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07 12:38
발췌;경향신문 2008년3월14일[역사의 땅,사상의 고향]
(30)천재 실학자 존재 위백규의 학문세계下
부패한 조선, 실용학문 개척한‘호남의 천재’
율곡의 개혁사상을 본받다
여섯 조항의 큰 줄기 강령을 열거하고, 그 강령의 세부적 실천논리를 개진한 내용이
다름 아닌 ‘만언봉사’였다.
여섯 조항 중에서도 가장 역점을 두고 주장한 대책은 바로 마지막 조항인 법제개혁의
논리였다. “혁폐(革弊)의 주장은 율곡 선생이 오래 전에 누누이 설명했습니다.
지금 그분의 문집을 가져다가 고찰해보면 금방 알게 됩니다. 만약 그 당시에 율곡 선생의 대책을 제대로 이행했다면 임진왜란의 화란도 그처럼 혹독한 지경에는 이르지 않았을 것입니다.
지금 법제의 폐단은 율곡 선생 때보다는 백배나 더 심한데, 조정에 있는 신하로서 단 한 사람도 율곡 선생의 주장을 임금에게 진언하는 사람도 없습니다”라고 분노에 찬
주장을 계속하였다.
존재 위백규가 태어나 일생을 살았던 방촌마을 전경. |사진작가 황헌만
율곡이 누구인가. 위백규보다는 한 세대 선배인 탁월한 실학자 성호 이익은 오래 전에 율곡의 위대함을 넉넉하게 설파하였다.
“근세의 율곡 선생 같은 분은 법제개혁에 대한 말씀을 많이 하셨다. 당시의 집권자들은 옳지 않다고 말했지만, 지금 다시 고찰해보면 너무나 명쾌하고 절실한 대책이었다.
그러니 열에 여덟이나 아홉은 모두 실행할 수 있는 주장이었다. 대체로 조선왕조 이래로 현실적으로 처리할 일을 가장 잘 알던 분은 율곡이었다”라고 성호는 그의 글 ‘논경장’(論更張)에서 설파하고 있다.
위백규 역시 실학자답게 율곡의 경장(更張)이론에 영향을 받아 당시의 부패한 제도와 무너진 국가기강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주장을 강력하게 펴고 있었다.
“우리의 오래된 나라를 통째로 개혁하자”(新我之舊邦)라고 외치며 국가개혁의 마스터플랜인 ‘경세유표’를 저작한 다산 정약용은 위백규의 한 세대 뒤의 후배로 경세치용(經世致用)의 연면한 사상을 총정리하고 종합하여 실학을 집대성한다.
위백규의 유적지를 찾아서
전라도의 땅끝 마을 장흥. 장흥읍 입구에는 존재 위백규의 동상이 우람하게 서있다.
육지의 땅 끝에 가장 우람하게 서있는 산은 장흥의 천관산이다.
천관산 산자락을 제대로 이용하여 아름답게 자리한 마을이 장흥군 방촌(傍村)이다.
유구한 전통과 역사를 지닌 방촌마을은 수백년 동안 장흥위씨(長興魏氏)들이 집성촌을 이루고 세거했던 마을이다. 산이 좋고 물이 좋은 탓인지, 마을의 어느 구석에도 가난은 보이지 않고 부귀의 모습만 보이는 마을이다.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즐비하고, 마을 앞의 넓은 들판을 건너 마주보는 천관산은 현인
들의 거주지임에 의심을 지니지 못하게 하였다. 산자락에 쭉 이어져 벌려있는 기와집, 최상단에 위치한 우람한 기와집에 존재 위백규의 선조들이 살아왔으며, 거기서 존재가 태어나 오래도록 생활했던 가옥이다.
존재라는 호는 스승 윤봉구가 위백규에게 써준 ‘존존재’(存存齋)라는 세글자에서
따온 호이고, 마을이 계항산(桂港山) 아래의 계항(桂港)에 자리잡고 있어서 계항일민, 계항운민 등을 자신의 호로 삼기도 했다.
지난해 추석 무렵 우리 일행은 위백규의 유적지를 찾아 존재의 생가를 들렀다. 땅끝
장흥의 관산 바닷가에서 충청도의 덕산(德山)에 살던 스승 윤봉구를 찾아다닐 수 있었다면 당시 위백규 집안의 살림 형편을 짐작할 만하다. 가세가 그만큼 넉넉하였기에 그만한 와가가 생존시부터 지금까지 온전하게 유지되고 있을 것이다.
강진의 다산초당과 장흥의 다산정사
장흥군과 강진군은 군청 소재지로 보면 불과 4~5㎞의 거리다. 장흥군 방촌 마을의 뒷산 자락 한 부분이 다산(茶山)인데, 강진의 만덕산 아래 산자락의 한줄기가 또 다산이다.
장흥의 다산에서는 존재 위백규가 다산정사(茶山精舍)를 짓고 학문에 힘쓰고 제자들을 가르쳤는데, 강진의 다산초당에서는 다산 정약용이 귀양살면서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가르쳤다.
위백규는 전라도 출신의 큰 실학자였고, 정약용은 경기도 출신이지만 다산초당에서 학문을 완성하였다. 이런 우연도 있는 것인가.
세상 일이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위백규는 노론계통의 학자였고, 정약용은
남인계열의 학자였다. 귀양오기 3년 전에 타계하여, 위백규의 학풍이 다산이 살아가던 곳에도 남아 있었겠지만, 다산의 저서에 위백규는 언급된 바가 없다. 이 점도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장흥읍 입구에 서 있는 존재 위백규의 동상.
우리는 계항 마을 출신으로 위백규에게는 방손(傍孫)인 위황량(魏滉良)씨의 안내로 생가도 둘러보고, 다산정사에도 올라가 위대한 학자, 천재학자의 흔적을 찾느라 두리번거렸다. 다산정사의 바로 곁 산등성이에는 위백규의 묘소가 있었고 선대의 묘소도 쭉 이어져 있었다.
1798년에 세상을 떠난 존재, 200년이 훨씬 넘게 그곳에 잠들어있으나, 묘역은 정말로
초라했다. 높은 학문에 비교하여 겨우 현감이라는 낮은 벼슬 때문에 신도비도 세울 수 없고, 화려하게 묘역을 치장할 신분이 되지도 못했다. 그래서 재야 선비의 묘소로 초라하게 남아 있었다.
“인걸(人傑)은 지령(地靈)이다”라는 옛말이 있다. 이곳 어디에 무슨 지령이 있었기에 이만한 천재가 이곳에서 태어나 그만한 학문의 업적을 이룩했을까. 존재의 아버지는 진사(進士)로 호가 영이재(詠而齋)이던 위문덕(魏文德)이었고, 조부는 삼족당(三足堂) 위세보(魏世寶)로 시·서·화 3절로 유명했던 당대의 문사였다고 한다.
글과 시가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던 가문의 유풍을 이어받고 다산의 산자락에 자생하는 차가 자랐기에 그런 향기로운 운치를 타고나서 그만한 대학자가 탄생했으리라.
계항산 속 다산정사에서 은자로 숨어살면서 희대의 실학사상을 완성한 존재의 풍모가
그려졌다. 다산사(茶山祠)에는 존재의 신주가 모셔져 그의 학덕을 기리고 있다.
문집인 『존재집』과 많은 저서
학문이 높고 실학에 뛰어난 학자라는 명성이 서울까지 울리자, 정조 20년인 1796년에
70세 노인의 저작이 상자에 곱게 담겨 임금에게로 전달된다.
이 때의 문집은 위백규 자신이 정갈하게 편집하여 제책한 24권이었다. 내각(內閣)에
보관되었을 그 문집은 뒷날 잃어버려서 후손들의 손에 의하여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다시 편집하여 1875년에 활자로 인쇄하여 책이 간행되었다.
24권에 12책으로 꾸며져 오늘까지 온전하게 전해지고 있는 문집이다. 이 문집을 원집
(原集)이라 부르고, 간행하지 못하고 필사본으로 전해지는‘고금’(古琴)과‘환영지’ ‘황명사략’(皇明史略) 등의 서적이 있는데, 근래에는 모두 영인되어‘존재전서’로
간행되어 전해지고 있다.
문집을 살펴보면 넓고 깊은 존재의 학문세계가 보인다. 아무리 훌륭한 경세학자도
경(經)에 밝지 않고는 정통의 학자가 될 수 없었음은 그 시대의 엄연한 사실이었다.
‘독서차의’(讀書箚義)라는 글에는 대학·논어·맹자·중용 등의 사서(四書)에 대한
골똘한 연구결과가 모두 담겨 있고, 서경(書經)에 대한 연구결과로‘요전설’(堯典說), ‘우공설’(禹貢說) 등의 글을 통해 정리되어 있다. 이런 학문의 밑바탕을 튼튼하게
닦은 결과로 그의 실학사상이나 경세학(經世學)의 실용논리도 제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만덕사(萬德寺)에서 노닐던 존재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에는 만덕사라는 절이 있다. 다산초당에서 오솔길을 따라 등선
하나만 넘으면 있는 절이다. 18년의 귀양살이 동안에 다산 정약용이 가장 많이 드나들던 절이다.
그렇게 절친했던 스님 혜장선사(惠藏禪師)가 머물던 절로, 만덕사 또는 백련사라고 부르던 절이다. 위백규도 고향에서 멀지 않은 곳이어서 이곳을 찾은 적이 있다.
다산이 찾아오기 이전의 일이었다.
동백꽃 떨어져 푸른 잔디를 덮자
금모래 위 게으른 걸음으로 명승지 찾았네
한 곡조 뱃노래에 강위 해가 저물자
사람들 홀연히 동정루(洞庭樓)에 오르네
(山茶花落綠莎 懶步金沙選勝遊 一曲漁歌江日晩 忽然人上洞庭樓)
‘만덕사’라는 제목의 위백규의 시다. 만덕사의 동백꽃 군락지는 세상에 유명한 경관이다. 위백규가 찾았던 그때의 만덕사에도 동백숲은 우거져 꽃이 지고 피었나보다.
이런 시를 짓고 만덕사에 노닐었던 위백규가 세상을 떠난 3년 뒤에 강진으로 다산은
귀양왔고, 그 8년 뒤에 다산초당에 은거하면서 수시로 백련사에서 노닐었다.
정약용의 동백꽃 시는 너무 많아 인용할 수도 없다. 당대의 실학자들이 노닐었던 만덕사에는 지금도 동백숲이 푸르게 우거져 군락지를 이루고 있다.
학술과 정치·경제의 중심지 서울에서는 천리의 외딴 바닷가 시골에서 조선후기 학문을 대표하던 호남 3천재의 학문은 중심이 실학사상이었다.
그 중에서도 존재 위백규의 학문은 정통유학의 맥을 이으면서도 시대를 앞서가는 학문영역을 개척하였다. 우암 송시열, 수암 권상하로 이어지는 노론 학맥, 권상하의 큰 제자가 병계 윤봉구였다.
윤봉구에게서 학문을 익히고, 시대를 넘어 새로운 학풍을 열었던 존재는 그의 천재성과 눈을 감을 수 없는 부패한 현실이 새로운 학문의 길을 열어주었다.
그래서 후배 학자 매산 홍직필은 존재의 ‘묘지명’에서, “천관산 높고 높아/ 전라도 전체에서 우러러보네/ 울창한 다산이여/ 가을 동백도 시들지 않네”(天冠峨峨 一路仰止 有鬱茶山 秋栢不死)라고 읊으며 존재의 유풍여운(遺風餘韻)은 천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찬사를 바쳤다.
그만큼 그의 실학사상은 나라와 백성들에게 도움을 주는 논리라는 해석을 내렸다고 여겨진다.
72세로 영면한 그의 혼은 아직도 장흥 고을의 곳곳에 학풍을 식지 않게 하고 있었다.
〈 박석무 | 한국고전번역원 원장·성균관대 석좌초빙교수 〉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장흥위씨 2600년 그 뿌리를 찾아서(영상) | 1192 |
공지 | 성씨표기 통일화 추진 결과 보고서(2015년 11월 21일 작성) | 977 |
18 | 圓山 위정철 소장의 [存齋公의 生涯 및 著述 年譜3-1(1세~34세)] 2015/07/28 위윤기 [1] | 954 |
17 | 圓山 위정철 소장의 [鶴村公과 北道陵殿誌] 2015/07/28 위윤기 [1] | 257 |
16 | 역사의 인물 병조참판 만회재 위정철 2015/04/27 위성록 | 320 |
15 | 국역 존재집 판매 2014/11/26 위인환 | 77 |
14 | 만회재 심양왕환일기 출판 2014/08/06 | 171 |
13 | 만회재 왕환(往還)일기 발견 2014/05/03 | 91 |
12 | 전주대 국역 존재집 출판기념회 2013/07/19 | 110 |
11 | 위씨의 연원과 太世系 2013/07/26 원산 | 223 |
10 | 판사공에 대한 족보기록과 왕조실록 2010/05/13 원산 | 719 |
» | 천재 실학자 존재 위백규의 학문세계 下 /2008/04/09 위경환 | 120 |
8 | 천재 실학자 존재 위백규의 학문세계 上 /2008/04/09 위경환 | 108 |
7 | 漢詩로 본 원감국사 일대기(2부) 2007/04/18 원산 | 1007 |
6 | 漢詩로 본 원감국사 일대기(1부) 2007/04/18 원산 | 749 |
5 | 임계탄의 저자는 누구인가? 2007/01/05 원산 | 230 |
4 | 감암공의 상소문 | 337 |
3 | 임계탄 가사 | 970 |
2 | 수우옹의 금당별곡 2007/01/05 원산 | 483 |
1 | "존재 위백규" 연구논문과 연구 서적 리스트 2004/09/17 위경환 | 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