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소재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존재고택 앞에 세워진 안내판  중
"자회가" 내용 설명.
 
BandPhoto_2015_01_29_18_19_26.jpg
사진-장흥존재고택 안내판
**장흥존재고택 안내판에 있는 자회가 풀이

resized_20150131_113939_-769099338.jpg

20150131_130421_1986643387.png

 



자회가(自悔歌)
-존재 위백규 작.

아버님은 하늘 되시고

어머님은 땅이 되셔

피와 살을 나누어 이 몸이 생겼으니

배를 앓아 키우실제 수고는 끝이 없고

짚자리 앓는 배는 누굴 위해 앓았으며

아들이라 기쁘신가 무슨 일을 보시려고

마른자리 나를 주고 젓은 자리 옮아가며
(이하략.총288구)

*句(구)-시조나 사설의 짧은 토막.

**자회가(自悔歌) 설명

구분-가사
저자-위백규(魏伯珪)
원문 수록-존재가첩(存齋歌帖),존재전서(存齋全書), 삼족당가첩(三足堂歌帖)
출간 시기-1787(정조 11)
출판사-경인출판사

1787년(정조 11) 위백규(魏伯珪)가 61세 때 지은 총 144구의 가사. 필사본. 《삼족당가첩(三足堂歌帖)》과 《존재가첩(存齋歌帖)》에 수록되어 있다. 1974년 경인출판사에서 간행한 영인본 《존재전서(存齋全書)》 하권 부록편에 수록되어 있다.
<자회가>는 제목 그대로 생전의 부모에게 불효하였던 자신의 과거를 스스로 뉘우치며 어버이를 섬기는 자식된 도리를 술회하는 사연으로서 그 내용은 8단(段)으로 나누어진다.
제1단은 어버이가 자식을 낳아서 온갖 희생과 정성을 다하여 길러내는 부모은공(父母恩功)의 서사적(序詞的)인 사연이고,
제2단은 자식을 길러 행여 기쁨이나 볼까 하고 기다리는 어버이의 소망은 아랑곳없이 결혼후에는 제 처자식에게만 사랑을 옮겨 늙은 부모를 천대하는 망은불효(忘恩不孝)의 태도,
제3단은 젊은 아들내외는 단란한 생활을 영위하나 어버이는 이미 늙고 병들어 온갖 고초와 슬픔을 다 겪으며 잠 못 이루다가도 날이 새면 또다시 어쩔 수 없는 천륜의 정 때운에 세상걱정 손자 사랑에 세월을 보낸다는 사연이고,
제4단은 노부모가 죽은 뒤에 그제야 효자인 척 울음을 울며, 명당을 얻어 저 혼자 부귀영화를 누리려 하나 하늘이 시기하여 죽어도 편하지 못하게 천장(遷葬)까지 하게 된다는 사연,
제5단은 어느덧 자신도 늙고 보니 지나간 부모의 슬픈 일이 돌이켜지고 뉘우쳐져 원통해하는 참회,
제6단은 형제끼리 화목하고 언행을 조심하여 선행으로써 어버이의 낯을 내도록 하여야 된다는 사연,
제7단은 참된 인간이 되어 남에게 칭찬을 받으면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이며 궂은 일을 범하면 부모를 욕되게 한다는 것을 서술하고,
제8단은 생전의 불효는 뉘우쳐도 미치지 못하니 후생(後生)길에 가서라도 부모자식간의 연분이 다시 맺어지길 황천에 축원하는 결사(結詞)이다.
이와같이, <자회가>는 생시의 부모에게 효도를 권장하는 도덕가적 성격으로 되어 있으나, 그 사연이 다른 도덕가류처럼 관념적인 면에 치우치지 않고 어쩌면 유치하리만큼 섬세한 사연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특히, 눈에 뜨이는 것은 관념적인 한자어는 거의 쓰지 않고 순수한 우리말의 생활어를 조금도 꾸밈없이 실감있게 구사하고 있어서 그의 연시조인 <농가(農歌)>와 함께 우리들에게 더욱더 친밀감과 소박한 진실감을 자아내게 하는 수작(秀作)이다.

출처- 국어국문학자료사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성씨순위 및 장흥위씨 지역별 분포 내역 [1] 1448
공지 회주사 사호 개칭 경위 [1] 324
» 존재 위백규 선생의 가사 "자회가(自悔歌) 일부" 아버님은 하늘되시고~/위이환 file 224
106 分派의 誤謬와 改善方案-원산 224
105 장천문중에 대해서 (2) 2015/01/09 위성록 [1] 219
104 17.존재공(諱 伯珪) 교첩 8매 / 栢江 위성록 file 219
103 7.청금공(諱 廷勳) 교첩 2매 / 栢江 위성록 file 211
102 하계수련회 소감문- 조민기 file 210
101 단소·사우 제향의 불공평과 개선방안 208
100 위창주할아버지를 실질적인 시조롤 해야 함 2008/03/30 위춘규 200
99 성곤 종친의 국회의원 당선의 의미 - 원산 위정철 199
98 李縡(1678~1746), 尹鳳九(1681~1767), 洪直弼(1776~1852)의 제자 / 圓山 위정철 199
97 금당별곡과 임계탄 작품과 저자 2007/01/05 위정철 191
96 13.송와공(諱 世琦) 교첩 1매 / 栢江 위성록 file 190
95 방촌리 정월 (正月) 대보름 별신제 (別神祭) 행사에 대해 2015/03/09 위성록 189
94 하계수련회 소감문- 위준서 file 189
93 하계수련회 소감문- 마예진 file 189
92 35.홍문관수찬공(35세 道源, 1838~1886) / 栢江 위성록 file 187
91 위송실(魏松實) 독립지사 판결문-碧泉 위윤기 file 187
90 하계수련회 소감문- 최선우 file 185
89 晩秋에 고향 시제를 다녀와서......2006/12/05 위성록 184
88 위문 사우(祠宇) 편액(扁額) 이야기 (1) 2015/08/25 위성록 184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