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천재 김시습


김시습은 천재(天才)였다. 조선의 선비들 중에는 수많은 천재가 있었지만 김시습은 천재가 인정하는 유일한 천재(天才)였다. 아홉 번이나 과거시험에서 장원을 차지했다고 해서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고 불렸던 천재 율곡 이이가 천재라는 기록을 남긴 유일한 인물이다. 율곡은 ‘시습(時習)’이라는 이름도 타고난 천재성에서 비롯됐다고 적었다.
“(김시습은) 태어날 때부터 천품(天稟)이 다른 사람과 달랐다. 세상에 나온 지 불과 8개월 만에 스스로 글을 알았다. 최치운(崔致雲)이 보고서 기이하게 여겨 이름을 ‘시습(時習)’이라고 지어 주었다. 시습은 말은 더디었으나 정신은 놀라워서 글을 보면 입으로 읽지는 못했지만 뜻은 모두 알았다.” 며 『율곡전서』, ‘김시습전(金時習傳)’에서 전하고 있다.
최치운이 지어줬다는 ‘시습(時習)’은 유학의 최고 경전인 『논어(論語)』의 첫 구절인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에서 취한 것이다. 김시습은 세 살 때 시를 짓고, 다섯 살 때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을 통달하는 등 보통의 사람으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천재적 자질과 행적을 숱하게 보여줬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신동(神童)이라고 극찬을 받았다.
급기야 세종대왕(世宗大王)의 귀에까지 전해졌다. 학문을 누구보다 아끼고 귀하게 여겼던 왕은 김시습을 승정원으로 불러 시(詩)로 시험했다. 그런데 김시습의 시는 빨리 지으면서도 아름다웠다. 김시습의 재주에 탄복한 세종대왕은 크게 칭찬하면서 훗날 나라의 재목으로 크게 쓰겠다는 말까지 했다. 그리고 김시습에게 비단을 하사하고 돌려보냈다.
주변 사람들은 일찍 핀 꽃이 일찍 지는 것처럼 헛된 명성을 쫓다 신세를 망치지 않을까 우려가 없지 않았다. 대궐을 다녀온 이후 김시습의 명성(名聲)은 이미 온 나라에 퍼져 ‘오세(五歲)’라는 별명이 생겨날 정도였다. 임금의 칭찬과 훗날에 대한 약속까지 들은 김시습은 나라와 백성을 위해 자신의 재주를 펼칠 원대한 뜻을 품고 학업에 힘썼다고 한다.
그러나 ‘운명의 장난’이었을까? 김시습은 21세에 일어난 한 ‘사건’으로 천재의 운명을 ‘광인의 삶’으로 바꾸어버렸다. 그 사건이란 다름 아닌 수양대군이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고 옥좌에 오른 ‘왕위 찬탈 사건’이었다. 당시 삼각산(三角山)에서 글을 읽다가 이 소식을 들은 김시습은 즉시 방문을 닫아걸고는 사흘 동안 바깥으로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크게 울부짖고는 서책들을 불사르고는 방랑길에 올랐다. 친조카와 집현전의 학자들까지 몰살한 수양대군(세조)과 불의한 권력에 침묵하는 세상의 사람들과 어울려 살 수 없다고 결심했기 때문이다. 육신(肉身)에 구애받지 않고 평생 세속 밖을 떠돌아 다녔는데 우리나라 산천(山川)치고 그의 발자취가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였다고 전한다.

천재 위백규


천관산 자락에서 태어난 위백규 선생도 천재라는 평가를 들었다. 그가 7세(1733 癸丑), 8세(1734甲寅), 9세(1735 乙卯)에 지은 한시는 주변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그러니 과거에 급제해서 큰 벼슬아치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즉,공부를 잘하면 벼슬아치가 된다는 등식이었다. 그러나 정작 당사자는 10세 때에 이미 출사할 마음을 접고 현인의 세계에 천착했던 것이다.
이때부터 선생의 이중생활이 시작된다. 그 생활의 한쪽은 부모님을 즐겁게 해드리기 위해 20-30년간 과장을 출입했다. 이런 사실은 그가 몇 사람에게 보낸 서간에서 털어놓고 있다. 다른 한쪽은 현인이 되고자하는 구도자적 생활이다. 이 대목은 저술의 어떤 부분에서도 밝히지 않고 있다. 선생의 구도자적 삶은 평생을 두고 알게 모르게 지속적으로 추구한 가치이기도 한다.
그는현인의 이상을 향해 쉼 없이 매진했다. 구체적인 실현방법은 첫째, 부모에 대한 효도였으며 둘째, 사강회를 통해 향촌 청소년의 수신과 유교적 범절이 살아 숨 쉬는 지역사회를 만들고자했음이다. 그러나 주변사람들은 공의 구도적인 삶을 한갓 부질없는 소일거리 정도로 평가절하 했다. 아니 힐난과 조소에 그치지 않고 아예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게 방해하기까지 했다
그것도 가까운 일가들로부터 비롯된 질시였다. 그러니 얼마나 기가 막혔으랴. 당신이 타계하신지 141년 후에 태어난 방손인 제가 고희를 넘긴 나이에 이르러 생각해봐도 당시 다른 일가들처럼 존재공의 길을 이해하지 못했으리라. 그것은 어차피 참새의 눈으로 대붕의 뜻을 헤아리기는 불가능하니까. 역사는 부단히 재해석돼야 마땅하지만 그 해석은 관점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2016.07 圓山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 방촌마을 천관산 산신제(山神祭) / 栢江 위성록 file 栢江 2018.03.17 109
108 장흥군 방촌마을 지석묘(支石墓群) / 栢江 위성록 [1] file 栢江 2018.03.17 92
107 방촌마을 삼괴정(三槐亭) 내 들돌(독) / 栢江 위성록 file 栢江 2018.03.17 61
106 방촌마을 상잠산성(觴岑山城)과 회주고성(懷州古城) / 栢江 위성록 [1] file 栢江 2018.03.17 144
105 방촌팔경 제 5경 탑동효종(塔洞曉鍾) / 栢江 위성록 file 栢江 2018.03.11 87
104 방촌팔경 제 3경 상잠만화(觴岑晩霞) / 栢江 위성록 [1] file 栢江 2018.03.09 91
103 방촌마을 2018년(戊戌) 정월(正月) 별신제(別神祭) / 栢江 위성록 file 栢江 2018.03.08 135
102 圓山 위정철(32世, 존재학연구소) 詩 12편 碧泉 2018.01.15 85
101 厚谷 위형윤(33世, 문예협회장) 詩 3편 碧泉 2018.01.15 53
100 장흥위씨 대종회의 패러다임(paradigm) 변화 碧泉 2017.11.13 157
99 우리의 뿌리는 하나이어라Ш - 옥로 시인 file 운영자 2017.10.27 45
98 존재학”과 “노벨상 / 圓山 위정철 碧泉 2017.07.14 119
97 우리 문중은 하나입니다. / 慧岩 위환(33世, 도문회장) file 碧泉 2017.06.05 167
96 제4차 産業革命時代의 長興魏氏 家門의 位像과 力量 / 松潭 위자형 file 碧泉 2017.05.30 68
95 항렬(行列)과 연령(年齡)간 예우(禮遇)와 호칭(呼稱)관계 소고(少考)/ 靑谷 위금량 碧泉 2017.04.21 2222
94 원감국사 ‘비단가(臂短歌)’와 悲願 / 원산 위정철 碧泉 2017.04.03 236
93 德雲 激勵辭 / 대종회 대의원총회 격려사 碧泉 2017.04.03 90
92 광주종친회 정기모임(2017년 2월 24일) [1] file 재치 2017.02.25 142
91 장흥위씨 씨족문화연구소 연구위원들에게 거는 기대 [1] 碧泉 2017.02.09 306
90 고 위두환 장학회 상임이사님을 보내면서/松潭 위자형, 靑谷 위금량 [2] file 碧泉 2017.01.10 305

로그인 정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