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사이트검색

역사속 조상이야기

남편 목을 자른 위씨부인, 만의총(萬義塚) / 위현동

 

 

1. 명칭 : 남편 목을 자른 위씨부인, 만의총(萬義塚)

2. 소재지 : 전남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

3. 내용 : 일만의병(壹萬義兵)이 묻힌 만의총과 위씨부인

 

112.jpg

 

1)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에서 강진군으로 넘어가는 고개인 병치재에서 베를 짰던 위씨 부인 이야기 입니다.

앉아 있을 수도 서 있을 수도 없습니다. 대문 밖까지 나갔다 다시 집안으로 들어오길 몇 번이나 했는지…. 발에 감각도 없습니다. 남편(호산공 윤동철)은 세상과 담을 쌓고 글만 읽은 서생이었습니다.

집안의 궁핍함은 날이 갈수록 더했고 궁핍을 해결해야 할 일은 고스란히 나의 몫이었습니다. 그러한 남편이 집을 나갔습니다. 왜군이 동네에까지 밀려온다는 소리를 듣고 그토록 소중히 여기던 책을 내팽개친 채 집을 나선 것입니다

요 며칠 동네가 시끌벅적하다는 사실을 새댁인 나도 익히 알고 있었습니다 모였다하면 온통 전쟁 이야기뿐 옥천 성산 뒷산인 병마산에서 의병들이 모여 전투연습을 하는 것도 곧장 눈에 띄었습니다

한 달여 전인 9월 16일 울돌목에서 이순신 장군이 일본을 크게 이겼다는 소식을 듣고 너도나도 기뻐했는데 전쟁은 쉬이 끝나지 않는가 봅니다

왜군 부대가 곧 해남에 올 것이란 흉흉한 소문이 나돈 얼마 후 정말로 왜군이 들이닥쳤습니다. 왜군이 옥천 성산(현재는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방향으로 밀려온다는 소식이 들리자 남편은 집을 나섰지요. 무기도 없고 싸움이라곤 해본 적이 없는 남편이 무슨 용기로 전쟁터에 나가겠다고 하는지

모든 조선인들이 일어나 싸우는데 본인도 당연히 싸워야 한다며,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충이라며, 집에 있던 농기구를 들고 나선 것입니다. 이른 새벽 집을 나선 남편은 밤이 깊도록 돌아오지 않습니다. 오늘 하루 병치재(강진군 도암면과 해남군 옥천면 사이의 고개)를 넘어오는 사람도 아예 없습니다

오늘 새벽 병치재를 가득 메웠던 하얀색의 인파와는 너무도 대조적입니다. 남편을 떠나보내며 나도 그 물결을 봤었지요. 그 많은 사람들은 어디서 왔을까. 끝없는 물결들이 병치재를 넘어 옥천 성산으로 향했습니다. 두건을 쓴 아낙네들의 안타까운 모습도 보였습니다. 전쟁터로 떠나는 식구들을 망연히 지켜볼 뿐 소리내어 흐느끼는 아낙들은 없었습니다

그 무엇이라 설명할 수 없지만 그 순간 우리에게 흐르는 감정은 동일했을 것입니다. 이 땅은 우리 것이라는 것, 우리가 살아야 하고 우리 아이들이 살아야할 땅이라는 것, 그래서 흐르는 눈물을 소리 없이 말리며 지켜보고 있었던 것이지요

아침이 가고 낮이 지나고 새벽이 왔습니다. 전쟁터에서는 아무런 소식이 없습니다. 무슨 일이 생긴 게 분명합니다. 어디서 용기가 났는지 전쟁이 일어난 옥천 성산들녘으로 향합니다. 달빛에 의지하며 길을 걷습니다. 적막을 헤치며 다가간 성산뜰, 뿌연 달빛 속에 비친 들녘이 온통 하얀색입니다. 10월의 들녘이 이렇게 하얗다니. 그 끝이 보이지 않습니다

그냥 하얀색을 봤을 뿐인데 가슴이 방망이질 칩니다. 하얀 옷을 입은 시신들. 전 세계 유일하게 전 백성이 하얀색만 입는 조선인들. 그들만이 만들 수 있는 들녘의 색이었지요

그렇게 조선 의병들은 죽어있었습니다. 그 숱한 죽음 앞에서 무서움이란 현실을 직시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지요. 신들린 사람마냥 시신들을 들추기 시작했습니다. 그 어딘가에 있을 남편을 찾기 위해

그 많은 시간동안, 얼마나 똑같은 행위를 반복했는지. 먼동이 떠오르기 시작합니다. 그 순간 한 시신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손이 떨리고 몸이 떨려왔습니다. 집으로 데려 가야합니다. 이 추운 들판에서 종일 있었을 남편, 싸늘한 추위가 몰려오는 10월 10일 밤을 남편은 종일 이렇게 누워있었을 것입니다

평소 뼈만 앙상했던 남편, 그러나 그 시신을 옮기려 하니 감당이 안 됩니다. 남편의 혼만이라도 챙기기로 했습니다. 주변에 버려진 칼을 들어 남편의 목을 벱니다

숨을 삼키고 울음을 삼키고 남편의 소중한 머리를 치마로 감싸 안고 집으로 향합니다. 죽은 시신의 목을 베고 코를 베는 일본군으로부터 남편의 온전한 목을 지켰다는 안도감을 안고서 말입니다

2) 해남 옥천면 만의총 고분에서 서수형토기를 비롯 1100여점의 유물이 출토된 사실은 2009년 공중파 방송은 물론 중앙일간지에 대서특필됐습니다.
 이정호 동신대 교수는 만의총 고분은 5-6세기 초반 백제, 신라, 가야, 일본 등 4개국 유물이 함께 발굴된 점과 경주지방에서만 발굴된 신라 고유의 토우와 결합된 서수형 토기가 경주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처음 발굴된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또 이 교수는 이 무덤이 해남윤씨 족보에 야사로 전해지는 정유재란 당시 의병의 집단 매장지일 가능성도 언급했습니다.
 정유재란 때 강진군 도암면 병치에서 윤신과 그의 조카 윤치경이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싸우다 1597년 전사하자 윤신의 부인 해주오씨와 윤치경의 부인 여산 송씨가 피난처를 찾아 1606년 화방마을로 이주했습니다.

 해남윤씨가에서는 1926년도 발행(2008년 8월 한글판으로 번역 재발행)한 화암사지를 통해 옥천면 성산리 전투에서 해남윤씨 일곱 사람이 함께 순절한 사연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화암사지에 따르면 윤윤, 윤신(윤윤의 제), 윤동철(윤신의 자), 윤치경(윤윤의 장질), 그리고 윤이경, 윤익경(윤이경의 제), 윤동호(윤익경의 자) 등 일곱 선조가 국가 안위를 위해 목숨 바쳐 싸웠던 사실을 적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해남윤씨 칠충 선양회는 강진군 군동면 화방리에 화암사를 짓고 선조의 뜻을 기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화암사지에는 윤동철의 처 위씨 부인에 대한 기록도 남기고 있습니다. 위씨 부인은 결혼한 지 수개월 만에 남편과 시부모 형제 등 네 명을 잃게 됩니다. 위씨 부인은 전장 터에서 시신 4구를 찾아오는데 여자의 몸이라 두발만 수습해 장례를 치렀다고 한다. 이는 세계 어느 전쟁사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사건이라고 합니다.

 

(사진, 글제공 : 괴봉공파 財痴 위현동)

111.jpg

 

113.jpg

 

114.jpg

 

profile

碧泉 2017-11-13 14:14 *.108.159.216

"남편 목을 자른 위씨부인 이야기"의 위씨부인은 운암공(雲巖公 21세 諱 德寬)의 따님으로 밝혀지다...

그동안 해남 윤씨 집안과 해남 강진등지에서 전해내려오는 이야기의 주인공인 '남편 목을 자른 위씨부인' 이야기의 '위씨부인'의 정체를 이제서야 알게되었습니다. 위씨부인은 운암공(雲巖公 21세 諱 德寬 )의 따님으로 밝혀졌습니다.이상의 내용은 장흥 위씨 족보과 해남 윤씨 족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장흥 위씨 족보의 내용중 남편 되시는 호산공(壺山公) 윤동철의 號가 일산(壹山)으로 되어있는 것은 병 호(壺)자와 한 일(壹)자가 비슷해서 생긴 오타로 보입니다.

 

3333.jpg

 

3334.jpg

 

3335.jpg

 


해남 옥천면 만의총 고분에서 서수형토기를 비롯 1100여점의 유물이 출토된 사실은 2009년 공중파 방송은 물론 중앙일간지에 대서특필됐습니다.
 이정호 동신대 교수는 만의총 고분은 5-6세기 초반 백제, 신라, 가야, 일본 등 4개국 유물이 함께 발굴된 점과 경주지방에서만 발굴된 신라 고유의 토우와 결합된 서수형 토기가 경주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처음 발굴된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또 이 교수는 이 무덤이 해남윤씨 족보에 야사로 전해지는 정유재란 당시 의병의 집단 매장지일 가능성도 언급했습니다.
 정유재란 때 강진군 도암면 병치에서 윤신과 그의 조카 윤치경이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싸우다 1597년 전사하자 윤신의 부인 해주오씨와 윤치경의 부인 여산 송씨가 피난처를 찾아 1606년 화방마을로 이주했습니다.

 해남윤씨가에서는 1926년도 발행(2008년 8월 한글판으로 번역 재발행)한 화암사지를 통해 옥천면 성산리 전투에서 해남윤씨 일곱 사람이 함께 순절한 사연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화암사지에 따르면 윤윤, 윤신(윤윤의 제), 윤동철(윤신의 자), 윤치경(윤윤의 장질), 그리고 윤이경, 윤익경(윤이경의 제), 윤동호(윤익경의 자) 등 일곱 선조가 국가 안위를 위해 목숨 바쳐 싸웠던 사실을 적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해남윤씨 칠충 선양회는 강진군 군동면 화방리에 화암사를 짓고 선조의 뜻을 기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화암사지에는 윤동철의 처 위씨 부인에 대한 기록도 남기고 있습니다. 위씨 부인은 결혼한 지 수개월 만에 남편과 시부모 형제 등 네 명을 잃게 됩니다. 위씨 부인은 전장 터에서 시신 4구를 찾아오는데 여자의 몸이라 두발만 수습해 장례를 치렀다고 한다. 이는 세계 어느 전쟁사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사건이라고 합니다.

재치...

독립지사 덕암 위석규 file “용약분투(踊躍奮鬪), 만사일생(萬死一生)의 각오로 영토를 지키자” 독립지사 덕암 위석규 덕암 위석규는 1878년 3월 2일 전라도 장흥도호부 고하면(현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에서 위윤조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5살 때 한문을 익히기 시작했는데, 하루에 수백 문자를 어렵지 않게 익힐 정도로 신동의 자질을 보여줬다고 한다. 1889년 송병선 문하에서 수학했는데... 211
간암공 위세옥 file 다시, 불멸의 꽃으로 피어나리 <역주 간암선생문집> 출간을 기념하며 詩人 위성유(34世, 玉露) 허공에 흩어져 고이 잠들었던 꽃잎들이 한 잎 한 잎 역사의 부름에 떨리며 답하듯 250여년이 지난 오늘 비로소, 당신의 고귀한 업적이 불멸의 꽃으로 다 시 피어나고 있습니다 간암선생님! 님께서는 장흥 위씨 명문가 자재로 태어나, 천품이 영민하고 학문에 뜻 이 깊어 이른 나이에 세상 이치... 84
간암공 위세옥 행장/존재 위백규 씀 file 행장 行狀 대체로 부귀한 가문의 사람을 보면 반드시 부러워하는 마음이 생기게 마련이고, 남보다 뛰어난 재능과 기예를 가지고 있으면 반드시 자랑하려는 기색이 있게 마련이다. 공명(功名)에 뜻이 있지만 그것을 얻지 못한 자들은 끝내 반드시 속이 타는데 재주와 역량이 있는데도 뜻을 이루지 못하고, 평생 백에 하나의 기회도 얻지 못해 머리가 세도록 시골구석에서 가난하게 지내며 ... 217
만화로 보는 영이재公 위문덕(1704~1784) / 만화가 위성동 file 영이재公은 장흥위씨 25세, 안항공파로 1704년 장흥출신이다. 아버지 삼족당公과 아들 존재公을 이어주는 가교역할에 그 존재가치가 크다 하겠다. 최초로 문회를 창설하고 장흥위씨 족보인 기묘초보를 처음 만든 주인공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장흥위씨요람(2019, 보정판)에서는 “충렬공 묘소를 1740년 장흥 북동쪽에 위치한 제암산(帝巖山) 기슭에서 찾았다. 이때를 계기로「문... 184
만화로 보는 괴봉공(諱 대용 21世, 1530~1610) / 위성동 만화가 file 괴봉공(魁峰公) 괴봉공 휘 대용(大用; 21世 1530 ~ 1610, 부정(副正) 억문(億文)의 子, 원충(元忠)의 손(孫), 유정(由貞)의 증손(曾孫), 지장록 p916)이며, 호는 괴봉이다. 명종(明宗) 1555년(乙卯)에 진사(進士) 합격했으나 출사하지 않은 가문(家門)의 전통에 따라 벼슬길에 나아가기를 포기한다. 진사시험에 함께 합격한 문정공(文靖公) 윤두수(尹斗壽)와 친구간이다. 임진난이 일어날 ... 136
문화현령공(23세 諱 山寶 괴봉공파) 행장에 대해서... 문화현령공(23세 諱 山寶 괴봉공파) 행장에 대해서... 財痴 위현동(35世 행원문중 괴봉공파) 2017년 추석에 흥미로운 영화가 개봉되었다. 영화는 “남한산성” 인조 14년(1636년) 병자호란, 명과 오랜 선린관계 중인 조선에 군신관계를 요구해 거절당한 청이 대군을 이끌고 바람처럼 압록강을 넘어와 이에 임금과 조정은 급히 남한산성으로 피신한다. 그리고 12월 14일부터 이듬해 1637년 1... 296
만화로 보는 원감국사 / 만화가 위성동 file 원감국사(圓鑑國師) 원감국사는 고려시대 장흥을 대표할 인물이다. 국사는 고종(高宗) 13년(1226) 병술(丙戌) 11월 17일 장흥읍 동동리에서 참의정승(參議政丞)을 역임한 아버지 소(紹)와 어머니 원방대부인(原邦大夫人) 송씨(宋氏)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속명은 원개(元凱)이며, 출가한 후의 이름은 충지(沖止) 또는 법환(法桓), 자호는 복암(宓庵)이다. 국사는 나서부터 매우 총명... 198 댓글: 1
남편 목을 자른 위씨부인, 만의총(萬義塚) / 위현동 file 1. 명칭 : 남편 목을 자른 위씨부인, 만의총(萬義塚) 2. 소재지 : 전남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 3. 내용 : 일만의병(壹萬義兵)이 묻힌 만의총과 위씨부인 1)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에서 강진군으로 넘어가는 고개인 병치재에서 베를 짰던 위씨 부인 이야기 입니다. 앉아 있을 수도 서 있을 수도 없습니다. 대문 밖까지 나갔다 다시 집안으로 들어오길 몇 번이나 했는지…. 발에 감각도 없습니... 842 댓글: 1
해남현감공(諱 천상)의 호(號)는 왜 망서와(望西窩)일까? file 해남현감공(諱 천상)의 호(號)는 왜 망서와(望西窩)일까? 위현동(35세 괴봉공파) 해남현감공(海南縣監公) 공의 諱는 천상(天相, 24世 1635 ~ 1683, 三水府使公 天會의 동생 지장록 p133)입니다.효종(孝宗) 때 무과에 급제(1665년), 해남(海南) 현감(縣監)에 제수(1675년)되어 재임하면서 청백으로 목민(牧民)하니 현민들이 거사비(去思碑)를 세워주는 한편 공직에서 물러나 귀향한 후에도 ... 368 댓글: 1
1666년 삼수군수공(諱 天會 24세)은 왜 용천부로 유배를 갔을까? / 위현동 file 1666년 삼수군수공(諱 天會 24세)은 왜 용천부로 유배를 갔을까? 삼수군수공(諱 天會 24세, 1629~?)의 자는 여우(汝遇), 호는 취수헌(醉睡軒)으로 통덕랑공(諱 국보 國寶)와 恭人 광산金氏 사이에서 四子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公은 호남어사의 신분으로 장흥을 들른 노봉(老峰) 민정중(閔鼎重)이 公을 보고 武科에 응시하도록 추천하여 출사하게 되었다고 한다. 젊은 시절 '번쾌불사... 304 댓글: 1
만화로 보는 존재 위백규 / 만화가 위성동 file 存齋(1727~1798)公께서는 尤菴 송시열에서 屛溪 윤봉구로 이어지는 정통학맥의 嫡傳임을 자부했고 방촌에서 충청도 덕산까지의 千里길을 來往하면서 병계 윤봉구를 師門으로 정하고 性理學에 마음껏 精進하게 되었다. 존재공께서는 오직 科擧만을 염두에 두고 학문에 매진하였으나 당시 비리와 모순으로 얼룩진 과거시험장에서 더 이상 “들러리”를 설 수 없다는 생각에 39세때 進士及第를... 267
만화로 보는 충렬공(諱 위계정) 일대기 / 만화가 위성동 file 충렬공 위계정(魏繼廷)은 고려 문종 때 등제하여 선종, 헌종, 숙종, 예종 등 4조에 걸쳐 역임하고 관이 수태보문하시중태사(守太保門下侍中太師)에 이르러 예종 2년에 돌아가시니 충렬(忠烈)이라 시호를 내렸다. 예종 묘정에 배향됐는데 묘지는 장흥 제암산 자락의 연하동에 있으며, 음 10월 9일 묘전에서 시제를 올린다. 공은 문장으로써 이름이 높았으며, 작품으로 《동문선》에 하천안... 261
공예태후와 五德 태생지의 유래 2006/09/07 원산 천관산 연대봉은 동쪽으로 뻗으며 두 개의 계곡을 이룬다. 정상에서 내려보면 오른쪽엔 장천동 왼쪽엔 당동이다. 그 당동에 독특한 사연을 간직한 집이 있다. 고려 때 왕자 3명이 왕위에 오른 왕비가 태어났다. 그리고 한 문중의 파조 5형제와 두 명의 효자가 태어난 집이기도 하다. 행정구역으로는 전남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112 당동(堂洞)마을. 집주인은 1000여 년 동안 다섯 번 갈렸... 430
원감국사와 장원봉 file 장원봉(壯元峰)은 장흥 위씨의 전설적 고향이다. 산의 소재지는 전남 장흥군 장흥읍 남동리 88번지 장흥법원 뒷산이다. 그 산에 별로 높지 않는 봉우리 2개가 있는 데 장원봉과 거말봉이라 일컫는다. 언제인지는 모르나 선조들은 산아래 남동리에서 살았다. 시조공께서 신라조정에서 물러나 어디서 사셨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고려 예종 때 수태보문하시중인 5세 계정할아버지도 이곳 출... 365
오덕 할아버지의 탄향 file 오덕은 20세 곤(鯤)할아버지의 다섯 아드님으로 중조(中祖)로부터 21세손이며 첫째 덕홍(德弘), 둘째 덕의(德毅), 셋째 덕관(德寬), 넷째 덕화(德和), 다섯째 덕후(德厚)할아버지 즉 다섯 할아버지를 일컫는다. 첫째, 덕홍 할아버지 자손(子孫)은 판사공파(判司公派) 둘째, 덕의 할아버지 자손(子孫)은 청계공파(廳溪公派) 셋째, 덕관 할아버지 자손(子孫)은 운암공파(雲岩公派) 넷째, 덕... 433
효자송 이야기 file 소나무 한 그루가 효자의 사연을 안고 있다.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166-1 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소나무가 바로 그것이다. 그 소나무는 1988년 4월 30일 천연기념물 제356호로 지정되어 주민은 물론 길손들의 아늑한 쉼터가 되고 있다. 유래는 이렇다. 이 마을에는 위윤조(魏胤祚), 정창계(丁昌桂), 백충기(白忠基)라는 세 소년이 살았다. 세 사람은 친구지간으로 의협심이 강하고... 315

로그인 정보

close