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천재 액호>
<상위 : 18세 습독공(휘 유형)配 宜人 평산申氏 동위 : 19세 통선랑공(휘 진수) 配 宜人 광산金氏
서위 : 19세 강릉참봉공(휘 진현)과 配 宜人 탐진崔氏 >
<22세 웅천현감공(휘 정렬, 配 淑人 영광丁氏 雙兆) 묘소>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산 92번지에 위치한다. 습독공(휘 유형, ~ ?)의 배(配) 의인(宜人) 평산申氏 묘각이다. 웅천현감공(휘 정렬, 1580~1656)께서 타계하자 효자 휘 동식, 휘 동헌 형제분이 초가삼간을 지어 3년간 시묘(侍墓)하시다 상(喪)을 마친 후 문중에서 주변 영은암의 승사(僧舍)를 철거하고 구조와 규모를 확대해 짓고 기와를 이어 재각을 장천재라 재호(齋號)하였다.
<장천재 전경>
천관산 동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으면서 장흥위씨의 상징적 제각(祭閣)이라고 할 수 있다. 울창한 숲과 천년의 신비를 간직한 듯 우람한 태고송(太古松) 그리고 사시사철 흐르는 계곡 등 주변의 풍광과 어울러 있 는 제각은 우리와는 뗄래 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기록상의 1차 보수는 1705(乙酉)년 휘 세함공(1674~1716, 안항공 증손), 송와공(휘 세기, 1675~ 1747, 판서공 증손)의 주도로 堂을 넓혀 재실을 중수하였다. 이후 유림들이 학문을 탐구하고 기량을 연마하여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다. 그 중에는 존재공(휘 백규)이 이곳에서 수학(修學)하고 학규(學規)를 지어 후세에 전(傳)하였다. 2차는 1724(甲辰)년 춘담공(휘 세린, 1673~1741, 안항공 증손), 쌍백당공(휘 명익, 1679~ 1767, 안항공 현손) 등의 주도로 규모를 새롭게 했다. 3차는 1747(丁卯)년 낙호공(휘 명래, 1693~1768, 판서공 현손), 명호공(1696~1773, 안항공 현손), 영이재공(휘 문덕, 1704~1784, 안항공 현손), 덕암공(휘 상겸, 1705~ ?, 청계공 5대孫), 등의 주도로 중수공사를 했다.
현 건물은 4차 중수로 1873(癸酉)년 다암공(휘 영복, 1832~1884, 안항공 7대孫), 행백당공(휘 석홍, 1818 ~1886, 청계공 9대손), 농포공(휘 송, 1832~1875, 판서공 9대종손) 주관으로 연인원 1만 명을 동원하여 ‘工’자 형태로 신축하였다. 대부분의 제각은 ‘ㄱ’자, ‘ㄷ’자, ‘ㅁ’자 형태로 지어졌다. 그러나 장천재는 한문의 ‘工’자 형태다. 이는 어느 공간에서도 주변의 자연과 풍광을 조망할 수 있게 하는 구조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곳을 찾는 시인묵객이 많았던 모양이다.
1978(戊午)년 9월 21일자로 전라남도 지방유형문화재 제 72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장천재는 제각이자 강학(講學)과 시회(詩會) 등 다양한 장소로 이용되어 왔다. 문중 어른들이 여름 한가한 때 피서를 겸해 시회를 연다. 시기는 유두, 칠석, 백중인데 농사에 장원한 집이 주관한다. 더구나 외지에서 다른 성씨의 선비들이 찾아오면 시회를 열어 접대한다. 이것이 외지의 선비를 접대하는 위씨들의 손님 접대방식이다.
<부계당> <추원루>
<열락헌> <즉휴루>
<청뢰문> <풍호대>
<육각정>
장천재(長川齋) 당호(堂號) 편액을 비롯하여 부계당(俯溪堂), 추원루(追遠樓), 열락헌(說樂軒), 즉휴루(則休樓), 외문인 청뢰문(聽雷門), 풍호대(風乎臺), 풍호대의 별호(別號)인 육각정(六角亭) 등 8개의 액호(額號) 편액이 있다. 경내에는
(1)俯溪堂上樑文(부계당상량문)은 1873(癸酉)년 11월에 다암공(휘 영복)이 근서(謹書)하여 낙성일(落成日) 후 걸었고,
(2)부계당중건기사(俯溪堂重建記事)는 1873(癸酉)년 지월(至月) 10일 근기(謹記)하다. 1935(乙亥)년 옥호공(휘 명성, 1662~1723) 6대손 계창이 삼가 새긴다.
(3)즉휴루기(則休樓記)는 1883(癸未)년 다암공(휘 영복)이 기(記)하다. 1935(乙亥)년 옥호공 6대손 죽헌공(휘 계창)이 삼가 새기다.
(4)부계당판상서급운(俯溪堂板上序及韻)은 1793(癸丑)년 묵와공(휘 수택, 1739~1796, 판서공 6대손)이 경차(敬次)하다.
(5)근제부계당기(謹題俯溪堂記)는 1914(甲寅)년 가을 죽암공(휘 계문, 1865~1951, 판서공 10대종손)이 읍혈근고(泣血謹稿)하다.
(6)부계당중수기(俯溪堂重修記)는 1873(癸酉)년 호산공(휘 하조, 1809~1881, 안항공 8대손)이 근기(謹記)하다.
(7)부계당추기(俯溪堂追記)는 1898(戊戌)년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행주人, 1846~1916)이 근서(謹書)하다.
(8)계은당 위대량모선사실기(桂隱堂魏大良慕先事實記)는 1949(己丑)년 중와공(휘 홍량, 1881~1961, 청계공 11대손)이 근서(謹記)하다. (9)부(附) 계은당(桂隱堂) 봉정문(奉呈)은 1946(丙戌)년 습독공(휘 유형) 14대손 대량이 근정(謹呈)하다.
<제일 : 청풍벽 제팔 : 와룡홍> <제이 : 도화량>
<제삼 : 월영담 (운영기)> <제사 : 세이천 (담)>
<제오 : 명봉암> <제육 : 추월담>
<제칠 : 탁영대>
(10)장천재(長川齋) 팔절서(八絶序)는 제일(第一) 청풍벽(淸風壁), 제이(第二) 도화량(桃花梁), 제삼(第三) 운영기(雲影磯), 제사(第四) 세이담(洗耳潭), 제오(第五) 명봉암(鳴鳳巖), 제육(第六) 추월담(秋月潭), 제칠(第七) 탁영대(濯纓臺), 제팔(第八) 와룡홍(臥龍泓)이다.
1792(壬子)년 가을 계항운민(휘 백규, 1727~1798, 안항공 5대손)이 지(識)하고, 사락산인(휘 백침, 1732 ~1797, 판서공 5대손)이 서(書)하다. (11)팔영(八詠)은 팔경(八景)을 詩로 읊은 것으로 낭서과객이 근서(謹書)하다.
(12)존재선생학규(存齋先生學規)는 1874(甲戌)년 다암공(휘 영복)이 근서(謹書)하다.
(13)장천(長川) 팔경판상운(八景板上韻)은 지부(知府) 민치준(閔致駿 여흥人, 1839~ ?, 장흥부사 역임)이 고(稿)하다.
(14)열락헌운(說樂軒韻)은 부백(府伯) 서상조(徐相祖 대구人, 1830 ~1905, 판돈녕원사 등 역임)가 고(稿)하였다.
①차장천재운(次長川齋韻)은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 은진人, 1836~1905)이 근서(謹書)하다.
②부계당근차잉여옹운(俯溪堂謹次剩餘翁韻)은 도천자(휘 세옥, 호(號) 간암, 1689~ 1766, 판서공 증손)가 경제(敬題))하다.
③근차장천재운(謹次長川齋韻)은 경수(耕叟) 기량연(奇亮衍 행주人, 1771~ ?)이 고(稿)하다.
④제부계당중수벽상(題俯溪堂重修壁上)은 잉여옹공(휘 명덕, 1683~1756, 판서공 현손)이 고(稿)하며, 불초고 행와공(휘 사급, 1717 ~1776, 판서공 5대손)이 추게(追揭)하다.
⑤근차장천재운배정(謹次長川齋韻拜呈)은 도곡(道谷) 송종운(宋鍾雲 은진人, 1852~1885)이 찬(撰)하다.
⑥장천재열락헌운(長川齋說樂軒韻)은 지부(知府) 송기로(宋綺老 은진人, 1830~ 1898 장흥부사 등 역임)가 고(稿)하다.
⑦장천재운(長川齋韻)은 1887(丁亥)년 지부(知府) 송기로가 고(稿)하다.
⑧근차장천재판상운(謹次長川齋板上韻)은 1881(辛巳)년 진사(進士) 이상구(李相九 인천人, ~ ?)가 찬(撰)하다.
⑨경차장천재판상운(敬次長川齋板上韻)은 신호(莘湖) 김록휴(金祿休 울산人, 1827~ 1899, 儒生)가 찬(撰)하다.
⑩즉휴루운(則休樓韻)은 1887(丁亥)년 지부(知府) 송기로가 고(稿)하다.
⑪장천재운(長川齋韻)은 1903(癸卯)년 이강재(연안人, ~ ?)가 고(稿)하다.
⑫무술춘배종연재선생유람천관산경차장천재운(戊戌春陪從淵齋先生遊覽天冠山敬次長川齋韻)은 눌와(訥窩) 윤자현(尹滋鉉 파평人, 1844 ~1909, 학자)이 찬(撰)하다.
(15)남유천관귀로낭음증위수재(南遊天冠歸路浪吟贈魏秀才) : 남으로 와 천관산에 놀다가 돌아오는 길에 부질없이 읊어서 위수재(魏秀才)에게 줌. ①우장천재(右長川齋), ②우상봉(右上峰), ③우구룡봉(右九龍峯), ④우포봉(右蒲峯), ⑤우석범(右石帆), ⑥우금수굴(右金水窟), ⑦우연대(右烟坮)를 관산과객(冠山過客) 죽농(竹農) 송철용(宋喆用)이 찬(撰)하다. 1884(甲申正月)년 계양공(휘 혁기, 1866~ 1944, 안항공 8대손)이 경지(敬識)하다.
(16)기재종형세연구화(奇再從兄世璉求和)와 (17)삼족당유고(三足堂遺稿)는 영이재공(휘 문덕, 1704~1784, 안항공 현손)이 읍혈서(泣血書) 병기(倂記)하다.
(18)장천재운(長川齋韻)은 원취당공(휘 도순, 1748~ 1816, 안항공 6대손)이 찬(撰)하고, 현손(玄孫) 계룡은 감읍서(感泣書)하다.
(19)부계당경차선고호산부군판상운(俯溪堂敬次先考壺山府君板上韻)은 춘파공(휘 관식, 1843~1910, 안항공 9대손)이 찬(撰)하다.
(20)부계당경차선자판상운(俯溪堂敬次先子板上韻)은 오헌공(휘 계룡, 1870~1948, 안항공 10대손)이 근고(謹稿)하다.
(21)부계당재중수후근차판상운(俯溪堂再重修後謹次板上韻)은 오헌산인(휘 계룡)이 찬(撰)하다.
(22)제장천당(題長川堂)은 정헌공(휘 계후, 1905~1982, 안항공 10대손)이 근고(謹稿)하다.
(23)장천동세덕운(長川洞世德韻)은 낙청헌공(휘 형권, 1819~ 1899, 판서공 9대손, 단산태생)이 읍혈근고(泣血謹稿)하다.
(24)부계당근차연재선생판상운(俯溪堂謹次淵齋先生板上韻)은 춘헌공(휘 계반, 1848 ~1939, 청계공 10대손)이 근고(謹稿)하다.
(25)차부계당판상시급기(次俯溪堂板上詩及記)는 춘파공(휘 관식)이 찬(撰)하고, 1931(辛未)년 오헌공(휘 계룡)이 읍혈간(泣血刊)하다.
(26)근차장천재판상운삼족당공판상운(謹次長川齋板上韻三足堂公板上韻)은 계은공(휘 대량, 1884~1951, 청계공11대손)이 근고(謹稿)하다.
<장천재 경내 시운 편액>
장천재에는 액호 편액 8개, 시운 편액 36개 등 총 44개 편액 글이 걸려 있어 선대(先代)의 진한 흔적이 남아 있는 등 장흥위문을 대표하는 사우이다. 매년 陰 10. 15일 의인(宜人) 평산申氏, 통선랑공(휘 진수, 1480 ~1564), 강릉참봉공(휘 진현, 1483~1564), 웅천현감공(휘 정렬, 1580~1656)등에 대해 제향 한다. 장천문중 소유다.
글·사진 : 씨족문화연구위원 栢江 위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