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방촌마을 正月 대보름 別神祭 행사∼∼∼∼∼

1. 고향 방촌마을의 別神祭와 매귀(埋鬼)는 오래전부터 마을의 安寧과 주민들의 團合을 祈願하는 정월 대보름날의 傳統 風俗行事이다. 別神祭는 여타 마을의 洞祭, 堂祭 등과 土俗的 의미는 비슷하나 절차는 양반 儒敎的으로 다른 마을과 구별되고 매귀는 방촌마을 만의 독특한 리듬(湖南右道 農樂)이 전해지고 있는 등 傳統的 가치가 있어 앞으로 繼承 發展시켜야 한다.
매년 방촌마을에서는 大同契 주관으로 먼저 正月 初三日에 別神祭 祭官을 망정하여 회관 앞에 게시 公告한다.
대보름날 生氣福德日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주요 祭官으로 망정하는데 祭官은 初獻官, 亞獻관, 終獻官, 執禮, 祝官, 執事2명, 化主(제사 제물을 준비하는 일명 유사) 등으로 과거에는 이를 엄격히 지켰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늘 化主만 고생한다고 하여 화주가 初獻官을 兼하게 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망정된 祭官들은 別神祭를 모실 때까지 궂은일에 관여하지 않고 몸을 깨끗이 하기 위해 長川齋에서 기거하면서 벅수골(방촌 입구 鎭西大將軍이 위치한 곳) 주변 傷岑山(高麗 懷州의 主山)에서 흐르는 溪川 물에 몸을 씻고, 마을 밖의 출입을 禁하고 謹身하였으나 요사이는 집에서 행한다고 하니 厄運을 쫒기 위함의 몸가짐은 과거나 요즘이나 한결 가치 같음을 짐작케 한다. 또한 初獻官(화주)의 집에는 禁土인 黃土를 깔고 대문에 창호지로 꼰 禁줄을 쳐서 雜人들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방촌마을 입구 벅수골 鎭西大將軍과 鎭西女將軍 가슴에 창호지로 꼰 禁줄을 쳐서 마을에 厄運을 차단함과 중요행사인 別神祭를 告하고 있다. 마을 회관에서는 손 才能이 좋으신 어르신들이 모여 보름 전까지 매귀에 사용할 令期, 司令期, 덕석기, 大砲手, 조리중 등과 꽹가리, 징, 장구, 북 등 농악기를 정비한다. 특히 새롭게 고깔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2. 正月 14일에는 동네 어르신들이 化主 집에 모여 別神祭 제사에 쓰이는 笏記와 祝文을 쓰고 허제비를 볏짚으로 만들고 한지에 붓으로 人形을 그려 허제비 얼굴에 덮는 식으로 만든다. 또 祭物을 담는 망태도 함께 만들어 오후에는 회관 입구 등전마을 논두렁에 허제비와 생 대나무를 세워 禁줄을 친 사각 祭壇을 만들어 놓는다. 化主 집에 아녀자는 別神祭에서 사용될 祭物을 준비한다. 요즘도 음식 할 때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말을 하지 않는다고 한 것을 보면 精誠과 厄運을 쫒기 위함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祭餐으로는 조기, 병어, 장대(양태), 전어 등 생선, 꼬막, 돼지머리와 편육, 토란, 숙주, 고사리, 도라지 등등의 나물과 두부탕, 매생이탕이 곁들어진다. 편(떡)은 시루에 흰 백설기를 하는데 층 사이로 韓紙를 깔아 층을 구분하여 집에서 직접 쪄서 준비한다.


3. 보름날 아침 식후에 매귀꾼들(30∼40명)은 韓服을 입고 회관으로 나와 각자가 다루는 농악기 의상을 갖추고 상쇠 진행에 따라 회관 앞 광장에서 보름날 행사가 진행됨을 매귀을 친다. 이어서 祭官과 매귀꾼들은 벅수골로 향하야(방촌 고개 입구, 일명 馬士嶝) 鎭西大將軍, 鎭西女將軍에게 祭祀를 드려 한해 방촌마을의 無事安寧을 기원한다. 매귀꾼들은 化主집에 들러 문굿, 마당굿, 샘굿, 성주굿, 장독굿, 정재(부엌)굿 등을 한다. (이중에 정재굿은 아직도 생각난다.∼∼ 상쇠 : “매귀여어 ∼∼∼∼”라고 하면 매귀꾼들은 : “다 함께 어이∼∼∼∼” 상쇠 : “ 迎과 福과는 들이고 雜鬼 雜神은 쳐내자, 온갖 雜鬼 쳐내자, 군것 잡것 쳐내자.”)이어서 마당놀이를 하고 음식을 내 놓으면 술을 한잔씩 하고 다음 집으로 이동하여 똑 같은 형태의 마당 밟기 행사를 한다. 방촌마을의 보름날 행사는 과거 2000년 前까지는 2일간(陰 1. 15∼16) 170호 전 가구를 직접 방문하여 마당 밟기를 하면서 집주인은 쌀 한 종지와 살림살이에 따라서 10,000∼100,000원을 大同契(매귀계)에 내줘 마을 발전기금으로 사용된다. 또한 부유한 집에서 매귀꾼들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하여 수많은 동네 사람들이 參觀하였던 것이 생생하다. 최근에는 보름날 당일 하루 마당 밞기를 하면서 집주인의 招請에 의해서 주로 行해지고 있어 이는 家戶(110호)가 많이 줄고 時代變化에 따라 간소화 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4. 天冠山에 해가 걸친 오후 4∼5경에 회관 등전마을 입구 논에 매귀꾼들이 들어오고 상쇠의 리드로 매귀꾼들의 한판 놀이 후 “別神祭” 祭祀를 모신다. 祭祀는 集禮의 儒敎式 진행 節次에 따라 初獻禮 (工祝), 亞獻禮, 終獻禮로 진행된다. 飮福禮 때 참관 마을사람들에게 약떡을 나누어 주었는데 어릴 적에 어르신들은 “떡을 쪼그마케 주면서 적게 먹어야 만이 약 (홍역 예방)이 된다.”고 하였던 것이 기억난다. 이는 많은 참관사람들 모두 나누어 먹어야 하고 福을 함께 나누자 라는 의미가 숨어 있다. 이어서 祭官들은 허제비 망태에 祭物을 넉넉히 담아 횃불을 들고 매귀꾼들과 산저 마을 앞 허제비골로 향하여 허제비를 소나무 밑 개천에 놓아두고 허제비에게 주잔을 드린 다음 安寧을 救하고 돌아온다. 厄을 버리면 別神祭 祭祀는 끝난다. 허제비골 앞 개천은 방촌마을 밖의 평촌, 대평 마을로 이어져 물이 흘러 得粮灣 바다로 유입된다. 과거 1991년 방촌마을 앞 논 경지정리 前에는 여름철 7∼8월에 허제비골 앞 개천에 得粮灣의 은어가 방촌 범산(虎山)마을 앞까지 올라와 때죽나무 열매를 풀어 은어를 잡아 매운탕을 끓여 먹었던 추억도 있다.


5. 매귀꾼들은 마을에 돌아와서 다시 집집마다 마당 밟기 행사를 계속하고 마지막으로 마당 밟기 하는 집에서는 시간을 오래 동안 두고 행사를 한다. 1980년 전에는 동네 아낙(아짐. 형수, 누님 등)들이 韓服을 모두 차려 입고 보름달 아래서 圓形을 그려 돌면서 “강강술래”와 “진도아리랑” 唱을 하곤 했다. 첫날 대보름 행사 파장에는 “닭 떡국”이 최고의 別味였다. 이렇게 방촌사람들은 보름날에 다함께 행사를 갖고 다음날도 마당 밟기 행사를 한다. 그다음엔 하드레날(陰 2. 1) 매귀로 無事安寧을 祈願 행사를 갖은 후 農事에 전념 하였다.


6. 2000년 이전에 활동하셨던 중요 매귀꾼을 살펴본다.
1) 상쇠
- 啓馨 (1922∼작고) : 안항공파 10대손 (웅천공)
- 在烈 (1933∼작고) : 號 南隱 안항공파 11대손 (웅천공) , 고깔 만들기 재능
- 銀煥 (1924∼1981) : 안항공파 12대손 (반계공)
- 大煥 (1934∼ ) : 號 松齊, 판서공파 12대손
- 淵良 (1940∼1988) : 號 南亭, 안항공파 11대손 (청금공)
- 任昌模 (1934∼ ) : 외척
⋇ 1980 초반 년도까지 장평면 우산리 거주하는 수원 白氏(동산 밑에 거주하였던 북꾼 信良 할아버님의 손위 처남)가 보름날 행사에 大同契 초청으로 상쇠로 참여하였다.
2) 징
- 東良 (1918∼1988) : 號 勤圃, 안항공파 11대손 (청금공)
- 鍾煥 (1932∼2004) : 號 稼菴, 판서공파 12대손
- 壽煥 (1934∼ ) : 號 石岩 행원문중 첨정공파 12대손
3) 장구
- 士良 (1924∼1988) : 號 廣庵, 안항공파 11대손 (웅천공)
- 鍾良 (1928∼작고) : 號 淸齋, 안항공파 11대손 (청금공)
- 炎良 (1938∼2005) : 號 南耕, 안항공파 11대손 (웅천공)
- 守煥 (1944∼ ) : 號 翠山, 안항공파 12대손 (웅천공)
- 淑煥 (1951∼ ) : 안항공파 12대손 (청금공)
4) 북
- 福良 (1915∼1989) : 號 月樵 훈도공파 11대손
- 信良 (1920∼ ) : 안항공파 11대손 (청금공)
- 正煥 (1924∼ ) : 안항공파 12대손 (청금공)
5) 포수
- 권량 (1936∼1997) : 안항공파 11대손 (웅천공)
6) 조리중
- 璋煥 (1920∼작고) : 판서공파 12대손
- 八萬 (1933∼ ) : 號 春農, 안항공파 12대손 (반계공)
- 聖善 (1951∼작고) : 판서공파 13대손
7) 令期
- 外煥 (1940∼1995) 안항공파 12대손 (웅천공)
- 桂煥 (1942∼ ) : 號 溪月, 쳥계공파 12대손


7. 방촌마을 別神祭 및 埋鬼의 과제
방촌마을 출신이라면 20代 청년시절 正月 보름날에 마당 밟기 매귀 북꾼을 하면서 매생이탕과 닭 떡국 등 술과 음식을 먹었던 추억을 간직하고 있다. 그때에는 대부분의 각 마을마다 매귀와 洞祭가 있었으나 1970∼1980년대를 거치면서 離農현상으로 인해서 기능이 傳授 되지 않고 대다수의 마을에서는 자연 소멸되었다. 방촌마을의 別神祭와 매귀는 大同契의 주관과 마을주민들의 保存 意志가 强하여 尊屬 維持 되고 있다. 특히 2014년 11월 장성군에서 개최된 제40회 전남민속예술축제에서 일반부 농악 장흥군 代表 (매년)로 출전하여 입상하는 등 현재까지 命脈을 유지 地域社會의 귀감이 되고 있다. 이러한 傳統文化가 傳授 및 繼承되려면 퇴직한 出鄕 방촌사람들의 귀향과 젊은 청장년들이 마을에 정착 거주하면서 현재 別神祭 祭祀 節次와 매귀 才能을 保有(상쇠 : 憲良, 장구 : 守煥, 일부 부녀자들도 참여 )하고 있는 주민들로부터 체계적인 傳授가 필수 과제이다.


판서공파 13대손 栢江


 

20150309201312
20150309201312_2
20150309201312_3
20150309201312_4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성씨순위 및 장흥위씨 지역별 분포 내역 [1] 1707
공지 회주사 사호 개칭 경위 [1] 471
29 죽헌고택 편액 및 주련판독 / 위이환 file 549
28 위문 사우(祠宇) 편액(扁額) 이야기 (1) 2015/08/25 위성록 204
» 방촌리 정월 (正月) 대보름 별신제 (別神祭) 행사에 대해 2015/03/09 위성록 203
26 문중에 대해서 (5) 훈도공파 종중 2015/02/26 위성록 306
25 장천문중에 대해서 (4) 양곡공파 종중 2015/02/09 위성록 303
24 장천문중에 대해서 (3) 곡성현감공파 종중 2015/01/21 위성록 377
23 장천문중에 대해서 (2) 2015/01/09 위성록 [1] 233
22 장천문중에 대해서 (1) 2015/01/05 위성록 253
21 貞觀八學士記念事業會 推進에 대한 長興魏氏의 意見 2015/12/1 525
20 계후 종인의 책자 발간 반박의 글 2013/05/18 192
19 하북성 거록현 위씨와 장흥위씨 2012/10/31 432
18 도문회장님께 보내는 건의문 2011/07/09 위계후 91
17 위성탁씨 위계천씨 위종성씨 위춘규씨 왜 그렇게 생각합니까 08/03/30 위운영 155
16 전국 장흥위씨 여러분 위창주할아버지를 시조로 해야 합니다. 2008/03/30 위종성 374
15 위춘규씨, 위성탁씨 말씀을 맞습니다. 2008/03/30 위계천 115
14 위창주할아버지를 실질적인 시조롤 해야 함 2008/03/30 위춘규 216
13 그래서 나라위로 쓸것인지 성위로 쓸것인지, 혹은 두개를 공통으로 쓸것인지 말이 많다. 2008/03/30 위성탁 241
12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장흥위씨(長興魏氏) 마을 공동체 2008/03/30 위춘규 320
11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장흥위씨(長興魏氏) 유래 및 입향 2008/0330 위춘규 748
10 문중의 향후 과제 2007/09/15 위정철 80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