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역사속 조상이야기

공예태후와 五德 태생지의 유래 2006/09/07 원산

천관산 연대봉은 동쪽으로 뻗으며 두 개의 계곡을 이룬다. 정상에서 내려보면 오른쪽엔 장천동 왼쪽엔 당동이다. 그 당동에 독특한 사연을 간직한 집이 있다. 고려 때 왕자 3명이 왕위에 오른 왕비가 태어났다. 그리고 한 문중의 파조 5형제와 두 명의 효자가 태어난 집이기도 하다.
행정구역으로는 전남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112 당동(堂洞)마을. 집주인은 1000여 년 동안 다섯 번 갈렸다. 원래의 주인은 장흥 임씨(任氏), 탐진(耽津) 최씨(崔氏), 장흥(長興) 위씨(魏氏), 인천(仁川) 이씨(李氏), 연안(延安) 차씨(車氏), 수원(水原) 백씨(白氏) 그리고 현재는 위씨가 살고 있다.
임호는 당동에서 대박을 터드렸다. 아들 의(懿)는 곧 고려조정의 평장사(平章事), 손자 원후(元厚)는 중서령(中書令)에 올랐다. 증손녀는 왕비가 됐다. 바로 공예태후(恭睿太后)가 그 주인공이다. 그러니까 태후의 태생지는 당동이며 그래서 그 집터는 지금도 예사로운 집터가 아니게 본다.
왕비에 간택된 배경을 놓고 두 설이 있다. 하나는 당시 고려조정의 어의인 강진출신 최사전이 추천했다는 설이다. 주로 향토사학자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다른 설은 태조 왕건 이후 지방호족 통제수단으로 이어온 혼인을 장흥 호족 임씨에게도 적용했다는 주장이다.(고려대 박용운교수)
임씨들은 호족반열에 오를 만 했다. 호의 아들 의는 문하시중 직무대행을 지냈고, 손자 원후 또한 대단한 벼슬아치기 때문이다. 임씨들이 이민 2세부터 개경에 진출, 눈부신 활략을 한 이유는 어디에 있는가? 박교수는 당시 보림사 승려들과의 밀접한 관계를 들고 있으나 의문이 풀린 것은 아니다.
어쨌건 왕비로 간택될 때 원후는 기라성 같은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자신이 중서령이었다. 둘째, 장인 이위(李瑋)가 문하시중이었다. 셋째, 이자겸의 난으로 그의 딸들이 폐비가 됐다. 넷째, 기이하게도 정혼한 김인규(金仁揆)의 아들이 혼인예정일에 급사한 것도 불가사의한 일이다.
이위의 꿈 얘기도 있다. “황색의 큰 깃발이 궁궐의 용머리에 걸쳐 펄럭이는”꿈을 꾼 후 외손녀가 1126년 인종(仁宗·4년)의 비로 간택되는 연덕궁주(延德宮主)로 추천됐다. 연덕궁주는 이듬해(1127년) 의종(毅宗)을 낳고 2년 후인 1129년 왕비로 책봉된다. 언니(娥池)의 꿈을 샀다는 일화도 있다.
이후 경(暻)과 명종(明宗), 충희(沖曦), 신종(神宗) 등 5형제와 승경(承慶), 덕녕(德寧), 창락(昌樂), 영화(永和) 등 4공주를 낳는다. 왕후는 아들 의종이 즉위한 후 왕태후(王太后)에 오르고, 묘청의 난과 정중부등 무인정권에서 왕통을 고수하려 애쓰다 75세로 생을 마감, 공예태후 시호를 받았다.
공예태후는 당동이 낳은 인물이다. 장흥(長興)이라는 이름도 인종이 왕비의 출신고장이라 길이 흥할 길지를 상징해서 붙여준 지명이라 한다. 그의 아버지 원후는 1142년 인종 20년 문하시랑 평장사에 올랐다. 임씨들은 고려가 폐망하기까지 당동의 집에서 살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당동 집터의 두 번째 주인은 탐진 최씨일 것이다.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나 고려가 망한 후 장흥 임씨의 집을 인수했을 가능성이 크다. 최씨들이 약 3대쯤 살던 1490년대 말에서 1500년대 초의 주인은 최수동(崔壽東)이었다. 그는 슬하에 아들이 없어 데릴사위인에게 집을 물러줬을 것이다.
그러므로 당동 집터의 세 번째 주인은 장흥 위씨이다. 최씨의 사위인 19세 강능(江陵) 참봉(參奉) 휘 진현(晉賢·1483~1564)을 외동딸의 배필로 삼았다. 진현은 승문습독공(承文習讀公) 유형(由亨)의 셋째 아들로 지금 용산면 어산(語山)에서 살았다. 그러다 최씨의 딸과 결혼하면서 당동으로 갔다.
당동 입주의 시기에 대한 추정은 참봉공의 출생연도로 추정된다. 그는 1483년에 태어났기에 혼인적령을 20세 전후로 보면 1503년 전후로 보인다. 그 때 아버지 습독공은 돌아가고 어머니 평산 신씨와 둘째 형 진수(晉秀)와 살다 결혼 이후 어느 때 어머니를 당동으로 모셔 함께 살았다고 보인다.
참봉공의 생활은 비교적 여유로 왔다. 처가가 원래 재산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호사다마(好事多魔)랄까. 장인도 아들을 생산하지 못했는데 사위 또한 아들을 낳지 못했다. 하는 수 없이 둘째 형 진수의 네 아들 가운데 둘째 아들 곤(鯤·1515~1582)을 양자로 들여 대를 이어가게 한 것이다.
아들을 입양시키면서 당동은 이전보다 활기를 띈다. 호를 당곡(堂谷)이라 한 곤은 1549년(明宗 4년) 진사시험에 합격한다. 그리고 광주(廣州) 이씨(李氏)와 결혼해서 슬하에 덕홍(德弘)·덕의(德毅)·덕관(德寬)·덕화(德和)·덕후(德厚) 등 5형제와 두 딸을 낳으니 집안에 생기가 돌았다.
집에는 공부하는 강당인 수각(水閣)이 있었다. 여기서 5형제는 공부를 했다. 당시 그 수각에서 가사문학의 효시격인 관서별곡(關西別曲)을 지은 기봉(岐峯) 백광홍(白光弘·1522~1556)과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추앙받은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1537~1582)이 수각을 제(題)로 한 형제의 시를 보자.

古城殘堞半藤蘿: 고성의 무너진 담 반 틈은 등라가 얽혔는데
烏次餘民有幾家: 오차의 남은 백성 몇 집이나 있을 런지
山岳不崩江海闊: 산악은 무너지지 아니하고 강해는 광활하니
長生我欲問姮娥: 오래 삶을 내가 항아에게 묻고자 하네
溪南一路入松蘿: 계남의 한 길 소나무겨우살이로 들어가니
趁召高軒似到家: 부름 받고 옛집에 달려오니 벌써 이른 것 같네
盡醉不辭留夜宿: 취하도록 사양치 않고 머물러 밤을 새우니
小梅香裏候姮娥: 작은 매화 향기 속에 항아를 기다리네
※ 이 시는 기봉과 옥봉 형제가 당곡(堂谷) 아저씨를 위해 『당곡수각』을 제목으로 삼아 시를 지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기봉은 당곡과 불과 7살 연하인데 어떤 인연으로 아저씨가 되는지 확인되지 않아 안타깝다. 그 때는 백씨 집안과 깊은 인연이 있었던 모양이다.

당동 집의 네 번째 주인은 인천(仁川) 이씨(李氏)에 이어 다섯 번째는 연안(延安) 차씨(車氏)이다. 인천 이씨에 대해서는 아무런 흔적이 없다. 차씨들의 경우도 확실치 않다. 다만 차덕일·덕원 형제가 효자여서 후일 주민들에 의해 마을에 정려각(旌閭閣)을 세워 넋을 기렸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정려각은 낡아 없어졌다. 그리고 높이 180㎝, 너비 45㎝, 비후 20㎝ 크기의 비는 관산읍사무소 뜰로 옮겼다. 1980년 관산 소도읍 가꾸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땅속에 묻어버렸다. 이런저런 사실이 후손들의 귀에 전해지자 차씨들은 1982년 문제의 비를 방촌리 626의 2번지로 옮겨 세웠다.
여섯 번째는 수원(水原) 백씨(白氏)다. 백씨들이 차씨들로부터 집을 사들였는지 아니면 다른 성씨로부터 사들였는지는 확실치 않다. 장흥 위씨 가운데 당동의 집터에서 살았던 청계공(淸溪公) 후손들은 한 때 백씨들과 한 마을에서 살다 성자동으로 옮겨 살았다고 한다.
집터를 되찾은 주인공은 의재공(毅齋公)이다. 그는 평소의 소원이 선조들의 태생지를 되찾은 것이다. 비록 동네가 다른 성자동에 살고 있어도 당동 집의 동태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었다. 백씨들이 팔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해서 남의 손에 넘어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기다리고 기다린 끝에 백씨들부터 집을 판다는 정보가 입수됐다. 의재공은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매입에 나섰다. 상대가 위씨라는 사실을 안 백씨는 값을 터무니없게 불렀다. 그래도 의재공은 기회를 놓일 수 없었다. 그는 웃돈을 얹어주고 오덕의 탄생지를 되찾은 것이다.
당동의 집터는 단순한 터가 아니다. 임씨들은 시조의 집터이자 공예태후와 수많은 선조들의 태생지이기에 특별한 의미가 서려있다. 그래서 그들은 이 터를 다시 찾아 유장지로 가꾸고 싶어 매임을 타진했던 것이다. 그러나 뜻을 이루지 못해 마을 입구에 사당 정안사(定安祠)를 지어 선조들을 기리고 있을  것이다.

독립지사 덕암 위석규 file “용약분투(踊躍奮鬪), 만사일생(萬死一生)의 각오로 영토를 지키자” 독립지사 덕암 위석규 덕암 위석규는 1878년 3월 2일 전라도 장흥도호부 고하면(현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에서 위윤조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5살 때 한문을 익히기 시작했는데, 하루에 수백 문자를 어렵지 않게 익힐 정도로 신동의 자질을 보여줬다고 한다. 1889년 송병선 문하에서 수학했는데... 211
간암공 위세옥 file 다시, 불멸의 꽃으로 피어나리 <역주 간암선생문집> 출간을 기념하며 詩人 위성유(34世, 玉露) 허공에 흩어져 고이 잠들었던 꽃잎들이 한 잎 한 잎 역사의 부름에 떨리며 답하듯 250여년이 지난 오늘 비로소, 당신의 고귀한 업적이 불멸의 꽃으로 다 시 피어나고 있습니다 간암선생님! 님께서는 장흥 위씨 명문가 자재로 태어나, 천품이 영민하고 학문에 뜻 이 깊어 이른 나이에 세상 이치... 84
간암공 위세옥 행장/존재 위백규 씀 file 행장 行狀 대체로 부귀한 가문의 사람을 보면 반드시 부러워하는 마음이 생기게 마련이고, 남보다 뛰어난 재능과 기예를 가지고 있으면 반드시 자랑하려는 기색이 있게 마련이다. 공명(功名)에 뜻이 있지만 그것을 얻지 못한 자들은 끝내 반드시 속이 타는데 재주와 역량이 있는데도 뜻을 이루지 못하고, 평생 백에 하나의 기회도 얻지 못해 머리가 세도록 시골구석에서 가난하게 지내며 ... 223
만화로 보는 영이재公 위문덕(1704~1784) / 만화가 위성동 file 영이재公은 장흥위씨 25세, 안항공파로 1704년 장흥출신이다. 아버지 삼족당公과 아들 존재公을 이어주는 가교역할에 그 존재가치가 크다 하겠다. 최초로 문회를 창설하고 장흥위씨 족보인 기묘초보를 처음 만든 주인공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장흥위씨요람(2019, 보정판)에서는 “충렬공 묘소를 1740년 장흥 북동쪽에 위치한 제암산(帝巖山) 기슭에서 찾았다. 이때를 계기로「문... 184
만화로 보는 괴봉공(諱 대용 21世, 1530~1610) / 위성동 만화가 file 괴봉공(魁峰公) 괴봉공 휘 대용(大用; 21世 1530 ~ 1610, 부정(副正) 억문(億文)의 子, 원충(元忠)의 손(孫), 유정(由貞)의 증손(曾孫), 지장록 p916)이며, 호는 괴봉이다. 명종(明宗) 1555년(乙卯)에 진사(進士) 합격했으나 출사하지 않은 가문(家門)의 전통에 따라 벼슬길에 나아가기를 포기한다. 진사시험에 함께 합격한 문정공(文靖公) 윤두수(尹斗壽)와 친구간이다. 임진난이 일어날 ... 136
문화현령공(23세 諱 山寶 괴봉공파) 행장에 대해서... 문화현령공(23세 諱 山寶 괴봉공파) 행장에 대해서... 財痴 위현동(35世 행원문중 괴봉공파) 2017년 추석에 흥미로운 영화가 개봉되었다. 영화는 “남한산성” 인조 14년(1636년) 병자호란, 명과 오랜 선린관계 중인 조선에 군신관계를 요구해 거절당한 청이 대군을 이끌고 바람처럼 압록강을 넘어와 이에 임금과 조정은 급히 남한산성으로 피신한다. 그리고 12월 14일부터 이듬해 1637년 1... 297
만화로 보는 원감국사 / 만화가 위성동 file 원감국사(圓鑑國師) 원감국사는 고려시대 장흥을 대표할 인물이다. 국사는 고종(高宗) 13년(1226) 병술(丙戌) 11월 17일 장흥읍 동동리에서 참의정승(參議政丞)을 역임한 아버지 소(紹)와 어머니 원방대부인(原邦大夫人) 송씨(宋氏)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속명은 원개(元凱)이며, 출가한 후의 이름은 충지(沖止) 또는 법환(法桓), 자호는 복암(宓庵)이다. 국사는 나서부터 매우 총명... 198 댓글: 1
남편 목을 자른 위씨부인, 만의총(萬義塚) / 위현동 file 1. 명칭 : 남편 목을 자른 위씨부인, 만의총(萬義塚) 2. 소재지 : 전남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 3. 내용 : 일만의병(壹萬義兵)이 묻힌 만의총과 위씨부인 1)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에서 강진군으로 넘어가는 고개인 병치재에서 베를 짰던 위씨 부인 이야기 입니다. 앉아 있을 수도 서 있을 수도 없습니다. 대문 밖까지 나갔다 다시 집안으로 들어오길 몇 번이나 했는지…. 발에 감각도 없습니... 842 댓글: 1
해남현감공(諱 천상)의 호(號)는 왜 망서와(望西窩)일까? file 해남현감공(諱 천상)의 호(號)는 왜 망서와(望西窩)일까? 위현동(35세 괴봉공파) 해남현감공(海南縣監公) 공의 諱는 천상(天相, 24世 1635 ~ 1683, 三水府使公 天會의 동생 지장록 p133)입니다.효종(孝宗) 때 무과에 급제(1665년), 해남(海南) 현감(縣監)에 제수(1675년)되어 재임하면서 청백으로 목민(牧民)하니 현민들이 거사비(去思碑)를 세워주는 한편 공직에서 물러나 귀향한 후에도 ... 369 댓글: 1
1666년 삼수군수공(諱 天會 24세)은 왜 용천부로 유배를 갔을까? / 위현동 file 1666년 삼수군수공(諱 天會 24세)은 왜 용천부로 유배를 갔을까? 삼수군수공(諱 天會 24세, 1629~?)의 자는 여우(汝遇), 호는 취수헌(醉睡軒)으로 통덕랑공(諱 국보 國寶)와 恭人 광산金氏 사이에서 四子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公은 호남어사의 신분으로 장흥을 들른 노봉(老峰) 민정중(閔鼎重)이 公을 보고 武科에 응시하도록 추천하여 출사하게 되었다고 한다. 젊은 시절 '번쾌불사... 304 댓글: 1
만화로 보는 존재 위백규 / 만화가 위성동 file 存齋(1727~1798)公께서는 尤菴 송시열에서 屛溪 윤봉구로 이어지는 정통학맥의 嫡傳임을 자부했고 방촌에서 충청도 덕산까지의 千里길을 來往하면서 병계 윤봉구를 師門으로 정하고 性理學에 마음껏 精進하게 되었다. 존재공께서는 오직 科擧만을 염두에 두고 학문에 매진하였으나 당시 비리와 모순으로 얼룩진 과거시험장에서 더 이상 “들러리”를 설 수 없다는 생각에 39세때 進士及第를... 267
만화로 보는 충렬공(諱 위계정) 일대기 / 만화가 위성동 file 충렬공 위계정(魏繼廷)은 고려 문종 때 등제하여 선종, 헌종, 숙종, 예종 등 4조에 걸쳐 역임하고 관이 수태보문하시중태사(守太保門下侍中太師)에 이르러 예종 2년에 돌아가시니 충렬(忠烈)이라 시호를 내렸다. 예종 묘정에 배향됐는데 묘지는 장흥 제암산 자락의 연하동에 있으며, 음 10월 9일 묘전에서 시제를 올린다. 공은 문장으로써 이름이 높았으며, 작품으로 《동문선》에 하천안... 261
공예태후와 五德 태생지의 유래 2006/09/07 원산 천관산 연대봉은 동쪽으로 뻗으며 두 개의 계곡을 이룬다. 정상에서 내려보면 오른쪽엔 장천동 왼쪽엔 당동이다. 그 당동에 독특한 사연을 간직한 집이 있다. 고려 때 왕자 3명이 왕위에 오른 왕비가 태어났다. 그리고 한 문중의 파조 5형제와 두 명의 효자가 태어난 집이기도 하다. 행정구역으로는 전남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112 당동(堂洞)마을. 집주인은 1000여 년 동안 다섯 번 갈렸... 430
원감국사와 장원봉 file 장원봉(壯元峰)은 장흥 위씨의 전설적 고향이다. 산의 소재지는 전남 장흥군 장흥읍 남동리 88번지 장흥법원 뒷산이다. 그 산에 별로 높지 않는 봉우리 2개가 있는 데 장원봉과 거말봉이라 일컫는다. 언제인지는 모르나 선조들은 산아래 남동리에서 살았다. 시조공께서 신라조정에서 물러나 어디서 사셨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고려 예종 때 수태보문하시중인 5세 계정할아버지도 이곳 출... 365
오덕 할아버지의 탄향 file 오덕은 20세 곤(鯤)할아버지의 다섯 아드님으로 중조(中祖)로부터 21세손이며 첫째 덕홍(德弘), 둘째 덕의(德毅), 셋째 덕관(德寬), 넷째 덕화(德和), 다섯째 덕후(德厚)할아버지 즉 다섯 할아버지를 일컫는다. 첫째, 덕홍 할아버지 자손(子孫)은 판사공파(判司公派) 둘째, 덕의 할아버지 자손(子孫)은 청계공파(廳溪公派) 셋째, 덕관 할아버지 자손(子孫)은 운암공파(雲岩公派) 넷째, 덕... 433
효자송 이야기 file 소나무 한 그루가 효자의 사연을 안고 있다.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166-1 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소나무가 바로 그것이다. 그 소나무는 1988년 4월 30일 천연기념물 제356호로 지정되어 주민은 물론 길손들의 아늑한 쉼터가 되고 있다. 유래는 이렇다. 이 마을에는 위윤조(魏胤祚), 정창계(丁昌桂), 백충기(白忠基)라는 세 소년이 살았다. 세 사람은 친구지간으로 의협심이 강하고... 315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