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옥로(玉露) 위성유(魏聖儒), 詩人

2015.12.08 18:31

碧泉 조회 수:319

■옥로(玉露) 위성유 魏聖儒 34세, 청계공파, 1970년생, 시인, 現고용노동부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주무관,장흥 관산 옥동출신)

 

■성유종친은 [소설가 이청준, 한승원 등 한국문단의 거장을 탄생시킨 문학의 고장 전남 장흥에서 1970년 태어나고 자랐다. 유년시절 주옥같은 시를 접하면서 문학 소년의 꿈을 키워왔다. 2000년 고용노동부에 입사하여 현재 서울 지방고용노동청에 주무관으로 재직 중이다. 시 [인생의 봄날], [태고송], 수필[나의 어머니], [옛날 놈], [팥죽 생각] 등 다수의 작품을 지필하다. 2014년 제36기 신인문학상 [분재소나무외 2편]의 시가 한국 지필문학에 당선되어 시인으로서 첫발을 내딛게 되었다. 이후 공직생활 중 틈나는 대로 삶과 자연을 관조 하며 자기 성찰의 시간을 통해 마침내 첫 시집 [바보당신] 을 세상 밖으로 내려놓게 되었다.]라고 [바보당신]의 시집 과 [위씨네카페/대표 연남 위희량]에서 다소 수정후 옮겨 본다.

 

■성유종친의 [바보당신]에 내재된 사상과 철학은 김관식 시인이 표현한 “自省的인 삶의 관조와 깨달음의 미학“ 이란 단어에 함축되어 있다.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보면 기승전결로 승화되는 특징을 지닌다. ”1)원초적인 생명공간의 고향과 부모에 대한 성찰, 2)모정에 대한 재인식과 토속적인 향수의 세계, 3) 인생살이에 대한 깨우침과 동심적인 회억, 4)자성적인 삶의 회한과 세월 의 편린들“로 세분화해 볼 수 있다.

성유종친의 시 한편을 살펴 보기로 하자? 성유종친의 시를 음미하노라면 마치 존재공의 자회가(自悔歌)가 연상되는데 이에서 피의 흐름은 영원하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희생적인 부모님의 사랑과 이에 비해 보잘 것 없는 자식의 효성을 대비시켜 결국 사랑(피)의 영원성을 노래하고 있다. 아울러 圓山 위정철 씨족문화연구소 소장의 위씨문학공원 조성에 대한 글도 함께 숙고해 보자?

 

■바보당신 / 위성유

오월인데 무진장 더운 날입니다.

10동 병실에서 끙끙대는 소리가

비좁은 창문 너머로 구슬프게 흘러나옵니다.

꽃내음이 진동하는 계절인데

밀폐된 병실에서 홀로 외로이 굽은 새우등 보이며

하얀 벽을 향해 누워있는 당신을 봅니다.

아픈 허리를 참다가도 당신도 모르게

오매 허리여 오매 내 허리여

 

나 죽것다 나 죽것네 하며 이리 저리 몸을 뒤척입니다.

긴 한숨소리를 내며 통증을 호소하는 당신에게

십자가를 쥔 간호사는 오늘도 주사 한 대를 놓고 사라집니다.

 

요 며칠사이, 주사의 내성인지 총총했던 기억조차 혼미해져

다녀간 지인도 기억 못하는 바보 당신이 되어갑니다.

미음을 삼킨 지 얼마 안 돼 여지없이 바보당신은

대기저귀에 대변을 질버덕하게 내지르고 말았습니다.

오줌주머니를 허리춤에 차고

꽂힌 바늘 틈사이로 피가 철철 흘려내려도

독한 주사 힘으로 하루를 힘겹게 버티나 봅니다

 

"내 고향에 가고 싶다 고향집에 가고 싶다"

말씀을 하셔도 먹고 살기 버거운 무능력한 불효 자식 둔 덕에

더 이상 갈 수 없는 고향이 되어만 갑니다.

 

근무 중에 전화벨이 울립니다.

순간 가슴이 철썩 내려앉고 숨이 막혀 옵니다.

펜을 쥔 손의 힘이 쫙 빠지면서 혹시나 그러면 안 되는데

나만의 지레짐작에 제발 살아만 계셔주라고 중얼거립니다.

병석에 누워 계신 탓에 호강 한번 시켜드리지 못한

당신을 지금은 보내드릴 수 없다며

어찌할지 몰라 끝임 없이 속 기도를 합니다.

 

내가 너무 앞서가는 건 아닌지 지금 다시 묻게 됩니다.

바보 같은 당신 당신은 옆에 없지만

당신과 함께 한 오늘 하루가 짧기만 합니다.

살만큼 사셨다고 누군가 말들 하지만

그래도 바보 같은 내 당신

영원히 내 마음 빈자리에 두고만 싶습니다.

 

■[魏氏 文學公園 造成 : 우리 선조들이 비록 벼슬은 두드러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사족으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학문적 성과에 있다. 그 가운데서도 수우옹 (守愚翁) 휘 세직(世稷)의 금당별곡(金塘別曲) 간암공 (艮庵公) 휘 세옥(世鈺)의 임계탄(壬癸歎), 존재공(存齋公) 휘 백규(伯珪)의 자회가(自悔歌)와 연시조 농가 구장(農歌九章)은 학계에서도 평가받고 있다. 최적의 장소는 하산사 앞 공간이다. 현재 주차장 앞 매입가옥에 가사를 돌에 새겨 문학공원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우리 조상의 문학적 우수성을 보여주자는 것이다. 남에게 자랑할 수 있는 문풍(門風)은 문학적 자질이기 때문 이다. 해남 연동과 완도 보길도에 가면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작품을 쉽게 감상할 수 있게 해놓 았다.]라고 圓山 위정철 씨족문화연구소 소장은 [위문의 현안과 청사진]에서 위씨문학공원 조성을 촉구하고 있다. (자문:백강 / 글:원산,벽천)

12.jpg

 

11.jpg

 

13.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 제7대 장흥위씨 도문회장, 금봉 위인환(錦峯 魏麟煥) 碧泉 2017.06.23 337
80 碧谷(벽곡) 위창기(魏昌基) file 碧泉 2017.05.04 133
79 魏門 조직의 중추 大宗會 산파 汎谷 燦鎬 전 會長의 20년 歷程/對談3 file 碧泉 2017.04.27 185
78 신한은행장, 위성호(魏聖昊) file 碧泉 2017.03.16 458
77 기산 위인백(箕山 魏仁伯) 교수, 5·18민주화운동교육관장(2) file 碧泉 2016.12.16 453
76 善園 魏聖辰 (선원 위성진), 재경종친회 재무총무 file 碧泉 2016.11.22 421
75 重賢 魏相燮 (중현 위상섭), CJ대한통운 상무이사 file 碧泉 2016.11.22 461
74 德川 위철환(魏哲煥), 前대한변호사협회 회장 碧泉 2016.11.14 370
73 위도량(魏度良), (주)드림관광 대표 碧泉 2016.07.25 625
72 月波(월파) 위이환(魏二煥), 장원봉산악회 감사 file 碧泉 2016.06.28 366
71 圓山의 元老와의 對談 첫 번째 松堂 위재형 [1] file 야운 2016.05.30 301
70 圓山의 元老와의 對談 2. 덕운(德雲) 위황량 [1] file 야운 2016.05.30 348
69 雲波(운파) 위평환(魏平煥), 양곡공의 후예 file 碧泉 2016.05.19 611
68 위양천(魏良天), (주)완도금일수협수산 Ceo file 碧泉 2016.05.09 725
67 항헌(巷軒) 위성복(魏聖復), 위영오(魏榮吾), ‘Money working Korea' file 碧泉 2016.04.29 789
66 위평량(魏枰良), 경제개혁연구소 연구위원 [1] file 碧泉 2016.04.26 977
65 一丁(일정) 위두환(魏斗煥), 농민당 제20대 장흥,보성,강진,고흥 국회의원 후보 file 碧泉 2016.03.22 847
64 魯巖(노암) 위성동(魏聖東), (주)한영에코랜드 대표이사 file 碧泉 2016.03.18 372
63 국회의원 , 위성곤 file 碧泉 2016.03.18 931
62 덕운 위황량(德雲 魏滉良), 문중의 큰 별 [1] file 碧泉 2016.02.25 681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