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장원봉은 장흥군 장흥읍 동동리 뒷산에 있다. 봉우리라 하기에는 어설프다. 야산 크기의 산에 마치 낙타등만큼 볼룩하게 나온 봉우리를 봉우리라 부르기에는 너무 거창하게 생각된다. 과장이 아니다. 세상에 저런 작은 봉우리를 봉우리라 하는지 의아스럽다. 하지만 우리 위씨와는 너무도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니 궁금해진 것은 인지상정. 얘기만 들을 게 아니라 한번 가서 눈으로 보자고 나선 것이다.

위가라도 장흥 출신이 아니면 장흥읍은 다른 읍소재지에 비해 깨끗하고 상쾌하게 느껴진다. 탁트인 내양강(탐진강)과 억불산의 신비스런 자태가 나그네의 눈을 그렇게 만든다. 다리를 건너 구시가지로 접어들면 제법 잘 정돈된 로터리와 읍사무소 건물과 마주친다.조금 더오르면 경찰서 그리고 고려시대 어느 때부터 우리 조상님들이 살으셨다는 터전인  법원과 검찰청 청사가 나온다.    

법조청사는 입구부터 고색과 위엄이 풍긴다. 경찰서 정문에서 출입자를 감시하는 보초부터 나그네의 기를 죽인다. 정문에 들어서기도 전에 족히 수백년은 지났을 낙낙장성이 버티고 있는 모습에서 터가 예사롭지 않음을 직감하게 만든다. 용기를 내서 구내로 들어가 보니 오른쪽은 법원, 왼쪽은 검찰청사다. 마당에 서서 앞으로 보니 배산임수가 풍수에 문외한이라도 좌청룡 우백호가 조화를 어룬 명당처럼 보인다.

그럼 장원봉은 어떤가. 법원과 검찰청 청사가 시야를 가려 전체를 볼 수 없다. 겨우 두 청사 사이의 간극을 이용해서 뒤산을 보니 대단한 산을 아니지만 집터와 알맞게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오른쪽에 있는 거말봉(居末峰)은 법원청사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장원봉(壯元峰)은 제대로 보였다. 멀리서 보면 시원찮게 보이지만 법조청사에서 보니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게 집터와 안성맞춤 조화를 이룬 듯 하다.

나그네 후손은 만감이 오갔다. 우리 조상들은 언제부터 여기서 살으셨을까? 당나라 태종이 신라 선덕여왕으로부터 도예지사의 파견을 요청받고 시조공께서 동래하셨다는 데 어찌하여 후손이 경상도에 살지 않고 여기까지 왔을까? 이 집 자리에서는 누구부터 사셨고, 얼마 동안 사셨을까? 중시조공 휘 창조, 충렬공, 휘 계정, 원감국사 등 조상들은 과연 이곳에서 태어나셨을까? 등등 궁금한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었다.

그러나 어찌하랴. 어디에도 시원한 대답을 해줄 이는 없다. 사람만 없는 게 아니고 기록도 없고, 흔적도 없다. 있다면 족보와 구전으로 전승된 장원봉 전설이 유일(?)하다. 이미 들어서 알겠지만 장원봉의 내력은 이렇다. 1200년대 초 지금 법조청사 자리에 위원개, 위문개, 위신개 등 3형제가 자라고 있었다. 족보에는 이들 3형제의 아버지가 6세조이시고 용주부사(龍州副使)를 지낸 휘 위소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원개 3형제는 매우 영민했다. 그래서 맏이인 원개는 17세 때 사마시에 합격하고 2년 후인 1244년에 본시인 예부시에 장원으로 급제 한다.동생 문개도 이듬해인 1245년에 또 장원급제하고, 막내도 그 후 과거에 급제하기에 이른다. 고려 조정에서 보면 변방 중에 변방인 고장에서 3형제 중 형제가 장원에 급제하고 막내마저 급제하니 동네는 물론 고을 전체가 떠들썩할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리라.

그러자 동네 사람들은 뒷산의 두 봉우리에 이름을 붙였다. 원개와 문개를 상정해서 큰 봉우리를 장원봉이라 하고, 막내 신개를 상정해서 거말봉이라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여기다 마을 전체를 과거에 장원했다는 비유로 승방동(勝榜洞)이라고 이름 지었다. 그리고 원개, 문개 형제가 장원급제를 자축하며 지은 시와 주민들이 형제의 장원을 축하하는 의미에서 노래하는 시가 오늘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자축시는 이렇다.月宮丹桂最高枝, 去年今年兄弟折= 월궁의 계수나무 가장 높은 가지를 거년과 금년에 우리 형제가 꺾었구나. 黃金榜首吾曾占, 丹桂魁科子亦收, 千萬告來稀有事, 一家生得二得龍= 황금의 계수나무 일찍이 내가 차지 했는데 장원의 월계관을 그대 또한 거두었네 천만 고래 드믄 일이라 한 집에서 두 마리 용을 길러 얻다니. 한편 주민들은 바위아래 오두막에서 용을 길러 냈다며 즐거워 했다.

우리는 산봉우리와 자축시 등의 전설을 통해서 몇 가지 사실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성씨마다 신화적인 전설을 가지고 있다. 흔히 알에서 사람이 나오고, 아기가 모세처럼 바다에 뜬 돌바구니 속에서 건져냈다는 등의 얘기가 그것이다. 그러나 장원봉의 전설은 거기에 비하면 과장도 아니고 꾸며낸 이야기도 아니다. 더구나 원개는 나중에 출가해서 송광사 6세조로 국사의 시호를 받은 원감국사라는 실존인물이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사실은 조선의 건국으로 조상들께서 살던 집에서 쫓겨난 점이다. 우리의 14세조인 판사공 휘 충은 고려에서 합문판사를 지낸 인물이다. 그는 이성계 일당이 고려를 뒤엎으러 하자 김종연 등 고관들과 함께 그들의 역성혁명 기도를 방지하는 모의를 했다가 발각돼 된서리를 맞게 된다. 판사공은 곤장 백대를 맞고 귀향됐다. 이성계의 무리들이 정권을 잡으니 우리 조상들은 하루 아침에 반역자의 집안이 된 것이다.

이런 와중에 장흥은 치소(治所) 자리를 두번이나 옮기게 된다. 현재 관산읍 방촌에 있었던 치소가 왜구의 잦은 출몰로 1379년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로 갔다가 1392년 조선의 건국과 동시에 장흥읍 지금 중녕산 인근으로 옮겨졌다. 그러다 장흥도호부로 승격되면서 치소가 비좁자 우리 조상들의 보금자리를 치소이전 적지로 점을 찍은 것이다. 역적집안이 무슨 힘이 있겠는가. 집을 빼앗기고 나올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장원봉 밑의 역사는 그런 연유로 종지부를 찍은다. 기록이 없는 상계의 조상 즉 중시조나 충렬공의 태생지는 어디일까. 두 분 모두 장원봉 밑이 고향이라는 사실은 아무데도 없다. 충렬공의 경우는 김부일이 쓴 숙종교서(肅宗敎書) 마지막에 장흥인이었다는 기록이 동문선(東文選)에 남아 있다. 그러므로 상계의 조상 가운데 충렬공과 원감국사 형제들의 태생지는 장원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나그네 후손의 눈에는 그런 조상들의 보금자리였던 장원봉 밑 동동리에 조상들의 체취를 느낄 수 없다. 도문중과 대종회는 하산사 앞뜰에 비의 숲을 이룰 정도로 많은 비석을 세워두고 있다. 각 종중은 그들의 직계조상 흔적을 이유로 유장비를 세우 등 야단법석을 떨지 않았는가. 그런데 그 유서 깊은 장원봉 밑에는 손 바닥 크기라도 여기 우리 조상들이 몇 백년 동안 사셨다는 표석하나 세워지지 않았다.

과연 잘한 일인가. 우리는 입으로는 위선사업을 잘 한다. 실재로 도문중과 대종회는 많은 일을 했다. 그럼에도 꼭 해야 할 일인 장원봉의 조상 유장지 표시는 지금까지 방치하고 있는 것이다. 살던 보금자리를 관에게 빼앗긴 조상들의 절규가 들리지 않는가. 피를 토할 저주와 절규를 조금만 귀 기울리면 들리는데 왜 듣지 못하는가. 왜 하필 힘없는 나그네 후손에게만 그 소리 그 절규를 외면하는지 모를 일이다.

한편 나그네는 2005년 백산재에서 열린 도문회 회의에서 이 문제를 제기했다. 당시 종원들은 그제서야 장원봉 유래비를 세워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왜 그런 문제에 착안하지 못했는가에 아연하기도 했다. 그 후 유래비를 세우는 방법을 모색했다. 그래서 덕운께서 장흥군과 문화원측과 협의하여 지난해 연말 문화원에 7인 추진위를 구성, 군청에 예산지원을 요청, 07년 9월 21일 유래비를 세운 것이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성씨순위 및 장흥위씨 지역별 분포 내역 [1] 1246
공지 회주사 사호 개칭 경위 [1] 171
47 祠號를 懷州祠로 바꾼 당위성 / 圓山 위정철 [3] 87
46 성곤 종친의 국회의원 당선의 의미 - 원산 위정철 176
45 위성곤종친의 국회의원 당선을 축하하며 - 위상복 67
44 2016 지리산 상무주암을 다녀와서 [1] file 912
43 역주 존재집 간행시말(譯註 存齋集刊行始末) 640
42 2016 원감국사 기제 참례기/위상복 [1] file 318
41 * 병계(屛溪) 윤봉구 별세 때 그에 제자 존재 위백규 선생한테 보낸 부고 /위이환 [1] file 311
40 장흥위문 사우(祠宇)·고택(古宅) 역사(歷史)와 편액(扁額)이야기/ 栢江 위성록 file 2770
39 문화재로 지정된 백산재 스토리 2009/03/26 원산 117
» 조상들의 옛터 장원봉과 거말봉 2005/06/16 원산 208
37 ■자회가(自悔歌) 책 소개/ 위이환 file 97
36 존재 위백규 선생의 가사 "자회가(自悔歌) 일부" 아버님은 하늘되시고~/위이환 file 202
35 존재 위백규 선생 가사 자회가 전문/위이환 file 424
34 존재 위백규 선생 가사 << 합강정선유가 전문 >> 8~14편/위이환 file 411
33 존재 위백규 선생 가사. << 합강정선유가 전문 >> 1~7/위이환 file 457
32 장흥 방촌리 존재고택(古宅) 역사(歷史)와 편액(扁額) 분석/ 위이환 file 474
31 魏나라의 歷史와 遺跡/圓山위정철 [1] file 584
30 독립투사(우정公,승환公,난사公,희정公) 공훈록 130
29 죽헌고택 편액 및 주련판독 / 위이환 file 495
28 위문 사우(祠宇) 편액(扁額) 이야기 (1) 2015/08/25 위성록 158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