알 수 없으나, 추정에 의하면 顯宗이 위천회에게 禦侮將軍行五衛都摠府經歷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어모장군(禦侮將軍)은 정3품 西班 무관에게 주던 下階 품계이다.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는 조선시대의 중앙군인 오위(五衛)를 지휘 감독한 최고의 군령기관이며, 경력(經歷)은 소속 행정실무를 맡은 종4품 西班 무관직이다. 품계가 관직보다 높으므로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 앞에 '行'자를 붙였다.

 

                 ■삼수군수공 교지(敎旨)■ (7)

삼수군수 통훈대부행삼수군수.jpg

   <1664 현종 6년, 통훈대부행삼수군수자 정3품 下>

敎旨

魏天會爲通

訓大夫行三

水郡守者

ㅇ熙三年三月十二日[印]

●내용 및 특징

1664년(현종 6) 3월 12일 顯宗이 魏天會에게 通訓大夫行三水郡守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통훈대부(通訓大夫)는 정3품 東班 문관에게 주던 下階 품계이다. 군수(郡守)는 조선시대 지방행정 구역의 단위인 군(郡)의 행정을 맡아보던 종4품 외관직이다. 삼수(三水)는 지금의 양강도 압록강 상류 이남에 있는 지역이다.

품계가 관직보다 높으므로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 앞에 '行'자를 붙였다.

 

                  ■삼수군수공 교지(敎旨)■ (8)

삼수군수공 어모장군행충무위부사용.jpg

 <1665 현종 7년, 어모장군행충무위부사용자 정3품 下>

敎旨

魏天會爲禦

侮將軍行忠

武衛副司勇

ㅇ熙四年正月 日[印]

●내용 및 특징

1665년(현종 7) 1월 顯宗이 魏天會에게 禦侮將軍行忠武衛副司勇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어모장군(禦侮將軍)은 정3품 西班 무관에게 주던 下階 품계이다. 충무위부사용(忠武衛副司勇)은 조선의 군사조직 중 오위(五衛)의 하나로 소속 종9품 西班 무관직이다. 품계가 관직보다 높으므로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 앞에 '行'자를 붙였다.

 

                   ■삼수군수공 교지(敎旨)■ (9)

삼수군수공 어모장군행경상우도병마우후.jpg

<1671 현종 13년, 어모장군행경상우도병마우후자 정3품 下>

敎旨

魏天會爲

禦侮將軍

行慶尙右

道兵馬虞

候者

ㅇ熙十年十二月二十二日[印]

●내용 및 특징

1671년(현종 13) 12월 22일 顯宗이 魏天會에게 禦侮將軍行慶尙右道兵馬虞侯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어모장군(禦侮將軍)은 정3품 西班 무관에게 주던 下階 품계이다. 경상우도(慶尙右道)는 경상도 지방의 행정구역을 동·서로 나누었을 때 서부지역의 행정구역으로 28개의 군현이 속하였다. 병마우후(兵馬虞候)는 각 도(道)의 병마절도사(종2품)를 보좌(補佐)하는 종3품 西班 외관직 무관이다.

품계가 관직보다 높으므로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 앞에 '行'자를 붙였다.

☞ 경상우도(慶尙右道) :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를 양분(兩分)하여 그 오른쪽 지역에 속하는 여러 군(郡)을 통칭한 행정구역을 말한다. 상주진(尙州鎭)에는 성주(星州)·선산(善山)·금산(金山)·개령(開寧)·지례(知禮)·고령(高靈)·문경(聞慶)·함창(咸昌) 등 8개 군현이 속하였다. 진주진(晉州鎭)에는 합천(陜川)·초계(草溪)·함양(咸陽)·곤양(昆陽)·남해(南海)·거창(居昌)·사천(泗川)·삼가(三嘉)·의령(宜寧)·하동(河東)·산음(山陰)·안음(安陰)·단성(丹城) 등 13개 군현이 속하였다. 김해진(金海鎭)에는 창원(昌原)·함안(咸安)·거제(巨濟)·고성(固城)·칠원(漆原)·진해(鎭海)·웅천(熊川) 등 7개 군현이 속하였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성씨순위 및 장흥위씨 지역별 분포 내역 [1] 1707
공지 회주사 사호 개칭 경위 [1] 471
69 8.웅천현감공(諱 廷烈)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265
68 9.병조참판공(諱 廷喆) 교첩 4매, 교지 24매, 유서 3매 / 栢江 위성록 file 1266
67 10.문화현령공(諱 山寶) 교첩 3매, 교지 5매 / 栢江 위성록 file 333
66 11.상원군수공(諱 東峑) 교지 8매 / 栢江 위성록 file 262
65 12.귤우헌공(諱 世璜)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198
64 13.송와공(諱 世琦)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207
» 14.삼수군수공(諱 天會) 교지 9매 / 栢江 위성록 file 306
62 15.보성군수공(諱 赫萬) 교지 2매, 전령 1매, 유서 1매 / 栢江 위성록 file 313
61 16.절충장군공(諱 壽徵) 교지 2매 / 栢江 위성록 file 461
60 17.존재공(諱 伯珪) 교첩 8매 / 栢江 위성록 file 239
59 18.서계공(諱 伯純)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123
58 19.운수공(諱 啓忠) 교지 3매,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1] file 309
57 20.기타 분재기(分財記)·준호구(準戶口) 등 9매 / 栢江 위성록 [1] file 433
56 보성군수공(諱 赫萬) 재고증과 직계 후손 300년 제주도 거주 사실 / 栢江 위성록 [1] file 419
55 이순신장군 수군 재건로에 관하여 - 위성 [1] 487
54 分派의 誤謬와 改善方案-원산 244
53 李縡(1678~1746), 尹鳳九(1681~1767), 洪直弼(1776~1852)의 제자 / 圓山 위정철 216
52 奇正鎭(1798~1879)의 제자 / 圓山 위정철 371
51 崔益鉉(1833~1906), 宋秉璿(1836~1905), 田愚(1841~1922)의 제자 /圓山 위정철 436
50 天冠山의 地震記錄 / 圓山 위정철 120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