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유적지 탐방기

장흥 산서마을 경주이씨 이야기 / 栢江 위성록

1.연혁(沿革)
산서마을은 장흥군 관산읍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4km 지점에 위치한 평야지 마을이다. 마을 초입(初入)에 경주이씨 2세 충효문(忠孝門), 세장비(世庄碑), 후박나무 등 마을 유적이 눈에 들어 온다. 마을 전체 90여호 중, 70호 이상이 경주이씨가 거주하고 있으며, 옆 산동마을 20호 이상을 포함하여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산서마을 전경(드론).jpeg

구전(口傳)에 의하면 1595년(乙未)경 개산공(介山公) 이주(李注 1564~1594)가 전란 때 이순신 휘하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남해안에서 사망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부인이 남편의 시신이라도 수습하기 위하여 아들 국세(國世)를 데리고 남해안을 헤매다가 인근 부안곡(浮雁谷, 어은 마을 옆 골짜기)에 정착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마을 앞으로 이주하여 터를 옮겼으나, 1600년경 다시 이곳 산연(山硯)으로 옮겨 오늘에 이른다.

산서마을 표지석.jpeg

삼산리(三山里)는 본래 고하면 지역인데 1914년(甲寅)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삼산리 1구 산서(山西), 삼산리 2구 산동(山東), 삼산리 3구 우산(牛山)을 병합하여 세(三) 마을에 산(山)자를 붙여 삼산리라 하여 고읍면에 편입시켰다. 1961년(辛丑) 관덕지구 간척사업의 개척민들의 집단 거주를 위한 촌락이 형성되었다. 1965년(乙巳) 간척지 완공과 함께 각자의 삶의 터전을 찾아 이거하여 그곳에 지역주민들이 입주하여 산서마을 1개 반으로 편입시켜 운영되어 오다가 1970년(庚戌) 행정구역 개편에 의하여 삼산리 4구 관덕마을 이라고 칭하고 산서마을에서 분구하였다. 이승량(1961년생) 변호사가 이곳 태생이다.

2.형국(形局)
인근 남쪽해변에는 1961년(辛丑)에 조성된 광활한 농경지가 펼쳐져 있다. 마을의 형국(形局)이 벼루에 물을 부운 것 같다 해서 산연(山硯)이라고 하며 또한 키(챙이)형국 이라고도 한다.

산서마을 챙이, 벼루.jpg

산연은 벼루 형국으로 3일간만 비가 안 오면 개밥을 안준다는 속설에 기인하며, 이는 천수답에 가뭄이 들어 흉년이 든다는 속설과 이 지역이 키(챙이) 형국이므로 키로 알곡만을 챙기니 밥은 굶지 않을 것이라는 속설에 의한 것이다. 지금의 산서 마을은 광활한 관덕 농장이 조성되어 비교적 여유 있는 농촌마을이다.

3.마을 문화유적 등
◇삼산사(三山祠)는 관산읍 삼산리 499번지 산서마을 내 위치한다. 1903년(丙午) 경주이씨 개산공파 산서종중에서는 삼산사를 창건(創建)하고 1959년(己亥) 중수하였다.

산서마을 삼산사 표지석.jpg

산서마을 경주이씨 삼산사 외문.jpg

산서마을 경주이씨 삼산사.jpg

16세 익재공(益齋公) 이재현(1287~1367)을 주벽으로 하고 25세 병조참의공 이주(1564~ 1594), 27세 붕운(鳳雲) 이귀희( ~ ?), 33세 단암(壇庵) 이관빈(1755~ 1822), 34세 수명당(水明堂) 이동의(1775~1834) 등 5位를 배향하여 매년 陰 9월 20일 제향(祭享)을 봉행(奉行)한다. 기존에는 지역 유림들이 제향을 주관하는 향사우(鄕祠宇)였으나, 농촌사회의 고령화에 따른 제례문화 변화로 2017년(丁酉)부터 후손들이 주관하는 문사우(門祠宇)로 전환하였다.

◇관덕재(冠德齋)는 삼산사의 강당이며 서재(書齋)이다. 1903년(癸卯) 창건하였다. 1925년경부터 1960년 사이에 이상옥, 송포 정노수 선생 등이 강학하였다.

산서마을 관덕재.jpg

산서마을 관덕재 액호.jpg

액호 편액은 경북 성주 태생 극암(克菴) 이기윤(성산人 1891~ 1971) 선생이 썼다.

산서마을 관덕재 내 관덕재기 편액.jpg

관덕재기는 1950년(庚寅) 5월 관산읍 내학 태생 송포(松浦) 정노수(압해人 1877~1965) 선생이 근지(謹識)하다.

산서마을 관덕재 내 관덕재운 편액.jpg

관덕재운은 야은(野隱) 이종석과 이종호가 고(稿)하다.

◇경주이씨 二世 忠孝門은 목조와가로 1879년(乙卯) 마을 입구에 건축하였다.

산서마을 경주이씨 충효문 전경 2.jpg

산서마을 경주이씨 총효문.jpg

 

산서마을 경주이씨 충효문 안내판.jpg

이관빈과 그의 아들 이동의의 충(忠)을 기리기 위해 고종(高宗)이 명(命)하여 건립한 정려(旌閭)물 이다. 이러한 부자의 충효정신을 나라에서도 높이 평가하고 1879년(乙卯) 이조판서 김병학이 충효록에 기록하고 현판서(懸板書)를 증(贈)하여 충효문을 마을 초입에 세웠다고 한다.

◇경주이씨 세장비(世庄碑) 근수(謹竪)는1982년(壬戌) 陰 9월 19일 경주이씨 개산공파 산서종중에서 하였다.

산서마을 경주이씨 세장비.jpg

산서마을 경주이씨 세장비 1.jpg

산서마을 경주이씨 세장비 2.jpg

산서마을 경주이씨 세장비 3.jpg

근찬(謹撰) 並前書는 압해(나주)人 술재(述齋) 정채균(1929 ~1983)이 하였다. 장성군 성산리 태생으로 서예에 조예가 깊고 문화에 관심이 많았다. 당동마을 태생 만취(晩翠) 위계도(1926~1999) 선생의 문하생이다. 전남도청 총무과장을 거쳐 제21대 강진군수를 1976년 1월~1979년 5월 3일간 3년4개월 역임하면서 다산유적지 성역화, 청자 재현, 김영랑 생가 복원, 마량 소재지 공유수면 매립, 강진읍 토지 구획 정리, 강진군청 청사 설립 등 큰 업적을 남겼다. 광주시부시장 재임 때 불의의 교통사고로 별세하였다.
후근서(後謹書)는 전주人 송파(松坡) 이규형(1937~ )이 했다. 화순군 동복면 태생으로 松谷(안규동)의 문하생이다. 현재 광주에서 삼락서예원 원장으로 활동중이다. 화순 동복향교 전교를 역임했다.

◇후박(厚朴)나무 관산읍 삼산리 324번지 산서마을 초입에 위치한다. 수령(樹齡)은 400여년 이상으로 2007년 8월 9일 천연기념물 제481호로 지정되었다.

산서마을 후박나무.jpg

후박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울릉도, 제주도, 남해, 완도 등 도서지방에서 자생하고 있다. 중국 일본에도 분포하고 있으나 세계적으로 흔하지 않는 수종(樹種)으로 내한성은 약하지만 내조성이 강하여 해변에 잘 자라며 잎은 광택이 나고 수형(樹形)은 아름다우며 수피(樹皮)는 향기가 좋고"후박피"라 하여 위장약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마을 입구에 심어져 있는 이 나무는 1600년경 이국세(李國世)가 이곳에 입향(入鄕)하면서 마을 입구 동서남북 방향으로 네 곳에 심었다고 傳한다. 세 곳의 나무는 고사(枯死)되어 없어졌고 남쪽의 나무만 생존하여 오늘에 이른다고 한다.

산서마을 후박나무 내부.JPG

산서마을 후박나무 내부 1.jpg

산서마을 후박나무 안내판.jpg

나무 주위에는 반경 7m에 이르는 팔각형 단(檀)이 90cm 높이로 축조되어 있으며, 단 위에 세 그루의 후박나무가 당당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그중 두 그루는 한 그루처럼 보이는데 아마 식재(植栽)당시 근접하게 심어져 뿌리가 성장하면서 서로 맞닿아 마치 한 그루의 나무가 근원부(根源部)에서 두 줄기로 갈라진 것처럼 보인다. 또 한 그루는 남쪽 5m 거리에 있다. 이곳의 나무는 세 그루가 한 무더기로 어우러져 하나의 수관(樹冠) 폭을 이루고 있다. 그 크기는 높이 11m, 수관 폭은 동서남북 방향에 따라 10~13m이며, 가슴높이 둘레는 3m 가량이다. 마을에서 쉼터로 활용하기 위하여 나무 아래 벤치를 설치하였다. 마을의 상징 나무로서 오랫동안 보존되어 왔으며 가지가 사방으로 균형 있게 발달하였다. 또한 성장 상태도 매우 양호하고 이 고장에서 보기 드문 노거수(老巨樹)이다. 주로 해안지방에서 자생하고 있는 난대식물로써 이만한 수령과 크기의 후박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것은 흔치 않는다. 이곳 산서마을 후박나무, 진도군 관매리 후박나무, 통영시 추도리 후박나무를 우리나라 3대 후박나무라 칭한다.

4.주민 특징
지난날 주민들은 농토가 넉넉하지 않아 근면과 성실함으로 생계를 유지하여 오면서 스스로 간척을 통해 농토를 조성하였다. 또한 관덕농장의 광활한 농토 조성으로 인하여 많은 농토와 축산업을 통해 부농(富農)을 꿈구고 있는 농촌마을 이다.

자문 : 경주이씨 개산공파 산서종중, 남헌(南軒) 이상하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