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고려 초에 위창주 할아버지를 시조로 삼아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고 한다.

위창주의 선조 위경은 아직 정확한 혈연관계나 문헌이 고증하기에 상고할수없다

나두 위경라는 분은 나의 조상인지 정확한 모른며 어떤사람은 위경라는 분의 후손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이 하지 않다. 셰계실전 인터넷에서 나왔고 불투명 했고 나는 신빙성이 없다,

그러므로 역사적인 사실에 충실을 기하기 위해 장흥위씨 위창주을 1세(시조)로하여 세수를 기산하기로 한 것이며 생각합니다.




"위"씨 성은 희성이다.

뭐 내이름이야 워낙 독특하니 그렇다치고.. 성만으로도 "그런 성도 있어요?"라고 묻곤 한다.



그래도 나름 꽤 있다.. -_-;;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2005년엔 못 찾았다.) 나와 같은 장흥 위(魏)씨 성을 가진 사람이 8,908가구, 28,675명이나 있다.

뭐 다른 성씨에 비하면 작지만 그렇게 아주 없는 성씨는 아니다.

한자가 다른 강화 위(韋)씨도 있는데 이쪽은 1800명 정도가 있다고 한다.



시조는 위경. 남북국 시대때 당나라에서 통일신라로 보낸 8학사중 한명이었다고 전한다.

사대주의에 따른 족보 조작이 아니라면,,, 중국 피(?)

중국의 위씨랑은 대종회 할아버지들은 연락을 하나 보더라....




유명한 사람이라면, 사실 그리 내세울 사람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다산 정약용보다 먼저 호남 실학을 선도했다고 하는 존재 위백규 할아버지도 일반적인 사람은 모른다.

하지만,,, 거물이 하나 나왔으니. 미셸위다.

음.. 대종회 사이트 가보면 미셸위 페이지가 따로 있다.. 제대로 울궈먹을 심산인가 보다.

뭐 그래서... 장흥에 미셸위가 다녀갔었고. 토요시장으로 진입하는 다리의 가로등은 골프채와 골프공 모양을 하고 있다.

며칠 전에 신문에도 나왔던건데 또다른 위씨 골프 선수인 위창수 선수는 강화 위씨라고 한다.

그런데 미국 기자들이 미셸위 아버지냐고 했었다는..



위씨를 한자로 표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위에서는 魏(나라 위)를 썼지만 실제 족보 상에는 緯(성위)를 쓰고 있다.

주민등록증에는 오른쪽 글자로 나와있긴 한데(그 덕분에 주민등록증 막 바꿨을 때 위씨만 늦게 나왔었다) 그 글자를 보급하진 않고 있다.

그래서 나라위로 쓸것인지 성위로 쓸것인지, 혹은 두개를 공통으로 쓸것인지 말이 많다.

높으신 분이 있으면 까짓거 글자 하나 만들면 되겠지만 -_-; 문중에 힘이 없으니...

아. 그리고 영어 표기는 공식적으로는 wi인데.. 대종회의 총애를 한몸에 받고 계시는 미셸위께서는 wie를 쓰고 있다.



후. 나도 아는게 별로 없는지라.. 쓸게 없구나.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성씨순위 및 장흥위씨 지역별 분포 내역 [1] 1441
공지 회주사 사호 개칭 경위 [1] 317
27 ◎ 선조 행장 확인 주요 내용 ◎ / 栢江 위성록 [1] file 416
26 崔益鉉(1833~1906), 宋秉璿(1836~1905), 田愚(1841~1922)의 제자 /圓山 위정철 418
25 병계 윤봉구 선생의 흔적을 찾아가다.!! <1> / 栢江 file 418
24 윤봉구와 위백규의 사제상(師弟像) 연구 file 422
23 6.충청수군절도사공(諱 大器) 교첩 1매, 교지 3매 / 栢江 위성록 file 423
22 ◎임진왜란, 인조반정, 이괄의 난 관련 공신록 현황◎ / 栢江 위성록 file 427
21 16.절충장군공(諱 壽徵) 교지 2매 / 栢江 위성록 file 433
20 존재 위백규 선생 가사 << 합강정선유가 전문 >> 8~14편/위이환 file 454
19 위자형 대종회장 12년 업적-위윤기 file 459
18 그 시절에 ‘대흥시옹(大興詩翁)이 있었습니다. - 박형상(변호사, 서울) - 463
17 이순신장군 수군 재건로에 관하여 - 위성 [1] 465
16 존재 위백규 선생 가사 자회가 전문/위이환 file 468
15 貞觀八學士記念事業會 推進에 대한 長興魏氏의 意見 2015/12/1 484
14 존재 위백규 선생 가사. << 합강정선유가 전문 >> 1~7/위이환 file 510
13 장흥 방촌리 존재고택(古宅) 역사(歷史)와 편액(扁額) 분석/ 위이환 file 526
12 죽헌고택 편액 및 주련판독 / 위이환 file 528
11 3.호조판서공(諱 德和) 교첩 4매, 교지 7매 / 栢江 위성록 file 529
10 하계수련회 소감문- 위주연 file 589
9 장흥위씨 족보 새로운 사실 발견 / 栢江 위성록 file 605
8 魏나라의 歷史와 遺跡/圓山위정철 [1] file 623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