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강정선유가 전문 >> 8~14편
8.
■원문
왕관 상망니 도로분쥬 마년일다
쳥하이쳔 다 두엇 명일기쥬 뭇도 마소
슈한의 상 셩 방츄슈 바라기
보아부족 할가니 치도거화 폐단일다
각읍 관니 동녁할졔 편박조 낭니
의 호화로되 면셩의 눈물인고
■현대문
왕래(往來) 관개(冠蓋) 상망(相望)하니 도로분주(道路奔走) 몇 천인가
청하이천 다 두었네 명월지주(明月之珠) 묻지도 마소
수한(水旱)에 상한 백성 방백(方伯) 추수 바라는 것은
보아부족 하려는데 제도(諸道) 거화(擧火) 폐단(廢端)이다
각 읍(各邑) 관리 동역(董役)할 때 편복(鞭扑)조차 낭자(狼藉)하니
한 사람의 호화(豪華)로되 몇 백성의 눈물인가
■ 어휘풀이
72) 관개(冠蓋) : ① 높은 벼슬아치가 타고 다니던 수레. 말 네 필에 멍에를 매어 끌게 했다. ② 높은 벼슬아치가 머리에 쓰던 관과 해를 가리던 일산(日傘)을 통틀어 이르던 말.
73) 상망(相望) : 서로 바라봄.
74) 명월지주(明月之珠) : 옛날에 유명한 보옥(寶玉)인 야광주(夜光珠)의 별칭.
75) 방백(方伯) : 관찰사.
76) 제도(諸道) : 여러 길.
77) 거화(擧火) : 횃불을 켬.
78) 동역(董役) : 큰 공사를 감독함. 또는 그 사람.
79) 편복(鞭扑) : 편달(鞭撻). 채찍으로 때림.
9.
■원문
방 부근 십니 안의 겨견도 졀종다
셕냥은 다 져가지고 니졍은 촉반니
한쥬의 우 소부 발 구르고 일른 말어
방아품의 어든 냥식 두 되 잇것마
찬소 엇지며 계명은 뉘계 빌고
압뒤집 바라보니 셰알시로 엇지 빌가
■현대문
사방(四方) 부근 십 리 안에 계견(鷄犬)도 절종(絶種)한다
석양(夕陽)은 다 저 가고 이정(里正)은 촉반(促飯)하니
한주(寒廚)에 우는 소부(少婦) 발 구르고 이르는 말이
방아품에 얻은 양식(糧食) 한두 되는 있지마는
찬소(饌蔬)는 어찌하며 기명(器皿)은 누구에게 빌릴까
압뒷집 바라보니 세알시로 어찌 빌릴까
■ 어휘풀이
80) 절종(絶種) : 생물의 씨가 아주 없어짐.
81) 이정(里正) : 조선 시대에, 지방 행정 조직의 최말단인 이(里)의 책임자. 수령의 통제를 받는 면임(面任)의 아래 직위이며 다섯 집을 통괄하는 통주(統主)의 위인데, 조선 후기에 들어서 낮은 신분의 사람들이 임명되기도 하여 이정(里丁)이라고도 하였다.
82) 촉반(促飯) : 밥을 재촉함.
83) 한주(寒廚) : 찬 부엌.
84) 소부(少婦) : 어린 부녀자.
85) 찬소(饌蔬) : 반찬.
86) 기명(器皿) : 그릇.
10.
■원문
촌계돈은 다진니 가슈호렴 고나
호 양이 넘고 소호 뉵칠젼가
이 노름을 다시면 이 셩은 못살
낙업안토 더니 할일업시 거산다
가장젼지 다 팔고셔 어듸로 가잔말고
늘근이 부지고 어릿거슨 잇그럿
■현대문
촌계돈(村鷄豚)은 다 진(盡)하니 가호수렴(家戶收斂) 하는구나
대호(大戶)는 냥(兩)이 넘고 소호(小戶)는 육칠(六七) 전(錢)인가
이 놀음을 다시 하면 이 백성은 못 살겠네
낙업(樂業) 안토(安土) 하려는데 하릴없이 거산(擧散)한다
가장(家庄) 전지(田地) 다 팔고서 어디로 가자는 말인가
늙은이는 부지(扶持)하고 어린 것은 이끌었네
■ 어휘풀이
87) 촌계돈(村鷄豚) : 마을의 닭과 돼지.
88) 가호수렴(家戶收斂) : 집집마다 거두어들임.
89) 대호(大戶) : ① 살림이 넉넉하고 식구가 많은 집안. ② 계전법의 다섯 등급 가운데 첫째 등급. 대개 50ha 이상의 땅을 가진 민호를 이른다.
90) 냥(兩) : 예전에, 엽전을 세던 단위. 한 냥은 한 돈의 열 배이다.
91) 전(錢) : 예전에, 엽전을 묶어 세던 단위. 1전은 열 푼을 이른다.
92) 낙업(樂業) : 맡은 직업을 즐김.
93) 안토(安土) : 그 땅에 편안히 삶.
94) 거산(擧散) : 집안 식구나 한곳에 살던 사람들이 모두 뿔뿔이 흩어짐.
95) 가장(家庄) : 집의 전장(田庄)
96) 부지(扶持) : 상당히 어렵게 보존하거나 유지하여 나감.
11.
■원문
슬풀다 이런 가졍 호에셔 더 무셥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나님계 비나이다
우리 셩상 인심이 광명촉불 되계 사
빗최소셔 빗최소셔 이 원졍의 빗최소셔
젼노풍셜 들니기 치죄이향 다커
간활인가 여겨더니 음식 도로 타시로다
■현대문
슬푸다 이런 가정(家庭) 맹호(猛虎)보다 더 무섭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하나님께 비나이다
우리 성상(聖上) 인애심(仁愛心)이 광명촉(光明燭)불 되게 하시어
비추소서 비추소서 이 원정(原情)에 비추소서
전로(前路) 풍설(風說) 들리기는 치죄(治罪) 이향(離鄕) 한다고 하거늘
간활(奸猾)인가 여겼더니 음식 도로 탓이로다
■ 어휘풀이
97) 전로(前路) : 앞길.
98) 풍설(風說) : 풍문.
99) 이향(離鄕) : 고향을 떠남.
100) 간활(奸猾) : 간사하고 교활함.
12.
■원문
노비졈고 무일고 슌령슈의 상덕일다
음식은 약슈고 화로 공니
조을시고 조을시고 상평통보 조을시고
만이 쥬면 무고 젹게 쥬면 경
남문밧 우 소 난리를 만나넌냐
츈당 치 장막 오목에 무일고
■현대문
노비(奴婢) 점고(點考) 무슨 일인가 순령수(巡令手)의 상덕(上德)이다
음식은 약수하고 화로(火爐)는 공행(恭行)하니
좋을시고 좋을시고 상평통보(常平通寶) 좋을시고
많이 주면 무사(無事)하고 적게 주면 생경(生梗)하네
남문 밖 우는 소리 난리를 만났느냐
춘당대(春塘臺)106 치는 장막(帳幕) 오목대에 무슨 일인가
■ 어휘풀이
101) 점고(點考) : 명부에 일일이 점을 찍어 가며 사람의 수를 조사함.
102) 순령수(巡令手) : 대장의 전령과 호위를 맡고, 순시기ㆍ영기(令旗) 따위를 받들던 군사.
103) 상덕(上德) : 웃어른에게서 받는 은덕.
104) 공행(恭行) : 삼가 행함.
105) 생경(生梗) : 두 사람 사이에 불화가 생김.
106) 춘당대(春塘臺) : 서울 창경궁 안에 있는 대(臺). 옛날에 과거를 실시하던 곳이다.
13.
■원문
참암 형위즁 교예 져 쳥금아
오십쥬 시례향의 일 의 업단말가
식복 조은 우리 슌상 관녹 조은 우리 슌샹
드르시면 육죠판셔 나오시면 팔도방
공명도 조컨이다 뷔귀도 긔지업다
망극손 셩은이요 감격손 셩덕이라
■현대문
참암(慘暗)한 형위 중에 교예(較藝)하는 저 청금(靑衿)아
오십삼주(五十三州) 실여향(失如鄕)의 일개(一介) 의사(義士) 없다는 말인가
식복(食福) 좋은 우리 순상(巡相) 관록(官祿) 좋은 우리 순상(巡相)
들으시면 육조(六曹) 판서(判書) 나오시면 팔도(八道) 방백(方伯)
공명(功名)도 좋거니와 부귀(富貴)도 그지없다
망극할손 성은(聖恩)이요 감격할손 성덕(聖德)이라
■ 어휘풀이
107) 교예(較藝) : 재능과 기예의 낫고 못함을 비교함.
108) 청금(靑衿) : 유생(儒生)
109) 순상(巡相) : ① 조선 시대에, 병란(兵亂)이 있을 때 왕명으로 지방의 군무(軍務)를 순찰하던 임시 벼슬. ② 조선 시대에, 도(道) 안의 군무를 순찰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각 도의 관찰사가 겸임하였다.
110) 방백(方伯) : 관찰사.
14.
■원문
일단 신졀 계 되면 갈역보효 련마
슌붕이 다시 나니 북창은 네 뉘 알니
두어라 은망덕면 앙급손 올리
■현대문
일단 신절(臣節) 하게 되면 갈력(竭力) 보효(報效) 하련마는
순붕이 다시 나니 북창(北窓)은 네 뉘 알리
두어라 배은망덕(背恩亡德)하면 앙급자손(殃及子孫) 하오리라
■ 어휘풀이
111) 갈력(竭力) : 진력(盡力). 있는 힘을 다함. 또는 낼 수 있는 모든 힘.
112) 보효(報效) : 은혜에 보답하려고 정성을 다함.
113) 북창(北窓) : 북쪽으로 난 창.
114) 앙급자손(殃及子孫) : 화가 자손에게 미침.
제공-담양군 가사문학관
*본 시의 단락은 변형방지를 위함임
번호 | 제목 | 조회 수 |
---|---|---|
공지 | 성씨순위 및 장흥위씨 지역별 분포 내역 [1] | 1677 |
공지 | 회주사 사호 개칭 경위 [1] | 467 |
49 | 祖上에 대한 享祀와 追配 / 圓山 위정철 | 252 |
48 | 懷州祠와 柏山齋 懸板 이야기/圓山 위정철 | 152 |
47 | 祠號를 懷州祠로 바꾼 당위성 / 圓山 위정철 [3] | 124 |
46 | 성곤 종친의 국회의원 당선의 의미 - 원산 위정철 | 215 |
45 | 위성곤종친의 국회의원 당선을 축하하며 - 위상복 | 104 |
44 | 2016 지리산 상무주암을 다녀와서 [1] | 1007 |
43 | 역주 존재집 간행시말(譯註 存齋集刊行始末) | 702 |
42 | 2016 원감국사 기제 참례기/위상복 [1] | 361 |
41 | * 병계(屛溪) 윤봉구 별세 때 그에 제자 존재 위백규 선생한테 보낸 부고 /위이환 [1] | 356 |
40 | 장흥위문 사우(祠宇)·고택(古宅) 역사(歷史)와 편액(扁額)이야기/ 栢江 위성록 | 2919 |
39 | 문화재로 지정된 백산재 스토리 2009/03/26 원산 | 164 |
38 | 조상들의 옛터 장원봉과 거말봉 2005/06/16 원산 | 257 |
37 | ■자회가(自悔歌) 책 소개/ 위이환 | 145 |
36 | 존재 위백규 선생의 가사 "자회가(自悔歌) 일부" 아버님은 하늘되시고~/위이환 | 243 |
35 | 존재 위백규 선생 가사 자회가 전문/위이환 | 489 |
» | 존재 위백규 선생 가사 << 합강정선유가 전문 >> 8~14편/위이환 | 496 |
33 | 존재 위백규 선생 가사. << 합강정선유가 전문 >> 1~7/위이환 | 548 |
32 | 장흥 방촌리 존재고택(古宅) 역사(歷史)와 편액(扁額) 분석/ 위이환 | 563 |
31 | 魏나라의 歷史와 遺跡/圓山위정철 [1] | 641 |
30 | 독립투사(우정公,승환公,난사公,희정公) 공훈록 |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