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문헌/학술자료

존재 위백규 선생의 생일잔치 의미

2016.01.07 14:45

야운 조회 수:252

<고전산문>
■존재 위백규 선생의 생일잔치 의미!

사람은 누구나 생일을 맞는다. 어린 시절에는 부모와 친지들의 축하를 받고, 나이가 들면 자식과 형제, 벗들의 축하를 받는다. 이처럼 기쁜 날에는 모든 일이 생일을 맞은 사람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사람들이 쉽게 잊어버리고 마는 것이 하나 있다. 생일이 있게 해준 사람은 다름 아닌 부모이다. 생일이야말로 부모의 은혜를 생각해야 하는 날이다. 18세기의 학자 위백규(魏伯珪)는 뜻을 같이하는 벗들과 함께 매달 생일을 기념한 모임을 갖고 그 의미를 돌아보자는 제안의 글을 지었다.

천지가 생긴 지 오래인데 내가 한 번 세상에 태어났으니 행운이요, 수많은 만물 가운데 내가 사람으로 태어났으니 행운이다. 이 두 가지 행운을 가지고 부모에게서 태어났으니 이보다 더 큰 은혜가 없고, 태어나 이 몸을 이루게 되었으니 이보다 더 귀한 존재가 없다. 이같이 큰 은혜를 받고 이같이 귀한 존재를 이루어 태어날 날에 태어나게 되었으니, 이 날이 어찌 기쁘고 즐거운 날이 아니겠는가? 예로부터 이 날 잔치를 한 것은 기쁨을 기념하기 위해서였다.

이 날을 맞이하여 더 클 수 없는 은혜를 생각하면 부모를 차마 잊을 수 없고, 더 귀할 수 없는 귀함을 생각하면 내 몸을 잊어서는 안 된다. 부모를 차마 잊을 수 없다면 내가 어버이를 섬겨야 하는 도리를 알 수 있고, 내 몸을 잊어서는 안 된다면 내가 몸을 수양해야 하는 도리를 알 수 있게 된다.

내가 어버이를 제대로 섬기지 못하고 내 몸을 제대로 수양하지 못하면 눈과 코가 제대로 된 사람의 모습을 지니고 있더라도 절로 사람답지 못한 사람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한 번 살아도 허사가 되고 사람으로 태어나도 짐승이 될 뿐이다. 돌이킬 수 없는 삶이 허사가 되고, 거듭날 수 없는 몸이 짐승이 되어 버린다면 이 어찌 슬프지 않겠는가? 게다가 우리 부모가 낳고 기르시느라 고생하시고 정성을 다하셨는데 이렇게 사람답지 못한 사람을 낳아서 짐승의 부모가 되고 만다면, 부모는 원통하고 분하여 피눈물이 나고 애간장이 다 녹을 것이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풍속을 따라 술과 음식을 차려놓고 잔치를 벌여 즐기면서 “이 날은 내 생일이다.”라고 한다면 과연 어떻겠는가? 이렇게 짐승으로 태어난 날을 드러내놓고 칭송한다면 하늘의 태양도 성나고 부끄러워 대낮조차 어두컴컴해질 것이다.

백 년 인생에서 이 날은 해마다 돌아온다. 정말 사람의 마음을 지닌 자라면 늘 이 점을 명심하여 어버이를 잊지 않고 내 몸을 잊지 않을 것이니, 스스로 경계하고 두려워할 바가 무엇인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해마다 생일이 돌아오는 것이 어찌 큰 행운이 아니겠는가? 생일을 행운으로 여긴다면 당연히 술과 음식을 차려 놓고서 어버이를 대접하고 형제를 즐겁게 하며 이웃을 불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내가 만약 사람답지 않은 사람인데도 이렇게 잔치를 벌인다면, 이것은 어버이와 형제를 속이고 이웃에게 부끄러운 일이 될 것이다.

그러면 스스로 경계하고 반성하는 것은 어떻게 해야 하겠는가? 나와 뜻을 함께 하는 사람 열 몇 명이 의견을 모아서 생일잔치를 함께 하기로 하고 각자 자기 생일날 술과 음식을 차려놓고 초대하기로 하였다. 그러면 한 해 동안 모이지 않는 달이 거의 없을 것이다. 그날 태어난 사람은 다른 사람이지만 모이는 모임 이름이 생일회(生日會)이니, 내 마음을 스스로 경계하는 일을 매달 이 날에 할 수 있는 것이다. 1년 12개월 중에 달마다 생일이 있으니 1년 동안 나는 행운을 얻은 사람이 되고, 1,200개월 중에 해마다 생일이 있으니 100년 동안 나는 행운을 온전하게 한 사람이 될 것이다. 내가 과연 행운을 얻어 내 행운을 온전하게 한다면, 내 부모의 행운도 지극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내가 마음을 경계하고 몸을 수양하는 방법은 과연 어떠해야 하겠는가? 사람 중에 더 귀할 수 없는 존재가 성인이다. 옛글에 요(堯)는 신실함과 공경함[允恭]을 말하였으며, 순(舜)은 온화함과 공경함[溫恭]을 말하였고, 우(禹)는 자만하지 말라[弗滿] 하였다. 탕(湯)은 성스러움과 공경함[聖敬]을 말하였으며, 문왕(文王)은 아름답고 공경함[懿恭]을 말하였고, 공자(孔子)는 온화함과 공경함[溫恭]을 말하였다. 공경이란 덕의 기본이다. 이것으로 어버이를 섬기면 효가 되고, 형제와 함께 한다면 우애가 되며, 벗과 사귄다면 조화가 될 것이고, 자녀를 양육한다면 자애가 될 것이며, 사물을 접하면 잘 다스려질 것이다. 더 나아가면 성현이 될 것이요, 못해도 좋은 사람은 될 수 있을 것이니, 부모를 위태롭게 하거나 욕보이는 일은 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공경이라는 말이 겉으로 지나치게 신중하고 공손히 구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을 실천하는 데 요령이 있으니, 《논어》에서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일을 남에게 하게 하지 말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우리 모임에 참여한 사람들은 각자 이렇게 스스로 힘써야 할 것이다.

위백규, <생일 모임에 붙인 글(生日會序)> 《존재집(存齋集)》

<원문>
天地之久而吾幸一度生世。萬物之衆而吾幸生得爲人。之二幸者而生於父母。恩莫大焉。生爲吾身。貴莫大焉。受此恩成此貴而生於生之日。是日豈非可喜可樂之日歟。自古於是日以宴飮者。盖志喜也。乃若當是日而念莫大之恩則父母不忍忘也。思莫大之貴則吾身不可忘也。不忍忘父母則吾所以事親之道可知也。不可忘吾身則吾所以修身之道可知也。吾若不能事親。不能修身。而橫目竪耳。自爲非人。則一度爲虛生。生得爲禽獸。不可復者而爲虛生。不可再者而爲禽獸。寧不悲哉。况吾父母劬勞顧復。生此非人。而乃爲禽獸之父母。其爲寃痛憤迫。淚血而腸爛矣。至此而循俗爲酒食飮宴以樂之曰。此日吾生日也。其果何如也。以此生禽獸之日而表稱之。天日亦將憤愧而晝晦矣。百年之內。此日歲回。苟有人心者。每思念到此。而不忘親不忘身則其所以自警而戒懼者可知也。然則生日之每年回到。豈非大幸哉。旣以是日爲幸則亦宜有酒食也。於是以饋父母。以樂兄弟。以速隣黨。吾若不免爲非人而爲此飮讌者。是欺父母兄弟而靦鄰黨者。其自警省。將何如也。與我同志十數人。合而共之。各以其生日爲酒食而更招之。一歲之內。會日殆無虛月。日之日生是他人, 而會之會名是生日, 則吾(日之日生是他人而會之會名是生日。則吾)心之自警。每月是日也。十二月之歲而月月是日。則一年之內。吾爲得幸之人。一千二百月之年而年年是日。則百歲之內。吾爲全幸之人。吾果幸而全吾幸。則吾父母之幸。其有極乎。然則吾所以警而修者。果何道也。人之莫貴者聖人也。而堯曰允恭。舜曰溫恭。禹曰弗滿。湯曰聖敬。文曰懿恭。孔曰溫恭。恭敬。德之基也。以是事親則孝矣。與兄弟則友矣。交朋友則和矣。育子女則慈矣。接事物則治矣。進之則聖賢。下不失爲好人。而免父母於危辱矣。然恭之爲言。非外貌曲謹足恭之謂也。行之有要。曰己所不欲。勿施於人也。凡吾同會者。盍各以是自勉焉爾

<해설>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 1727-1798)는 조선 후기 호남을 대표하는 큰 학자다. 학자는 사소한 일상사에서도 의미를 캐내는 사람이다. 위백규는 사람들이 생일잔치를 벌이는 풍습을 보고서 생일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였다.

오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수많은 만물 가운데 내가 인간으로 태어났으니 참으로 행운이다. 사람들은 이 행운을 기뻐하여 생일잔치를 벌인다. 그러나 생일은 부모가 낳아준 은혜를 헤아리고 부모가 만들어준 신체를 수양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부모님의 은혜를 알지 못하고 자신의 신체를 잘 수양하지 못하면 외모가 사람 꼴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짐승과 다를 것이 없다. 짐승과 다를 것이 없다면 자신의 부모도 짐승의 부모가 되는 것이다.

부모가 낳아준 은혜를 되새기고 부모가 만들어준 신체를 수양하는 방법은 매사에 공경하는 마음을 갖는 데서 출발한다. 자신의 생일을 맞이하여 공경하는 마음을 가질 것은 물론이요, 타인의 생일에도 공경하는 마음을 지녀야 한다. 그러면 생애의 모든 날이 자신의 공경하는 마음을 돌아보는 생일이 될 것이라 하였다. 이것이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난 행운을 온전하게 하는 법이다.

사람은 1년에 한 번 생일을 맞는다. 그러나 벗이나 친지 등의 생일까지 합하면 매달 생일을 맞게 된다. 매달 생일을 맞고 매일 생일로 삼아 그때마다 생일의 의미를 생각하여 자신의 마음을 반성하고 몸을 수양하는 날로 삼아라. 이것이 성인이 되는 길이요, 성인까지는 이르지 못하더라도 못난 인간은 되지 아니할 것이니.

글쓴이-이종묵
출처-한국고전번역원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장흥위씨 2600년 그 뿌리를 찾아서(영상) 1147
공지 성씨표기 통일화 추진 결과 보고서(2015년 11월 21일 작성) 900
38 天冠山과 邊山에서 東征艦 建造 / 圓山 위정철 131
37 천재 실학자 존재 위백규의 학문세계(박석무)/ 위신복 제공 293
36 장흥위씨 천년세고선집 file 99
35 입춘(立春) 절후 관장하는 위징(魏徵) 제5부 (끝) / 梧堂 위운량 file 180
34 입춘(立春) 절후 관장하는 위징(魏徵) 제4부 / 梧堂 위운량 file 200
33 입춘(立春) 절후 관장하는 위징(魏徵) 제3부 / 梧堂 위운량 file 161
32 입춘(立春) 절후 관장하는 위징(魏徵) 제2부 / 梧堂 위운량 file 180
31 입춘(立春) 절후 관장하는 위징(魏徵) 제1부 / 梧堂 위운량 file 85
30 存齋集과 四君子(존재집과 사군자) / 벽천 위윤기 385
29 위씨 성의 유래 / 圓山 위정철 699
28 聽溪公의 續傷往賦幷序(속상왕부병서) / 圓山 위정철 246
27 圓山 위정철 所長의 12권의 著書를 종합해 보았습니다/벽천 위윤기 file 472
26 『존재집(存齋集)』대장부의 운명값 file 200
» 존재 위백규 선생의 생일잔치 의미 252
24 새로 발굴된 문중사료 2008/03/05 원산 201
23 圓山 위정철 소장의 [艮庵公의 生涯와 思想] [1] 804
22 圓山 위정철 소장의 [忠烈公, 淸廉의 化身] 307
21 圓山 위정철 소장의 [存齋公의 生涯 및 著述 年譜3-3(59세~72세)] 865
20 圓山 위정철 소장의 [存齋公의 生涯 및 著述 年譜3-2(35세~58세)] [1] 948
19 소설 원감국사 file 57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