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존재우화(存齋寓話),

-질서 모범생 기러기와 협잡꾼 까마귀-

 어느 가을날 존재선생은 계춘동 집 마당에서 천관산 쪽을 바라보다가 넓은 벌판 상공을 줄지어 나르는 기러기의 비행에 그만 넋을 잃고 말았다. 기러기 편대가 열과 오를 맞추어 가지런하게 나는 모습이 마음에 쏙 들었다. 차례를 지켜 사뿐히 벌판에 내려앉는 착지도 어떤 새도 흉내 낼 수 없이 가뿐했다. 특히 모이를 먹을 때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투지 않고 순서를 기다리며 조급해 하지 않았다. 큰 소리도 내지 않는 모습에 감탄했다. 존재선생은 모범생 같이 질서를 잘 지키는 기러기를 새 중 으뜸으로 삼았다.

 기러기는 가을에 우리나라에 날아와 겨울을 보내고 다시 북쪽으로 돌아가는 철새이다. 논밭이나 하천과 저수지, 바닷가나 갯벌 등지에서 먹이활동을 벌인다. 초식하는 새로 벼, 보리, 밀 등의 곡식과 풀을 먹는다. 기러기 안(雁)자를 사용하는 단어인 목안(木雁)은 전통결혼식을 치를 때 나무로 기러기의 형상을 만들어 나란히 놓아 사랑을 표현했다. 사이좋은 형제를 일컬어 안행(雁行)이라 불렀다. 그러고 보면 기러기는 까마득한 옛날부터 지극한 부부간의 사랑과 사람 간에 두터운 정의 대명사로 인식되었던 것은 분명하다.

 까마귀 무리가 하늘을 비행할 때 퍼득퍼득 거리며 질서 없이 아무렇게나 난다. 모습이 뒤죽박죽이라 보는 사람의 정신을 쏙 빼 놓는다. 우는 소리도 온 천지를 진동시킬 만큼 시끄럽다. 까악까악 거리는 소리에 심장이 약한 사람은 지레 겁을 먹고 스트레스에 시달리기도 한다. 심지어 서로 먹으려고 싸움질까지 일삼았다. 혹시 짐승의 사체라도 발견하면 사정없이 마구 달려들어 아비규환으로 서로 안달이다. 사람들은 까마귀를 싫어해 질색하고 욕하며 내쫒기가 일쑤다. 존재선생은 까마귀를 질서 훼방꾼, 즉 협잡꾼의 상징으로 삼았다.

 까마귀는 농사를 짓는 땅이나, 구릉, 하천가, 강가, 탁트인 지역에 주로 나타나며 잡식성이라 곡식이나 과일, 동물의 사체 등을 먹는다. 가끔 날개를 활짝 펴고 꼬리를 바짝 올려 머리를 상하로 흔든다. 땅에서 먹이활동을 하다가 갑자기 튀는 행동을 벌이기도 한다. 두 가지 모두 상대방을 위협하는 특이한 행동이다. 농작물에도 피해를 주어 농민들의 골치 덩어리다. 까마귀의 어지럽고 기괴한 행태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기에 충분하다. 까마귀의 검은 색깔도 혐오하는데 한몫하고 있다.

 존재집 사물(事物)편 말미에 기러기와 까마귀 관련 글이 있다. 우화란 동물을 통해 인간의 생활상을 풍자하고 올바른 자세를 촉구하는 비유이다. 여기서 존재선생은 사회질서를 어지럽히는 협잡꾼 까마귀와 질서 모범생 기러기를 대비시킨다. 백성들에게 까마귀보다 기러기와 같은 질서준수를 요구했다. 그러나 현실에서 사람들은 기러기를 닮지 왜 하필이면 마음이 검은 까마귀를 닮느냐고 질책한다. 무질서한 인간, 마음이 검은 인간이라고 한탄한다. 여기에 사람의 근본인 마음이 외부로 표출되는 일원적 철학이 담겨있다. 이기일원론의 또 다른 모습이다.

 존재선생에게 있어 질서란 우주의 근본되는 원리이다. 해와 달, 네 계절 절기부터, 움직이고 숨 쉬는 사물과, 도구의 쓰임새나, 똥오줌을 누는 일까지 모두를 질서로 해석했다. 누에 실이 가늘지만 비단을 만들고, 거미줄이 미세하지만 공중에 걸린 거미줄에서 질서를 찾았다. 누에나 거미에게서 나오는 실이 약하고 보잘 것 없으나 질서가 있기에 근본목적에 철저히 부합한다는 결론이다. 존재선생의 입장에서 사회를 보면 까마귀처럼 무질서했다. 신분과 직업상 위계가 명확한 시대에서 평생 학문에 몰두한 터라 좀처럼 시끌벅쩍한 무질서한 세상이 마음에 들지 않았으리라.

(벽천 위윤기)

 


  ⌈'기러기가 땅으로 내려와 모일 때에는 모이를 먹으러 가는 것인데, 역시 앞 다투는 행태도 없이 날아서 차례로 천천히 내려온다. 먼저 내려온 기러기도 반드시 한 무리가 다 내려오기를 기다린 뒤에 모이를 쪼아 먹는다. 이런 점이 보통의 사물과는 상당히 다르다. 그런데 까마귀는 어지럽게 날고 한꺼번에 지저귀며 뒤섞여 싸운다. 사람들이 보고는 떠들썩함을 견디지 못하고 모두 머리가 아파 욕을 하지만, 정작 사람들 자신의 행동은 기꺼이 까마귀가 되지 기러기가 되지는 않는다. 이는 그 마음이 검기 때문이다.' (출처 : 존재집 사물(事物)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9 2024년 도문회장 신년사 관리자 2024.01.24 273
148 2024년 대종회장 신년사 관리자 2024.01.24 260
147 제27차 하계수련회를 마치고 관리자 2023.10.09 317
146 위승렬 대종회장 광주 원로종친 인사 방문 관리자 2022.12.30 440
145 가끔 짜릿함을 느낍니다-위현동 file 운영자 2022.01.05 646
144 우리 문중에도 물음표가 필요하다-2022년 야정 도문회장 신년사 운영자 2022.01.05 411
143 소통, 융합과 공존-송담대종회장 2022년 신년사 운영자 2022.01.05 121
142 우리의 뿌리는 하나이어라 淸蓮 2021.09.03 290
141 종친 들먹거리며 접근하네요 [1] 문성 2021.06.04 613
140 안녕하십니까 장흥위씨 운암공파 34대손 위성훈이라고합니다. [1] DavidWei 2021.02.13 905
» 존재우화(存齋寓話), -질서 모범생 기러기와 협잡꾼 까마귀- 벽천 2020.04.28 251
138 위자형 대종회장 새해인사(2019.12.30) 벽천 2019.12.30 362
137 장흥군 방촌리 매귀(埋鬼) 전남민속예술축제 최우수상을 수상 / 栢江 file 栢江 2019.11.04 337
136 장흥 금곡마을 영사재(永思齋)와 여곡재(餘谷齋) / 栢江 file 栢江 2018.12.27 524
135 장흥 금곡마을 관수재(觀修齋) / 栢江 위성록 file 栢江 2018.12.25 465
134 장흥 모산마을 용강사(龍岡祠)와 월산재(月山齋) / 栢江 위성록 file 栢江 2018.12.25 427
133 장흥마씨 집성촌 학송마을의 숨겨진 이야기 / 栢江 위성록 [1] file 栢江 2018.12.11 1559
132 충렬공 신도비 제막식 축사 / 위자형 대종회장 file 碧泉 2018.11.19 165
131 忠烈公 神道碑 除幕式 人事 / 德雲 魏滉良 file 碧泉 2018.11.15 86
130 회주 숲 공원(懷州 숲 公園) / 덕운 위황량 file 碧泉 2018.09.13 152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