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15.보성군수공 교지 2매, 전령 1매, 유서 1매

-원소장처 : 위상복(부장공 14대손, 김천시 운곡 출신) 

-현소장처 : 방촌유물전시관

장흥위문 내 선조에 대한 기록은 대표적인 기묘보초보를 포함한 7번에 걸쳐 편찬한 족보(族譜)의 면주(面註)와 지장록(誌狀錄)•충의록(忠義錄), 묘갈명(墓碣銘) 등이 있다. 또한 근래 원산(정철) 종원이 ⌜장흥위씨요람⌟⌜천년세고선집⌟을 편찬하여 여러 선조에 대한 행장(行狀)을 접할 수 있다. 그런데 보성군수공(諱 赫萬)에 대한 족보 면주•지장록, 행원 파보(派譜) 내용이 매우 빈약하다. 장흥위씨요람 등에서 언급되지 않아 종원(宗員)들에게 잊혀 있던 선조 중에 한분이다. 특히 괴봉공파종중에서 조명 부족과 직계 후손들이 300년 이상 제주도에서 거주해오면서 본향(本鄕)과 교류가 미미하여 제대로 관심을 갖지 못한 것이 중요 원인이라고 사료된다. 최근 公에 대한 교지 등 고증 자료가 확인되어 재조명을 통해 업적을 종원들에게 알리고자 한다.

 

<기묘대동보 면주, 지장록, 승정원일기 비교 고증>

1)기묘보 4卷 p.18 면주 내용

 諱 赫萬 25세, ~ ? 자(字)는 화경(華卿) 생졸년(生卒年) 기록은 없다. 일찍이 등무과(登武科)하고 歷府院諸職하며 出守旌義하야 歲値歉荒에 읍민(邑民)을 구활(救活)하니 치적(治績)이 임금에게 알려져 친필로 백성들에게 널리 알려 상(賞)으로 말 한필을 하사(下賜)하셨으며, 낙안군수와 보성군수에 임명되었다고 수록 되어 있다. 배(配)는 숙부인 연안李氏이다. 묘소(墓所)는 장평 馬峙艮座로 합조(合兆)이다.

2)기묘보 지장록 내용

 지장록 p.1024~1025 「通訓大夫行寶城郡守公事實」에 의하면 公의 諱는 赫萬이요 字는 華卿이니 魁峯先生 諱 大用의 玄孫이요 縣監 諱 天相의 막내아들이다. 公이 나면서부터 체격이 壯大하였고 말수가 적으며 經書나 史記를 모두 통달하였고 筆法이 또한 정미로워 굳세며 算術이 귀신같았다. 팔도(八道) 감영(監營)의 水使·兵使를 수행하는 관원으로 있다가 武科에 급제하여 訓練院 主簿, 摠經都事, 司憲府監察을 지냈으며 外職으로 정의현감(旌義縣監)을 나갔는데 흉년을 만나 현민(縣民)을 구활(救活)하니 치적(治績)이 임금에게 알려져 親筆로 백성들에게 널리 알려 상(賞)으로 말 한필을 하사(下賜)하셨으며, 그 후 낙안과 보성군수로 임명되었고, 뒤에 해남·진도·대정·광양 등 현감을 역임하였는데 부임(赴任)한 곳마다 모두 비(碑)가 세워져 있다. 아들이 없어 伯氏(泰萬)의 둘째아들 원징(原徵)으로 후사(後嗣)를 삼아 가업을 이어받아 武科에 올라 가리포첨사를 지냈으며 一子인 原載를 두었으니 정의현감 때 소생하였으므로 자손들이 그대로 살고 있다고 수록되어 있다.

3)승정원일기 내용

 ①1696년(숙종 22) 6월 22일 아산만호, ②1705년(숙종 31) 2월 28일 임치첨사, ③1707년(숙종 33) 5월 11일 부호군, ④1710년(숙종 36) 12월 3일 겸내승, ⑤1710년(숙종 36) 12월 21일 낙안군수, ⑥1716년(숙종 42) 1월 23일 정의현감, ⑦1721년(경종 1) 7월8일 진해현감, ⑧1722년(경종 2) 1월 22일 경복궁 가위장, ⑨1723년(경종 3) 3월 14일 군산첨사, ⑩1724년(경종 4) 1월 28일 잉임사승전, ⑪1725년(영조 1) 3월 21일 부호군, ⑫1725년(영조 1) 12월 4일 보성군수, ⑬1726년(영조 2) 6월 2일 단부부호군, ⑭1728년(영조 4) 1월 11일 법성첨사 등 1731년까지 35년간 관직에 재임하면서 관직제수(官職除授), 의금부나인(義禁府拿因)사실, 서용(敍用), 전교(轉交), 장계(狀啓) 등 30건의 기록이 확인된다.

4)결론(비교 추정 등)

 장흥위문 내 관직을 역임한 선조의 행장을 확인할 수 있는 대동보 면주, 지장록, 충의록 등 각종 기록에서는 관직 제수, 재임지역, 내용 등 여러 기록에서 誤記가 확인된다. 조선시대에 왕명(王命)의 출납(出納)을 관장하던 승정원에서 매일매일 취급한 문서와 사건을 기록한 승정원일기(국보 제303호)에서 公에 대한 기록 중,

①정의현감 이전에 낙안군수를 제수(除授)함이 확인되며 지장록 내용의 훈련원주부·총경도사·사헌부감찰·해남현감·진도군수·대정현감·광양현감 제수 사실이 확인되지 않는다. 더군다나 조선시대에서는 외관직 제수 시 향피(鄕避)제를 원칙으로 하였고, 해남현감은 公의 선친(先親) 해남현감공(諱 天相 24세, 1635~1683)이 역임을 하여 당대 시대 상황에 의하면 부자(父子)를 동일 관직에 제수할 수 없었다고 사료되며, 진해현감 제수 사실을 해남현감으로 誤記하였다고 판단된다. 진도군수 재임 관련된 기록으로는 1711년(숙종 37) 2월 19일 진도군에서 군기(軍器)를 점열(點閱)할 때 화약이 터져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전라도순무사 권상유의 장계에 대한 전교 내용 중, “巡營軍官前郡守 魏赫萬”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진도군수 재임 사실이 아니고 1710년 12월 21일 낙안군수에 제수한 사실에 의거 낙안군수 역임을 前 郡守로 기록함이 확인된다.

☞ 巡營軍官 : 감사(監司)를 수행하는 무관을 칭함.

②선정비(善政碑)는 정의현감, 임치첨사 역임 지역에 세워져 있다.

보성군수공 정의현감 선정비.jpg          

                 <정의현감 재임 선정비>

☞ 정의현(旌義縣)은 현재의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이다.

보성군수공 임치첨사 선정비.jpeg

                     <임치첨사 재임 선정비>

-1685년 순찰사 이사명   -1707년 임치첨사 위혁만   -1807년 임치첨사 강필윤   -1863년 임치첨사 정신훈

☞ 임치진(臨淄鎭)은 현재의 전남 무안군 해제면 임수리 지역이다.

③公은 해남현감공(諱 天相)과 宜人 창녕曺氏 사이에서 삼자(三子)로 태어났다. 생졸년은 기록되지 않아 알 수 없으나, 백형(伯兄) 내경공(諱 泰萬)의 생년이 1662년이다. 중형(仲兄) 以萬公의 생졸년도 기록되지 않았다. 가정(假定)해서 公의 生年을 1667년으로 잡고, 25세(1692년)에 武科 급제 후 보성군수 등 여러 관직 역임 등 35년간 봉직하고 70세 안팎(1731년-1667년=64년) 연령 때 타계하였을 거라고 추정해본다.

④公과 配 숙부인 연안李氏 사이에서 1女를 생산하고 후사(後嗣)가 없어 伯兄 내경공(諱 泰萬)의 차자(次子) 원징(原徵, 1690~ ?)을 양자(養子)로 하고 가업을 잇게 하였다. 원징의 면주(기묘대동보 4권 P.81~82)에는 克承先業하고 登武科하야 內歷主簿하고 外任僉使하다. 라고 수록되어 있으며, 지장록에서 가리포첨사를 지냈다고 하였다. 그러나 승정원일기에서는 1750년(영조 26)~1757년(영조 33)간 10회 기록되어 있으며, 관직은 수문장과 적양첨사(赤梁僉使) 제수(除授)가 확인되어 지장록의 가리포첨사 역임은 오기(誤記)로 판단된다. 차후 존호(尊號)를 “적양첨사공”으로 칭함이 타당하다.

☞ 해남현감공(諱 天相, 24세), 보성군수공(諱 赫萬, 25세), 적양첨사공(諱 原徵, 26세) 3代가 무과에 급제하고 중요 관직을 역임함이 확인되었다.

☞ 적양진(赤梁鎭)은 현재의 경남 남해군 창선면 진동리 지역이다.

보성군수공 정의현감 선정비.jpeg

             <水軍 적양진성 설명 표지석>

 

                 ■보성군수공 교지(敎旨)■ (1)

보성군수공 아산만호.png

<1696 숙종 22년, 어모장군행경원진관아산병마만호자 정3품 下>

敎旨

魏赫萬爲禦

侮將軍行慶

源鎭管阿山

兵馬萬戶者

康熙三十五年六月二十二日[印]

●내용 및 특징

1696년(숙종 22) 6월 22일에 肅宗이 魏赫萬을 禦侮將軍行慶源鎭管阿山兵馬萬戶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어모장군(禦侮將軍)은 정3품 西班 무관에게 주던 下階 품계이다. 만호(萬戶)는 조선시대 외침 방어를 목적으로 설치된 만호부의 종4품 무관직이다. 위혁만은 경원진관의 아산에 소속되었다. 경원(慶源)과 아산(阿山)은 함경북도 최북단에 위치한 곳이다. 품계가 관직보다 높으므로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 앞에 '行'자를 붙였다.

 

                   ■보성군수공 교지(敎旨) ■ (2)

보성군수공 절충장군 행용양위.png

<1707 숙종 33년,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자 정3품 上>

敎旨

魏赫萬爲

折衝將軍

行龍驤衛

副護軍者

康熙四十六年五月 日[印]

●내용 및 특징

1707년(숙종 33) 5월에 肅宗이 魏赫萬을 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절충장군(折衝將軍)은 정3품 西班 무관에게 주던 上階 품계이다.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은 조선시대 五衛에 속한 용양위의 종4품 무관직이다. 품계가 관직보다 높으므로 행수법(行守法)에 따라 관직 앞에 '行'자를 붙였다.

 

                 ■보성군수공 전령(傳令)■ (1)

보성군수공 전령.png

             <1711 숙종 37년, 전령군관 위혁만>

●내용 및 특징

1711년(숙종 37) 1월 초5일에 全羅道觀察使가 軍官 魏赫萬에게 발급한 傳令이다.

새로 제수된 낙안군수(樂安郡守)는 조사(朝辭)하지 말고 부임(赴任)하라는 내용으로 이미 관문(關文)을 작성하여 내려 보냈고, 이조(吏曺)의 서리들이 궁교(宮敎)를 가지고 감영(監營)에 와서 대기하고 있으니, 전령(傳令)을 받아보는 대로 속히 감영으로 나와서 명령을 받은 후에 부임하라고 지시하는 내용이다.

말미에는 ‘兼使(押) 都事’라고 하여 전라감사의 결재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전면에는 ‘全羅道觀察使之印’으로 추정되는 관인(官印)이 세군데 찍혀 있다.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위혁만은 1710년(숙종 36) 12월 21일에 낙안군수(樂安郡守)로 임명되었다가, 1711년 1월 초5일에 개차(改差)된 것으로 확인된다.

☞ 낙안군 : 지금의 전남 순천시 지역이다.

☞ 조사(朝辭) : 조정(朝廷)에 나아가 임금에게 사은숙배(謝恩肅拜)하고 하직(下直)하는 일. 지방 수령(守令)으로 임명된 이는 임지(任地)로 떠나기 前에 임금에게 하직 인사를 하고, 외국(外國)의 사신(使臣)은 길을 떠나기에 앞서 조정(朝廷)에 들어가 임금을 만나 뵙고 하직 인사를 드렸다.

☞ 궁교(宮敎) : 궁중의 법도, 규율을 말함.

☞ 개차(改差) : 관직(官職)을 다시 임명하는 것을 이르는 말.

 

                 ■보성군수공 유서(諭書)■ (1)

보성군수공 유서.jpg

           <1716 숙종 42년 유정의현감 위혁만>

諭ㅇ義縣監 魏

赫萬

今觀濟州前牧

使洪重周畢賑

狀 啓則爾所備

穀物雖不至甚多

借給農牛隨力

起墾使必死之

類復其生業治

績誠極可嘉特

賜熟馬一匹爾

其領受故諭[印]

康煕五十六年十二月 日[印]

●내용 및 특징

정의현감 위혁만에게 유시(諭示)하노라.

지금 제주 전 목사 홍중주(洪重周)가 필진장(畢賑狀)을 보고한 것을 보니, 네가 비축한 곡물을 비록 심하게 많이 빌려주기에 이르지는 못했으나 농우의 힘에 맞게 개간을 하였고, 끝내 죽게 생긴 사람들(必死之類)로 하여금 그들을 생업에 복귀시킨 정성 쌓음이 극에 이르렀으니, 가히 칭찬하여 특별히 길이 잘든 말(馬) 1필(匹)을 하사하니, 너는 이것을 받으라. 고로 유시하노라.

강희 56년12월(숙종 42년12월)

☞ 필진장(畢賑狀) : 구휼(救恤)을 마쳤다는 보고 문서.

☞ 1716년(숙종 42) 11월 9일 가뭄으로 삼남(三南) 감영(監營)의 관수(官需) 1/8을 줄이고 그 밖의 갖가지 내려야 할 것도 모두 2/8를 줄이되, 모든 도(諸道)로 하여금 신결미(新結米)를 거둘 때 시행하게 함.(서울 600年史 기록 중, 1716년 중요 기록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방을 비롯하여 조선 八道에 가뭄이 매우 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성씨순위 및 장흥위씨 지역별 분포 내역 [1] 1250
공지 회주사 사호 개칭 경위 [1] 171
67 10.문화현령공(諱 山寶) 교첩 3매, 교지 5매 / 栢江 위성록 file 278
66 11.상원군수공(諱 東峑) 교지 8매 / 栢江 위성록 file 217
65 12.귤우헌공(諱 世璜)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163
64 13.송와공(諱 世琦)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163
63 14.삼수군수공(諱 天會) 교지 9매 / 栢江 위성록 file 261
» 15.보성군수공(諱 赫萬) 교지 2매, 전령 1매, 유서 1매 / 栢江 위성록 file 271
61 16.절충장군공(諱 壽徵) 교지 2매 / 栢江 위성록 file 397
60 17.존재공(諱 伯珪) 교첩 8매 / 栢江 위성록 file 186
59 18.서계공(諱 伯純)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87
58 19.운수공(諱 啓忠) 교지 3매,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1] file 261
57 20.기타 분재기(分財記)·준호구(準戶口) 등 9매 / 栢江 위성록 [1] file 356
56 보성군수공(諱 赫萬) 재고증과 직계 후손 300년 제주도 거주 사실 / 栢江 위성록 [1] file 371
55 이순신장군 수군 재건로에 관하여 - 위성 [1] 428
54 分派의 誤謬와 改善方案-원산 195
53 李縡(1678~1746), 尹鳳九(1681~1767), 洪直弼(1776~1852)의 제자 / 圓山 위정철 170
52 奇正鎭(1798~1879)의 제자 / 圓山 위정철 323
51 崔益鉉(1833~1906), 宋秉璿(1836~1905), 田愚(1841~1922)의 제자 /圓山 위정철 391
50 天冠山의 地震記錄 / 圓山 위정철 84
49 祖上에 대한 享祀와 追配 / 圓山 위정철 202
48 懷州祠와 柏山齋 懸板 이야기/圓山 위정철 113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