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옥로(玉露) 위성유(魏聖儒), 詩人

2015.12.08 18:31

碧泉 조회 수:319

■옥로(玉露) 위성유 魏聖儒 34세, 청계공파, 1970년생, 시인, 現고용노동부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주무관,장흥 관산 옥동출신)

 

■성유종친은 [소설가 이청준, 한승원 등 한국문단의 거장을 탄생시킨 문학의 고장 전남 장흥에서 1970년 태어나고 자랐다. 유년시절 주옥같은 시를 접하면서 문학 소년의 꿈을 키워왔다. 2000년 고용노동부에 입사하여 현재 서울 지방고용노동청에 주무관으로 재직 중이다. 시 [인생의 봄날], [태고송], 수필[나의 어머니], [옛날 놈], [팥죽 생각] 등 다수의 작품을 지필하다. 2014년 제36기 신인문학상 [분재소나무외 2편]의 시가 한국 지필문학에 당선되어 시인으로서 첫발을 내딛게 되었다. 이후 공직생활 중 틈나는 대로 삶과 자연을 관조 하며 자기 성찰의 시간을 통해 마침내 첫 시집 [바보당신] 을 세상 밖으로 내려놓게 되었다.]라고 [바보당신]의 시집 과 [위씨네카페/대표 연남 위희량]에서 다소 수정후 옮겨 본다.

 

■성유종친의 [바보당신]에 내재된 사상과 철학은 김관식 시인이 표현한 “自省的인 삶의 관조와 깨달음의 미학“ 이란 단어에 함축되어 있다.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보면 기승전결로 승화되는 특징을 지닌다. ”1)원초적인 생명공간의 고향과 부모에 대한 성찰, 2)모정에 대한 재인식과 토속적인 향수의 세계, 3) 인생살이에 대한 깨우침과 동심적인 회억, 4)자성적인 삶의 회한과 세월 의 편린들“로 세분화해 볼 수 있다.

성유종친의 시 한편을 살펴 보기로 하자? 성유종친의 시를 음미하노라면 마치 존재공의 자회가(自悔歌)가 연상되는데 이에서 피의 흐름은 영원하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희생적인 부모님의 사랑과 이에 비해 보잘 것 없는 자식의 효성을 대비시켜 결국 사랑(피)의 영원성을 노래하고 있다. 아울러 圓山 위정철 씨족문화연구소 소장의 위씨문학공원 조성에 대한 글도 함께 숙고해 보자?

 

■바보당신 / 위성유

오월인데 무진장 더운 날입니다.

10동 병실에서 끙끙대는 소리가

비좁은 창문 너머로 구슬프게 흘러나옵니다.

꽃내음이 진동하는 계절인데

밀폐된 병실에서 홀로 외로이 굽은 새우등 보이며

하얀 벽을 향해 누워있는 당신을 봅니다.

아픈 허리를 참다가도 당신도 모르게

오매 허리여 오매 내 허리여

 

나 죽것다 나 죽것네 하며 이리 저리 몸을 뒤척입니다.

긴 한숨소리를 내며 통증을 호소하는 당신에게

십자가를 쥔 간호사는 오늘도 주사 한 대를 놓고 사라집니다.

 

요 며칠사이, 주사의 내성인지 총총했던 기억조차 혼미해져

다녀간 지인도 기억 못하는 바보 당신이 되어갑니다.

미음을 삼킨 지 얼마 안 돼 여지없이 바보당신은

대기저귀에 대변을 질버덕하게 내지르고 말았습니다.

오줌주머니를 허리춤에 차고

꽂힌 바늘 틈사이로 피가 철철 흘려내려도

독한 주사 힘으로 하루를 힘겹게 버티나 봅니다

 

"내 고향에 가고 싶다 고향집에 가고 싶다"

말씀을 하셔도 먹고 살기 버거운 무능력한 불효 자식 둔 덕에

더 이상 갈 수 없는 고향이 되어만 갑니다.

 

근무 중에 전화벨이 울립니다.

순간 가슴이 철썩 내려앉고 숨이 막혀 옵니다.

펜을 쥔 손의 힘이 쫙 빠지면서 혹시나 그러면 안 되는데

나만의 지레짐작에 제발 살아만 계셔주라고 중얼거립니다.

병석에 누워 계신 탓에 호강 한번 시켜드리지 못한

당신을 지금은 보내드릴 수 없다며

어찌할지 몰라 끝임 없이 속 기도를 합니다.

 

내가 너무 앞서가는 건 아닌지 지금 다시 묻게 됩니다.

바보 같은 당신 당신은 옆에 없지만

당신과 함께 한 오늘 하루가 짧기만 합니다.

살만큼 사셨다고 누군가 말들 하지만

그래도 바보 같은 내 당신

영원히 내 마음 빈자리에 두고만 싶습니다.

 

■[魏氏 文學公園 造成 : 우리 선조들이 비록 벼슬은 두드러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사족으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학문적 성과에 있다. 그 가운데서도 수우옹 (守愚翁) 휘 세직(世稷)의 금당별곡(金塘別曲) 간암공 (艮庵公) 휘 세옥(世鈺)의 임계탄(壬癸歎), 존재공(存齋公) 휘 백규(伯珪)의 자회가(自悔歌)와 연시조 농가 구장(農歌九章)은 학계에서도 평가받고 있다. 최적의 장소는 하산사 앞 공간이다. 현재 주차장 앞 매입가옥에 가사를 돌에 새겨 문학공원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우리 조상의 문학적 우수성을 보여주자는 것이다. 남에게 자랑할 수 있는 문풍(門風)은 문학적 자질이기 때문 이다. 해남 연동과 완도 보길도에 가면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작품을 쉽게 감상할 수 있게 해놓 았다.]라고 圓山 위정철 씨족문화연구소 소장은 [위문의 현안과 청사진]에서 위씨문학공원 조성을 촉구하고 있다. (자문:백강 / 글:원산,벽천)

12.jpg

 

11.jpg

 

13.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 IT업계의 강소기업(強小企業), (주)성진에이에스 위민호 대표이사 (32세, 괴봉공파) file 碧泉 2017.09.20 601
80 원곡 위상복(苑谷 魏相復), 新知識人 file 碧泉 2015.12.10 595
79 단산(丹山) 위성배, 대종회 前사무국장 file 碧泉 2015.12.09 559
78 오은 위승복 (梧隱 魏昇復) 계사공(桂沙公)의 장남 file 碧泉 2016.02.15 539
77 현산 위필환(峴山 魏必煥), 前청와대 행정관 file 碧泉 2015.12.10 538
76 素溪(소계) 위국량(魏國良), 32년을 경찰공무원으로 奉職 file 碧泉 2016.01.11 537
75 桂沙 魏聖浩(계사 諱 성호), 鄕土學者(향토학자) file 碧泉 2015.12.21 515
74 송담 위자형(松潭 魏滋炯), 現대종회장 [1] file 碧泉 2016.02.17 512
73 대전종친회를 30년간 이끈 큰 바위 얼굴, 행림(杏林) 위기량 file 碧泉 2017.09.13 510
72 연당 위창복(蓮塘 魏昌復), 성균관 석전교육원 교수 file 碧泉 2016.01.15 505
71 위미애, 요리연구가 file 碧泉 2015.12.08 480
70 위기량, 대전뿌리공원 위씨유래비 건립 file 碧泉 2015.12.08 475
69 죽리 위승복(竹里 魏承復), 한국체육개발원 총재 file 碧泉 2015.12.08 471
68 重賢 魏相燮 (중현 위상섭), CJ대한통운 상무이사 file 碧泉 2016.11.22 461
67 신한은행장, 위성호(魏聖昊) file 碧泉 2017.03.16 458
66 야운처사 위이환 (野雲處士 魏二煥) file 碧泉 2015.12.14 458
65 기산 위인백(箕山 魏仁伯) 교수, 5·18민주화운동교육관장(2) file 碧泉 2016.12.16 453
64 위재현, 存齋公 8대종손 file 碧泉 2015.12.08 427
63 善園 魏聖辰 (선원 위성진), 재경종친회 재무총무 file 碧泉 2016.11.22 421
62 위현민,Golf 신동 file 碧泉 2015.12.08 419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